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압박고 나사 고정 후 발생한 고정실패

        장상열,정우철,김종오,문준규,정훈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3

        목 적: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고정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2 월부터 201년 2월까지 본원 이용하여 수술한 전자간 골절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정실패는 12례였으며, 고정실패에 관여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다음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modified Evans 분류, Singh 지수, 대퇴 골두내 나사의 위치, 골절의 정복양상. 이 인자들을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나이와 연령은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p>0.05). 골절의 안정성을 기준으로 나눈 두 군에서는 의미있는 빈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5). 대퇴 골두내 나사못의 상방위치한 경우와 골절의 수술적 정복 후 전후 사진상 5 mm 이상 전위된 경우에도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5). 결론: 나이, 성별, Singh 지수는 고정실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고정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고 사료된다; 나사못의 골두내 상방위치, 불안정한 골절양상, 골절의 수술적 정복 후 방사선 전후 사진에서 보이는 5 m 이상의 피질골의 전위. 색인단어: 전자간, 골절, 고 나사 334 ※통신저자: 김 종 오 158-050,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1-1 이화여자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 전화: (02) 2650-5276, Fax: (02) 642-0349 e-mail: wchjeong@hanmail.net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압박고 나사 고정 후 발생한 고정실패 y 335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압박고 나사 고정 후 발생한 고정실패

        김종오,장상열,문준규,정훈,정우철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3

        목적: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고정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압박고 나사를 이용하여 수술한 전자간 골절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정실패는 12례였으며, 고정실패에 관여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다음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modified Evans 분류, Singh 지수, 대퇴 골두내 나사의 위치, 골절의 정복양상, 이 인자들을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나이와 연령은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p>0.05). 골절의 안정성을 기준으로 나눈 두 군데에서는 의미있는 빈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5). 대퇴 골두내 나사못의 상방위 치한 경우와 골절의 수술적 정복 후 전후 사진상 5㎜ 이상 전위된 경우에도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5). 결론: 나이, 성별, Singh 지수는 고정실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고정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고 사료된다; 나사못의 골두내 상바위치, 불안정한 골절양상, 골절의 수술적 정복 후 방사선 전후 사진에서 보이는 5㎜ 이상의 피질골의 전위.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loss of fix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compression hip screw. Materials and Method: From February 1996 to February 2001, seventy nine case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e operated with compression hip screw was reviewed with minimal follow up for 6 months. There were twelve cases of loss of fixation. The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factors which we thought to affect the loss fixation. The factors are fracture type by modified Evans classification, Singh index, placement of screw in femoral head, quality of reduction. Then we analyzed these factors with chi square test. Resul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 and sex were not though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p>0.05). There were difference of prevalence between two group divided by fracture stability (p<0.05). In cases of superior placement in femoral head, there were more loss of fixation. Displacement of cortex of proximal femur of radiologic AP view other than laterial view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0.05). Conclusion: Age, sex, Singh index did not affect the loss of fixation. But, next factors as follows affected the loss of fixation; Superior placement of hip screw, unstable fracture pattern, displacement of fracture site more than 5㎜ after reduction on radiologyc AP view.

      •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 구역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김종오,장상열,오종건,배서영,노권재,이정준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천골 이형성증과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구역간의 상관관계, 천골 익상부 경사의 정상변이와 안전구역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골반골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중 단순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했던 5 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천골 이형성증의 유무는 Routt 등의기준에 근거하여 판독하였고, 천골 익상부 경사(sacral alar slope)의변위는 컴퓨터 단층 사진에서 양측 ICD(Iliac cortical density)를연결하는 선(inter-ICD line)을기준으로 하여 익상부의 위치를 전방위(anterior), 정위(coplanar), 후방위( p o s t e r i o r ) 로 분류하였다.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에 사용되는 직경 6 . 5 m m 의 횡나사못에 의해앞으로는 천골 익상부를, 뒤로는 천골의 척수관을 침범하는가에 따라 안전구역이 넓은가 좁은가를 판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의 검정은 McNemar x2- t e s t와 Cochran Q-test로하였다(p<0.05). 결 과 : 전형적인 천골 이형성증은 5례( 9 % ) 에서 발견되었다. 이형성증이 있는 5례중 4례( 8 0 % ) 에서, 이형성증이 없는 경우는 4 7례중 1 8례( 3 8 . 2 % ) 에서 안전구역이 좁은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천골익상부의 경사는 전방위가 1 6례, 정위가 2 5례, 후방위가 1 1례였는데 전방위의 1 5례( 9 3 . 7 % ) 에서 좁은 안전구역을 보여 다른 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 구역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오종건,배서영,김종오,노권재,이정준,장상열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천골 이형성증과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구역간의 상관관계, 천골 익상부 경사의 정상변이와 안전구역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골반골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중 단순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했던 5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천골 이형성증의 유무는 Routt 등의 기준에 근거하여 판독하였고, 천골 익상부 경사(sacral alar slope)의 변위는 컴퓨터 단층 사진에서 양측 ICD(Iliac cortical density)를 연결하는 선(inter-ICD line)을 기준으로 하여 익상부의 위치를 전방위(anterior), 중위(coplanar), 후방위(posterior)로 분류하였다.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에 사용되는 직경 6.5mm의 횡나사못에 의해 앞으로는 천골 익상부를, 뒤로는 천골의 척수관을 침범하는가에 따라 안전구역이 넓은가 좁은가를 판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의 검정은 McNemar x^2-test와 Cochran Q-test로 하였다(p<0.05). 결 과 : 전형적인 천골 이형성증은 5례(9%)에서 발견되었다. 이형성증이 있는 5례중 4례(80%)에서, 이형성중이 없는 경우는 47례중 18례(38.2%)에서 안전구역이 좁은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천골 익상부의 경사는 전방위가 16례, 정위가 25례, 후방위가 11례였는데 전방위의 15례(93.7%)에서 좁은 안전구역을 보여 다른 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천골 이형성증은 Routt등의 보고에 비해 빈도가 낮았다. 이형성증과 안전구역이 좁은 것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컴퓨터 단층 사진에서 양측 ICD를 연결하는 기준선에 대한 익상부 경사의 전방위는 안전구역이 좁을 것을 나타내는 지표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safe zone of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with sacral dysmorphism and sacral alar slope var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pelvic bone CT images of 52 patients. We reviewed each cases in terms of Routt' s dysmorphism and sacral alar slope variation(anterior, coplanar and posterior to inter-ICD line). We divided each cases into narrow and wide groups by the width of safe zone for the transverse 6.5mm cannulated cancellous screw. The data were analysed by McNemar x2-test and Cochran Q-test(p<0.05). Results : Typical sacral dysmorphism was found in five cases(9%). Four cases with dysmorphism(80%) and eighteen non-dysmorphic cases(38.2%) revealed narrow safe zones. The sacral slopes were anterior in 16 cases, coplanar in 25 cases, and posterior in 11 cases. The safe zone was significantly narrow in the group with anterior slope variation. Conclusion : We could not found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sacral dysmorphism and a narrow safe zone because the incidence of dysmorphism was too low in our study which differed from Routt' s report. An anterior sacral alar slope on CT can be a significant risk indicator for potential narrow safe zone and the risk of screw malpos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