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터 발표 : 간 ; Klebsiella pneumoniae가 간농양에서 차지하는 임상적 의의

        이은주 ( Eun Ju Lee ),김봉준 ( Bong Jun Kim ),장병익 ( Beyong Ik Jang ),김태년 ( Tae Nyeun Kim ),정문관 ( Moon Kwan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기원전부터 알려진 간농양은 크게 아메바성 농양과 화농성 농양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화농성 간농양은 담도계를 통한 감염이 가장 흔한 감염로이고, E.coli가 가장 흔한 원인 균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Klebsiella pneumoniae가 주요한 원인 균주로 떠오름에 따라 화농성 간농양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K. pneumoniae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화농성 간농양으로 최

      • KCI등재후보

        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 및 추적 관찰

        최진수(Jin Su Choi),김태동(Tea Dong Kim),이은주(Eun Ju Lee),이상원(Sang Won Lee),김봉준(Bong Jun Kim),임상우(Sang Woo Lim),김태년(Tae Nyeun Kim),정문관(Moon Kwan Chung),장병익(Beyong Ik Jang)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 조기 위암의 외과적 수술 결과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고, 내시경 수기가 개발됨에 따라 내시경적 치료가 조기 위암의 근치적 치료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침습도가 낮은 내시경적 조기 위암 치료법으로 조기 위암을 치료한 후 장기 추적 검사 결과에 대한 국내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조기 위암을 내시경적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후 이를 장기간 추적 관찰하는 방법으로 그 치료 성적을 판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원격 전이의 의심이 없고 내시경 검사 상 조기 위암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용종 제거 방법은 유경성인 경우는 올가미로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용종 절제술로 제거하였고 그 외 경우는 점막 절제술을 시행한 후 추적 관찰하였다. 절제 후 미분화 세포암, 인환 세포암, 점막하 조직 침윤이 있는 경우나 불완전 절제된 경우는 추가적으로 수술 시행을 원칙으로 하였다. 추적 검사는 2개월 후에 잔여 암세포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 2년간은 매 6개월마다, 그 이후는 매 1년 마다 내시경 검사, 혈청 생화학 검사, 흉부 X-선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혹은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재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는 남자 38예, 여자 9예로 평균 나이는 62.6±9.5세였고 10예가 중증의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치료 방법으로는 점막 절제술이 36예, 용종 절제술이 그 외에서 시행되었고, 3예에서 출혈이 발생하였으나 모두 내시경적 치료로 지혈되었으며, 천공 등의 중한 합병증이나 시술에 의한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다. 완전 절제는 47예 중 35예에서 가능하였으며, 불완전 절제된 12예 중 8예와 완전 절제된 환자 중 2예에서 수술이 시행되었다. 이들 중 3예에서는 잔류암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5예에서는 잔류암이 발견되었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가 2예였다. 47예 중 수술 후 추적이 가능한 환자는 33예로 평균 36.5±25.7개월간 추적검사 하였으며, 이 중 6예가 사망하였으나 사망 원인은 위암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사망까지의 생존기간은 31.4±23.3개월이었다. 추적검사 중 1예에서는 시술 후 28개월 후에 원발 부위 직상부에 위암이 국소 재발하였으며, 또 다른 1예에서는 시술 후 53개월 후에 원발 부위와 다른 부위에서 위암이 발생하였고 그 외 원위부 전이 등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위 점막에 발생하는 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치료는 적응증이 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좋은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되나 완전 절제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보다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As a result of endoscopic development and diagnostic technical improvements, the detection rat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has been increased and the prognosis of patients has been improved with surgical treatmen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EGC is the presence of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hose incidence is approximately 3% in patients with intramucosal EGC and 20% in patients with submucosal EGC. Recently, endoscopic resection has become the modality of treatment widely accepted in well selected cases of EGC. We have reviewed the results of endoscopic resection of EGC during 10 years and follow-up. Methods : Over a ten year period from 1989 to 1999, 47 EGCs were resected endoscopically and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6±9.5 years. Thirty-six cases were treat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11 cases were treated by snare polypectomy. Results : Thirty-five cases were defined as complete resection by pathologic study and 33 cases were enrolled in follow-up study group. During follow-up period, there were 6 cases of death which was not related to the original disease. The mean follow-up duration of the survival group was 36.5±25.7 months. Local recurrence was detected in 1 case and a new lesion developed on the other site in 1 case. Conclusion : It appeared that endoscopic resection is an effective therapeutic procedure for some cases of EGC.(Korean J Med 62:617-624, 2002)

      • SCOPUSKCI등재

        백서에서 출혈성 쇽이 장내세균 전위에 미치는 영향

        김봉준,정문관,김태년,정성복,권순욱,최교원,장병익 대한소화기학회 200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7 No.3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acterial translocation could be demonstrated after experimental hemorrhagic shock in rat and whether translocated bacteria have a pattern of distribution within the major organ system.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hemorrhagic shock group (group I, n=20), sham shock group (group II, n=20) and normal control group (group III, n=15). At 24, 48, 72 hours after shock, rats were sacrificed and bacteria in their major organs were cultured. Results: The incidence of cultured bacteria in group I were highest. In the group I, enteric bacteria were cultured at mesenteric lymph node of 15 rats (75.0%), liver of 10 rats (50.0%), spleen of 4 rats (20.0%), lung of 4 rats (20.0%), portal vein of 4 rats (20.0%). The most common cultured bacterial species was E. coli. The bacterial translocation seem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lungs at 48 and 72 hours after shock (p$lt;0.05) and cecal mucosal injury occurred after shock. Conclusions: Bacterial translocation was induced in hemorrhagic shock model. The identification of cultured organism in major organs supports the bacterial translocation from gut. Hemorrhagic shock could impair mucosal barrier, which may promote bacterial trans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