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의 결합 가능성

        장성규(Jang, Sung-kyu)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본 논문은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중심으로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적 실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텍스트는 이질적인 매체인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독특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 미학적 실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 텍스트는 게임 서사가 지니는 비선형적 성격을 재현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게임 내부 서사와 게임 외부 서사의 두 겹 이야기 구조로 설정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영상 매체에서 재현 불가능한 게임 서사를 텍스트의 속 이야기 층위에서 구현하는 것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둘째, 게임 서사의 캐릭터 재현 과정에서 영상 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이미지 제시를 통해 캐릭터를 구현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영상 매체는 시각적 이미지 재현에 특화된 성격을 지니며,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게임 서사의 캐릭터 특성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셋째, ‘나비’ 이미지 등 도교적, 불교적 사유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텍스트의 주제 의식을 환기시키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관념적인 사유를 이미지 스토리 텔링을 통해 구체화시켜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와 같이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은 게임 서사와 영상매체라는 이질적인 매체를 독특한 실험을 통해 결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선구적인 뉴미디어 텍스트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various technical experimental aspect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a mainly with the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This text is remarkable in respect of performing a unique test to raise the original medium characteristic of each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which are different media each other. These esthetic experimental strate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is text set the image medium into dual story structure of internal game narrative and external game narrative in order to realiz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of game narrative. As the result, this research could succeed in realizing the game narrative impossible in reproducing in general film medium in the story layer in the text. Second, this research utilized a strategy to realize the character through direct image suggestion utilizing the image medium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game narrative character. Film medium has a characteristic specialized in the visual image realization, by properly utilizing this. Third, this research shows a characteristic to air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text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Taoistic, Buddhistic thinking as ‘butterfly’ image, etc. This is remarkable in respect that it is an important experiment to concretize and suggest the ideological thinking through image storytelling. This way,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can be evaluated as an advanced new media text, in respect of combining the different media,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through the unique experiment.

      • KCI등재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 수용 연구

        장성규 ( Jang Sung-ky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3 No.-

        본 논문은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의 수용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는 서구적 근대에 대한 회의와 성찰이 담론 장의 주된 문제설정으로 대두한 시기였다. 이는 문학 장에도 영향을 미쳐, 기존의 서구적 문학 및 `novel`개념에 대한 광범위한 성찰을 추동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문인들은 조선 및 동양의 전통적인`文`개념에 대한 재인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태준을 비롯한 작가들은 서구의 `고백`이나 일본 사소설과는 다른 자기 객관화를 장르적 특성으로 하는 조선의 `탁전` 양식을 수용하여 조선적 자전소설의 형식을 창출했다. 이는 특히 자기 중심적 서술의 한계를 지니기 쉬운 자전소설의 장르적 속성을 극복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다른 한 편으로 채만식, 박태원, 유진오 등의 작가들은 조선 및 동양의 고전 텍스트를 삽입하여 스토리 이면의 숨겨진 주제의식을 표출하는 기제로 활용했다. 이러한 조선 및 동양의 고전 텍스트의 삽입은, 특히 표면적으로 진술되기 어려운 작가의식의 우회적 발현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속에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 수용은 서구적 `novel`과 조선 및 동양적 `文`의 결합을 통해 독특한 조선적인 `소설` 양식을 형성하기 위한 실험이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rom a literary historic point of view. In late 1930`s, The doubt about Western modernization was issued in the literary discourse. Hence the writers of the time tried new undersanding of traditional `Mun(文)` to reflect of the concept of `novel` which was the western concept. As the result, the writers including Lee Tae-june created the form of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by accepting of `Takjeon`(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On the other hand, Chae Man-sik, Park Tae-won, and Yoo Jin-oh inserted Oriental classical text into their novels to express the theme indirectly. The insertion of oriental classical text was related to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o express writer`s intention circuitously. In this respect, the acceptance of Classical literary genres was meaningful experiment to create Korean form of novel combining western concept of `novel` and eastern concept of `Mun` in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논문 : 문학의 경계넘기와 통섭; 소설「오발탄」의 영상매체로의 전환과 텍스트 다시-쓰기의 전략

        장성규 ( Sung Kyu J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본고는 소설 「오발탄」이 영화 <오발탄>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독특한 텍스트 다시 쓰기의 전략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 오발탄이 활자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전후 현실에 대한 지식인의 내적 인식과 그에 따른 혼돈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에 성공한 반면, 영화 <오발탄>은 영상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이와는 다른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원작이 지닌 남성-지식인의 내면 표현 대신 여성-성노동자의 현실을 복원한 것, 둘째, 영상과 음향을 통해 당대 아메리카니즘의 풍속도를 재현한 것, 셋째,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구체적인 전후 현실의 비극성을 포착한 것이 이에 해당한다. 2000년대 이후 매체 혼종과 전환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며 기존의 경화된 매체 관습에 대한 문제제기 역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반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각각의 매체가 서로 혼종되거나 전환되면서 어떠한 텍스트 다시 쓰기의 전략이 활용되어 독특한 성과가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정치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당연하게도 매체 혼종이나 전환 그 자체를 고평하거나 혹은 폄하할 이유는 없다. 중요한 것은 매체의 혼종과 전환 과정에서 개별 매체의 특성에 근거하여 어떠한 텍스트 다시 쓰기의 성과가 생성되었는지를 꼼꼼히 분석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점에서 소설 「오발탄」의 영화 <오발탄>으로의 전환은 매우 중요한 성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trategy of rewriting unique texts generated in the process that novel 「Obaltan」 is conversed to movie <Obaltan>. While novel 「Obaltan」 was successful in exposing intellectuals` inner awareness and its chaos effectivel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nt media, movie <Obaltan> could important achievements unlike this utilizing the features of visual media. This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First, it`s to restore the reality of women-sex work instead of men-intellectuals` internal representation that the original work has. Second, it`s to reproduce the cultural landscape of contemporary Americanism through visual images and sound. Third, it corresponds to capturing tragedy of the concrete post Korean-war reality through the camera`s eye. The discussion on media hybrid and conversion has been actively done since 2000 and raising issues on medium customs cured conventionally had also significant achievements. On the other hand, as each medium is hybridized or conversed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fic texts, a strategy of rewriting texts is utilized and studies for whether unique achievements are created are somewhat lacking. It`s fair that there is no reason to review or disparage media hybrid or conversion. It`s important to analyze carefully whether the performance of rewriting was gener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edia in the process of media hybrid and conversion. In this way, novel 「Obaltan」`s conversion to movie <Obaltan> may be recorded as a very important performance.

      • KCI등재

        특집논문 : 전형기 "조선" "근대" "문학"을 둘러싼 세 겹의 위기와 대응

        장성규 ( Sung Kyu J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본고는 전형기 위기 담론을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들을 재고하기 위한 일종의 시론적 문제제기로서 작성되었다. 흔히 지적되는 것처럼 전형기 위기 담론이 광범위하게 생산­유통되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특정 담론이 문학장에 개입하는 양상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특히 ‘조선’과 ‘근대’와 ‘문학’이라는 항에서 어떠한 점에 초점을 맞추는가에 따라 당대 문학장에서의 위기는 다르게 해석될 여지를 지녔을 가능성이 크다. 만약 ‘조선’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당대 이중어 글쓰기 상황의 도래가 곧 위기의 실체로 인식되었을 것이며, ‘근대’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근대적 문학 양식, 즉 ‘노벨’의 붕괴 현상이 위기의 실체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문학’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엘리티즘적 문학장과 예술의 규칙의 붕괴 현상이 위기의 실체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항상 위기란 위기를 인식하는 주체가 아닌 타자에게는 다르게 인식되기 마련이다. ‘조선’ 근대 문학의 위기는 곧 조선어의 언어적 위계질서의 하층에 존재하던 이들이 텍스트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기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었다. 예컨대 이태준의 <패강랭>, <달밤>, 채만식의 <치숙>, 이기영의 ≪동천홍≫ 등의 작품에서 이러한 양상이 나타난다. 한편으로 조선 ‘근대’ 문학의 위기는 곧 비근대적 양식들이 출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었다. 예컨대 유진오와 이효석의 로망스 양식에 가까운 작품이나 김동인, 윤백남, 현진건 등의 ‘야담’ 양식에 가까운 작품들이 이에 해당한다. 같은 맥락에서 조선 근대 ‘문학’의 위기는 곧 비­문학적인 것들의 귀환을 가능케 하는 매개가 될 수도 있었다. 특히 엘리티즘적 문학 개념으로 포괄되지 않는 기담, 소문, 유언비어 등이 문학 텍스트에 기입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이는 김사량의 <덤불 헤치기>, 박태원의 ≪금은탑≫ 등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전형기 조선 근대 문학을 연구하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를 통해 새롭게 자신의 목소리를 표출할 수 있던 흔적들로부터 ‘다른’ 조선 근대 문학의 상을 모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suggestion to reconsider previous perspective about crisis-discourse in the turning point. It is obvious that crisis-discourses were producted and distributed widely in the turning point. Certain discourse, however, did not influence literary fields mechanically. Especially, crisis of literary field of the time c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focus between ‘Cho-seon’, ‘modern’ and ‘literature’. By focusing on ‘Cho-seon’, situation of bilingual writings could be cognized as a substance of crisis. By focusing on ‘modern’, collapse of modern literary forms such as novel could be cognized as a substance of crisis. In the same vein, by focusing on ‘literature’ collapse of elitist literary field could be cognized as a substance of crisis. Crisis always is cognized between subject who calls the period ‘crisis’ and the others. The crisis of ‘Cho-seon’ modern literature gave a opportunities that subalterns who existed in lower part of language-hierarchy could describe their voices onto texts. Some novels such as Lee Tae-jun`s Pae-gang-eaeng, and Dal-Bam(Moonlight), Chae Man-sik`s Chi-suk(Stupid nephew), and Lee Gi-young`s Dong-chun-hong showed these aspects. On the other hands, the crisis of Cho-seon ‘Modern’ literature was a opportunity that non-modern literary forms appeared. Yoo Jin-oh and Lee Hyo-seok wrote some novels which had deep affinities with romance. Kim Dong-in, Yoon Baek-nam and Hyun Jin-gun also wrote some very close to ‘unofficial historical romance’. In the same vein, the crisis of Cho-seon modern ‘literature’ could be mediations to enable non-literary speeches to return. Especially, Rumors, weird stories and gossips were written down in Kim Sa-ryang and Park Tae-won`s novels. To conclud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figuations of ‘different’ Cho-seon modern from traces in which purgees from modern literary field could left their voices by crisis.

      • KCI등재

        한국 문학 "외부" 텍스트의 장르사회학 -서발턴 문학사 서술을 위한 시론적 문제제기-

        장성규 ( Sung Kyu J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4

        기존의 문학사는 소수의 문화적 엘리트층을 주체로 설정하여 서술된 한계를 지닌다. 그 결과 충분한 문화 자본과 상징 자본을 확보하지 못한 다수 서발턴의 목소리는 문학사 ‘외부’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현재 문학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는 연구자에게 이들의 목소리를 새롭게 복원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이 글은 위와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기존의 문학사 ‘외부’로 추방된 다양한 텍스트들을 새로운 ‘문학’의 틀로 호명하기 위한 시론적 문제제기를 수행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문학 장 ‘외부’로 추방된 수기, 르포, 유언비어, 괴담, 소문, 패러디 등의 텍스트를 복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존의 문학 장에 진입한 텍스트의 이면에 일종의 흔적으로 남겨진 서발터니티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 다시-쓰기의 전략을 활용할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비로소 문학사는 소수 문화적 엘리트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역사’로 재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was described from an elitism perspective. As a result, many subalterns, who didn``t have enough cultural capital and symbolic capital, were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history.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ir voices for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with democracy of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recall various texts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history reforming the concept of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two methodologies.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s to restore various texts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field such as memoirs, reportages, rumors and parodies.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to trace subalternities which remain in the hidden side of literary texts and to make use of re-write strategies. In these ways, literary history will be recognized anew as ``the history from bottom``.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 디아스포라와 국제연대의 기억 -한흑구를 중심으로

        장성규 ( Sung Ky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한흑구 문학은 그 중요성에 비해 거의 연구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흑구는 매우 드물게 식민지 시대 재미 유학생의 구체적인 체험을 토대로 하여 식민지 디아스포라로서의 자기 인식과 미국 내의 다양한 디아스포라간의 연대에 대한 모색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한흑구는 미국문학에서도 특히 당대의 ‘흑인문학’과 월트 휘트먼에 대한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수용을 시도한다. 이를통해 그는 제국주의적인 미국문학이 아닌, 소수자문학으로서의 미국문학에 대한 탈식민적 인식을 확보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그는 미국 내의 흑인은 물론, 폴란드와 아일랜드 등의 식민지 디아스포아인들과의 교감을 추구하며 이들과의 문학적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성과는주로 재일 유학생을 중심으로 수행된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탐구와는 구별되는 소수자문학의 주체로서의 정체성 탐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의의를 지닌다. It is true that literature of Han Huk-gu has not almost been studied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But, Han showed self-recognition as colonial diaspora and seeking about diverse diasporas in the USA based on specific experiences of a Korean student in America in the colonial era very rarely. This has meanings of important literature history. Concretely, Han especially tried systematic and active acceptance about “literature of African Americans” and Walt Whitman of the time in American literature. Through this, he secures post-colonial perception on American literature as minor literature, not imperialistic American literature. In this cognition, he pursues communion with colonial diasporas such as Polish and Irish people as well as African Americans and seeks possibility of literary solidarity with them. The result has the meaning that it represents identity exploration as a subject of minor literature separated from ethnic identity exploration which was mostly implemented by Korean students in Japan.

      • KCI등재

        프랑스 문예사조의 수용과 새로운 전후문학의 기획-김붕구의 비평을 중심으로-

        장성규 ( Jang Sung-kyu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김붕구가 전후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그가 수행한 프랑스 문예사조의 체계적 수용과 능동적 변용의 성과 역시 문학사적으로 평가받지 못했다. 그러나 실증적으로 그의 비평을 검토한 결과 그가 당대 문학에서 지니는 중요성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그의 성과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프랑스 문예사조의 체계적 수용과 능동적 변용이다. 그는 실존주의를 비롯한 프랑스 문예사조의 수용과 변용을 통해 전후문학에 직간접적인 토양을 제공했다. 나아가 그는 이 과정에서 단순한 외국문학의 기계적 이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당대 한국문학의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시키려는 탈식민적 변용을 수행하기도 했다. 둘째, 그는 작가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하여 단순히 작가 자신의 ‘행동’이 아닌, 문학 언어를 매개로 한 참여를 제시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언어의 양가성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점은 기계적이고 도식적인 반영론적 관점을 넘어, 텍스트 사회학에 대한 나름의 문제의식의 단초를 보여주는 성과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셋째, 그는 냉전 체제를 구성하는 두 축, 즉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체제와 소련 중심의 사회주의 체제를 동시에 비판하며, 이를 넘어서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개인의 역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공동체적 기획으로서 ‘혁명적 생디칼리즘’을 주창한다. 이와 같은 성과는 막연한 불안과 허무, 공포의 토로가 전면화되던 전후문학을 새롭게 기획하려는 비평적 작업이라는 점에서 재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true that there are scarcely studies on Kim Bunggu in spite of his status which occupies in Post-war Literature. Due to it, systematic acceptance of the trend of French literature and results of active change could not be evaluated in literary history, either. However, it is judged that his importance in literature of the day is very great in the result which reviewed his criticism. Concretely, his results can be divided into three things. First, it’s systematic acceptance and active change of the trend of French literature. He provided direct and indirect soil for Post-war Literature through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trend of French literature as well as existentialism. Furthermore, he also carried out change of decolonization which tried to apply foreign literature to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day, not its simple mechanical transplantation, in this process. Second, he suggested participation which made literary languages media, not simply his own ‘behaviors’, regarding writers’ social roles. Especially, the point that he showed awareness about ambivalence of languages in this process is worthy of notice in the result which shows a clue of critical minds about text sociology beyond the mechanical and schematic viewpoint of reflection theory. Third, he simultaenously criticized the two axles which compose the cold war system, that is, the US-centered capitalist system and the Soviet Union-centered socialist system and sought plans which overcome them. As a result, he advocates ‘revolutional syndicalism’ as the communal plan which can reveal individual potency. The result like this is judged to need to be reevaluated in the viewpoint of critical work which tries to plan Post-war literature that expression of vague anxiety, futility, and fear were completely revealed.

      • KCI등재

        1980년대 논픽션 양식과 소설 개념의 재편 과정 연구

        장성규 ( Sung Kyu J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1980년대 문학의 정치성은 단순히 텍스트의 표면에 드러난 급진적 메시지의 층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아래로부터의 글쓰기 양식과 전통적인 문학 양식이서로 충돌하고 교섭하면서 그 이전 시기까지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온 엘리티즘적 ``문학`개념 자체를 재구성하는 것에서 보다 본질적인 당대 문학의 정치성을 찾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기존의 1980년대 문학 연구가 엘리티즘적 문학관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했으며, 현재까지 문학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단절된 것으로 설정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소설`을 쓰는 전태일과 석정남의 모습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들의 텍스트는 엘리티즘적인 의미에서는 수기 등의 논픽션에 가까운 양식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은 이를 스스로 ``소설`로 호명하며 기존의 소설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들의 문제제기는 이후 홍희담과 방현석 등 이른바 ``학출` 작가들에 의해 보다 구체화된다. 홍희담은 정전화된 소설 개념을 폐기하는 전략을, 방현석은 아래로부터의 글쓰기 양식을 전통적 소설 개념에 삼투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여 기존의 소설 개념을 재구성한다. 이와 같은 성과는 1980년대 문학의 정치성이 바로 ``문학` 그 자체를 변화시키는 지점에서 발휘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닐 것이다. The politics of literature in 1980`s are not limited to the layer of radical message exposed simply on the surface of the text. As the form of writing from the bottom and traditional literary form are conflicted and negotiated, we`ll find the politics in contemporary literature rather than reconstruct the concept of elite ``literature`` considered naturally from the previous period. Especially,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in the 1980s disclosed limits of not deviating a view of elitism literature, it needs more attention that the tend of setting that ``internal`` and ``external`` side of literature are cut off each other exists. The appearance that Jeon Taeil, Seok Jeongnam write ``novel`` in this awareness of issues provide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Their texts belong to a form like non-fiction of manipulation in elitism meaning. However, they call the texts ``novel`` and question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novel. Their questioning is embodied by so-called ``Hakchul`` writers such as Hong Huidam, Bang Hyeonseok, etc. Hong Huidam and Bang Hyeonseok reconstruct the concept of the existing novel by using a strategy to dispose the concept of the canonized novel and a strategy to make writing from the bottom be osmotic pressure to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novel. This performance is significant in that case that the politics of literature in the 1980s were demonstrated at the point of changing ``literature`` itself.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소설과 비문해자들의 문학사

        장성규(Sung Kyu J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현대소설연구 Vol.- No.56

        This study aims to extract clues to describe the literary history of illiterates, and to pose the publicness of literature and democracy of writing. To achieve this, first, we considered the process of the rank order of characters due to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literature. In sequence, we tried to figure a strategy of illiterate discourse in text of the novels. And we tried to suggest the concept of literature as a field of redistribution of knowledge based on this. The grammar of modern novels was formed by Kim Dong-in and the others in early 1920s. However, this process left the problem of fixing the rank order of characters in the order of English, Japanese, Korean character. It resulted that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 cultural elites were settled as literary subject exlusively. Hyun Jin-geon``s novel A society that recommends liquor shows this situation plainly. This work shows how modern ``rules of art`` expeled illiterates who had not cognition of English word ``society`` or Japanese-translated word ``syakai``(社會) from the field of literature concretely. On the other hand, illiterates were able to fill their voices in texts through their unique strategy of discourse. These were appropriation of elite dicourse, borrowing the forms of non-literal mode and adoption of non-fiction and fantasy. For example, No-Ga-Ba (changing lyrics of popular songs) was described in Kim Nam-cheon``s Literary club, and appropriation of traditional genre and mass cultural texts appeared in Lee Gi-young``s Homeland. Literary history of illiterates is able to be described by restoration of their culture that redistrbutes knowledge ultimately. In this context Choi Seo-hae``s The period of extra editions has important meaning. The process of redistrbuting of intellctual capital by a former-illiterate who acquire intellectual capital particulary, was described in this text. Lee Gi-young``s Dong-cheon-hong(東天紅) was paid attention to, because this text emphasized the night school as autonomous intellectual-community which was not captured by dichotom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s were not exclusive property of specific class, but common property of humankind. This is be able to be explained through ``the publicness of literature`` and ``democracy of writing``. Clues which is collected in this study might be able to be used to find ``other`` literature as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