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 컨벤션 목적지 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 대구 컨벤션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

        장미화,윤영일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vention destination attributes that are important for 111 Daegu convention workers and to perform IP analysis to confirm Daegu 's achievement on the attribu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4 attributes of convention destination were derived by reflecting 15 previous researches and a criteria of convention industry. Second, the overall performance of Daegu was low. Also 52 of 54 attributes were low in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 safety and the financial support of city, the convention facilities’s physical quality such as size and environment, the quality of accommodation and the accessibility are important. Fourth, Daegu was rated highly for the safety, the accessibility of ground transportation, but accommodations was rated low relatively. Fifth, 18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ive strengths of Daegu. As a result, the physical quality of the convention facilities, the safety of city, and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putation of Daegu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since the accomplishment value is less important than the importance and the competitors are also trying to strengthen them, the continuous management is necessary. Sixth, 13 items were identified as Daegu 's weaknesses, which are significant but in low achievement. There are the size of the convention facilities, the number of accommodation rooms, the quality of accommodation, the cost of convention facilities, the travel time, the convenience of air routes and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the physical quality of convention facilities was rated highly, but the size of the convention facilities and the rental costs were identified as weak points. Also, the room number, quality and service of accommodation were identified as weaknesses. Daegu should improve the weakness in priority for the convention destination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대구 컨벤션 종사자 111명을 대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적지 속성을 확인하고, 그 속성에 대한 대구의 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해 IP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개의 선행연구와 컨벤션 업계의 개최지 평가 기준을 반영하여 컨벤션 목적지 54개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컨벤션 목적지 속성의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낮은 항목은 전체 54개에서 52개로 확인되어 대구는 전반적으로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구 컨벤션 종사자들은 개최지의 안전성과 재정적 지원, 회의 시설의 규모 및 환경 등의 물리적 품질, 숙박시설 품질, 접근성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넷째, 대구의 안전성과 지상 교통의 접근성은 좋게 평가하였으나, 숙박은 낮게 평가하였다. 다섯째, 전반적으로 성취도가 낮게 확인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게 나타난 항목, 즉 대구의 상대적 강점으로는 18개 항목이 확인되었다. 크게 분류해 보면 회의 시설의 물리적인 품질, 도시의 안전성, 컨벤션 도시로서의 대구의 행정적 지원과 평판은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그 성취 값이 중요도에 비해 못 미칠 뿐만 아니라 경쟁자도 강화하는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여섯째, 중요한 속성이나 성취도가 낮은 대구의 약점에는 13개 항목이 확인되었다. 회의 시설의 규모, 숙박 시설의 객실 수, 숙박 시설의 품질 및 서비스, 회의 시설비용, 이동 시간, 항공 노선의 편리함, 회의 진행을 위한 인적 자원, 협력 업체, 주최자 마케팅 지원 및 수익 창출, 재정적 지원 등이다. 특히 회의 시설의 물리적 품질은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의시설의 규모 및 임대비용이 약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숙박 객실 수, 품질 및 서비스가 약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로서 컨벤션 목적지로서 대구가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다.

      • 업스타일과 디자인 원리에 관한 연관성 분석

        장미화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 2015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Vol.11 No.2

        This thesis is analyzing how much does the aesthetic principle of design participate in creating hair style above other factors such as body, hair, heating machines and chemicals. The result led by applying the principle to various hair style shows that about 90% of hair style involves this aesthetic principle. The principle of design is applied in many types of beauty and expected to continue being studied.

      • 일개 대학교의 학생상담센터를 이용한 상담 내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장미화,임현술,최원상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1

        일개 대학교의 학생상담센터의 상담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상담 유형을 분석하고,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2002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2년간 학생상담센터를 이용한 내용은 심리검사가 647건, 개인상담은 400건, 행사를 통한 상담이 2,058명, 이메일을 통한 상담이 32명이었다. 월별 이용률은 4월과 5월, 10월과 11월에 높았다. 심리검사와 개인상담을 받은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여자가 남자보다 모두 많았고, 학년별 분포는 심리검사가 4학년, 개인상담은 2학년이 많았다. 상담센터 이용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서비스 만족 정도, 도움 정도, 주위 권유 유무, 준비 및 진행상태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학생상담센터가 정신건강의 지지, 교육 및 평가, 문제예방 측면의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활동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on counseling center by analyzing types of person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ests performed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We analyzed the cases for two years (from March 2002 to February 2004) which include 32 cases of e-mail counsel, 2,058 cases of personal counsel during symposia, 400 cases of personal counsel, and 647 cases by psychological tests. The utilization rates were highest during April-May and October-November. Female students utilized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more than male students in cases of personal counsel and psychological tests. Senior students favored psychological tests, but sophomore students favored personal counseling. Satisfaction survey for student counseling center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o the general services (95%), usefulness of counseling center (93.1%), advise somebody to recommend (93.8%),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the center (90.0%). Nevertheless, psychological tests comprise high proportion of the total counseling cases, and genuine personal counseling rate is low. Therefore, student counseling center should t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prevention of problems more actively and support students for emotional health.

      • KCI등재

        홍상수 영화의 포스트모던적 시간-이미지

        장미화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meaning of the indeterminat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Hong Sang-soo's films. In his films, time-image is embodied as an aesthetic strategy of postmodernism that rejects absolute truth supported by reason. Lyotard developed postmodernism criticizing modernism and predicted the advent of postmodern society after the collapse of the metanarrative, the grand narrative of modernity. This is in line with the time-image system of modern cinema that appeared after World War II, as Deleuze said. Like Lyotard's postmodernism, the time-image that appeared as the system of movement-image in the classic film collapsed, did not form a whole and sounded an alarm to the modernism that believed absolutely in the rationality of reason. Hong's films compose narratives with a set of short pieces and frequently show a time-image that goes beyond movement-image.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tmodernism of his films, focusing on the examples of time-image.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time-image in his films suggests a narrative after the grand narrative in the modern era through a narrative based on uncertainty. 본 논문은 홍상수 영화의 불확정적인 서사적 특징에 대해서 그 현재적 의미를 고찰했다. 그의 영화에서는 이성 중심의 절대적 진리를 거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적 전략으로서 시간-이미지가 빈번하게 구현되고 있다. 리오타르는 모더니즘을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펼치면서 근대 모던의 거대 서사, 메타 서사의 붕괴 이후 포스트모던의 사회가 도래할 것을 예견했다. 이는 들뢰즈가 말한 이차 세계 대전 이후 나타난 현대 영화의 시간-이미지 체제와 통한다. 고전 영화의 운동-이미지의 감각 운동 도식이 붕괴함에 따라서 출현한 시간-이미지는 전체를 형성하지 않고 이성의 합리성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믿는 근대의 모더니즘에 경종을 울린다는 점에서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일맥상통한다. 홍상수의 영화는 단편들의 집합으로 서사를 구성해서 운동-이미지를 넘어서는 시간-이미지 체제를 빈번하게 나타낸다. 이 논문은 그러한 홍상수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시간-이미지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를 통해 시간-이미지가 불확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그의 영화의 서사에서 모던 시대의 거대 서사 이후의 서사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홍상수 영화의 비결정적 시학 - <클레어의 카메라> (2017)을 중심으로

        장미화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1

        홍상수 감독의 2017년 영화 <클레어의 카메라>는 ‘차이’에 대해 사유하는 영화다. 주인공 전만희 (김민희 분)는 자신의 급작 스러운 해고와 관련해 사건을 천천히 복기한다. 이 영화에는 잠재태적 이미지와 현실태적 이미지의 이중화된 이미지가 두드 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 영화는 유사성에 의해 판단되는 차이가 아니라, 차이 그 자체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의 관점에서 이러한 결정체 이미지의 시간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이미지들 사이의 간격이 비인과적이기 때문에 이야기는 전체 즉, 연대기적인 시간으로 통합되지 않는다. 이 영화의 결정체 이미지는 들뢰즈 철학의 시간 개념인 아이온의 시간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홍상수 감독은 이야기의 연속성에 분기나 단절이 아니라 배열의 방식으로 균열을 일으키면서 이 전 시기와 달라진 차이를 보여준다. 작은 이야기들을 배열하고 변주하는 반복의 서사 구조는 일 방향으로 흘러가는 선형적 시간에서 벗어나는 해방된 시간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장면은 앞에서 이미 나온 장면과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를 강조하는 비 유기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었다. 그로 인해 전체적으로 참, 거짓이나 과거, 현재를 식별할 수 없는 모호한 시간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간성은 관객이 장면의 동일한 반복이나 재현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반복, 변주된 장면들 사이의 간격에서 차 이, 그 자체를 보게 한다. 결론적으로 홍상수는 서사의 비결정성을 통해서 관객이 해방된 시간을 경험하게 한다. Hong Sang Soo’s <Claire's Camera>, produced in 2017, is a film which conceptualizes ‘differences’. Jeon Man-Hee (Kim Min-Hee) revoked the situation related to her dismissal. The duality of the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is prominently presented in this film.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s a film with time images. The film show differences not induced by similarity of events but by the difference itself. This paper analyzes the undecidability of the crystal image, which is a concept of Gilles Deleuze. The intervals between images have non- causal characteristics and, accordingly, the story is not integrated into chronological time as a whole. The crystal image of this film shows the temporality of Aion, the concept of time in Deleuze's philosophy. Hong Sang-Soo is breaking up the continuity of the story by way of arrangement rather than branching or break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petition, in which little narratives are arranged and varied, presents a liberated temporality that escapes from how linear time flows in one direction. Each scene appears to be similar to the previous one, but each is arranged at non-organic intervals that emphasize the difference. As a result, there is an ambiguous temporality that cannot be discerned, whether true or false, past or present. This temporality draws attention not to the same repetition or reproduction of scenes but to the differences between irregularly repeated and varied scenes. In conclusion, the crystal image shows pure events through the expression of Aion, not a representation of Chronos, allowing the spectator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intervals between scenes. In addition, Hong Sang-Soo lets the audience experience a time of liberation through the undecidability of the narrative.

      • KCI등재

        <옥자>(2017)에서 자본주의 육식 문화 재현과 그 비판

        장미화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봉준호의 2017년 영화 <옥자>는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를 활용해 실사와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새로운 시각 효과를 선보였다. 이 영화에서 슈퍼 돼지 옥자의 재현은 동시대 신자유주의가 가성비 높은 육류를 개발하기 위해 동물을 비도덕적으로 착취하는 면을 고발한다. 비인간적인 존재로서 동물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감정과 고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가상 배우 옥자의 고통은동물의 권리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 이 영화는 오늘날의 음식 문화에서 육식 위주의 서구 문화가 가진 비도덕적인 면을 자본가 루시, 낸시와 한국의 소녀 미자의 대립 구도로 나타내고 서사적으로 자본주의가 생산한공간들을 경유한다. 이에 한국의 강원도 산골이 판타지적인 공간으로 나타나면서 서양의 음식 문화에 대한 대안적인 문화가 제시된다. 영화의 초반에 강원도 산골에서 옥자와 미자의 일상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재현된다. 이 공간은 서구 육식 문화와는 다른 동물에 대한 관점을 나타낸다. 이 논문은 <옥자>의 공간과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실사 이미지가 합성된 영화 속의 옥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영화적 재현에서 주장하는 동물의 권리에 대해서 도덕적인 차원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해도 인간이 동물을 잔혹하게 도살하는 방식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 시작과 끝에서 반복되는 공간은 그러한 육식 소비문화가 야기하는 불안 심리를 반영한다. 이 영화에서 공간의 순환성은 프로이트적인 반복 강박을 드러낸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유토피아란 불가능하다는 데에서 오는 불안을반영한다. Bong Junho's 2017 film <Ok ja> utilized 3D animation images to present visual effect that combines live action image and animation image. The reappearance of Okja, the super pig in this film, accuses contemporary neoliberalism of immoral exploitation of animals to develop cost-effective meat. As non-human beings, animals are portrayed as having emotions and suffering just like humans. The suffering of Ok ja, a virtual actress expressed in 3D animated images, calls attention to animal rights. In today's food culture, the immoral side of meat-oriented Western culture is presented as a confrontational composition between the capitalists Lucy and Nancy and the Korean girl Mija, and narratively passes through the spaces produced by capitalism. As a result, Korea's Gangwon-do mountain valley appears as a fantasy space and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culture to Western food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film, Okja and Mija's daily life in the mountains of Gangwon-do is reproduced as a space where humans and nature live in harmony. This space represents a different perspective on animals than Western meat-eating culture. This article analyzes the space of <Ok ja> and representation of Okj a’s character in the movie, which is a combination of animated and real images, and examines the rights of animals claimed in such cinematic representations from a moral point of view. In conclusion, even though animals can be used for the benefit of humans, it is morally wrong for humans to brutally slaughter animals. The space repeated at the beginning and ending reflects the anxiety caused by such a meat consumption culture. This circularity of space in film reveals Freudian ‘obsession with repetition’. It reflects the anxiety that comes from the impossibility of a utopia for humans and nature.

      • KCI등재

        <설국열차>, <기생충>에서 경제적 불평등 트라우마와 헤테로토피아의 변화 양상

        장미화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3

        Bong Joon-ho's films captured the attention of audiences by narratively reproducing the other side of class conflict of today. Here, the conflict caused by class differences triggers a violent incident and reveals the characters' trauma.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these two films reproduce the trauma caused by class conflict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focusing on the changing aspects of space as a heterotopia. In <Snowpiercer>, the space of the train running on the ice age Earth is a space where class struggle occurs, and within it, humans are isolated according to class. By depicting such scenes, the film shows the characters' trauma repeatedly throughout the film's space. In the reproduction of each compartment of the train, we encounter an eternal heterotopia that condenses the history of humanity. In the case of <Parasite>,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s depicted centered on the space of house. Bong Joon-ho satirizes the deepening class differences in modern Korean society through the invisible bunker space in the basement of a rich man's house in Seoul. In it, individuals live in seclusion without any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is space appears as a heterotopia in which the characters live. This article focuses on Michel Foucault's Heterotopia and examines how the central spaces in these two films reflect human consciousness resisting the control of capitalist society. Foucault gave meaning to the alternative value of this space, saying that humanity has heterotopias that resist the control imposed by the ruling system in any era. The spaces that reveal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n the two films are heterotopias imagined by Bong Joon-ho, spaces that oppose today's deepened class discrimination. Thanks to the film's narrative, these spaces reflect that the current neoliberal era overlooks humanity and urge us to reflect on thi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changing patterns of heterotopias that reproduce the trauma of class inequality. Surveillance, control, and violent incidents that occur due to social hierarchy spatially visualize the traumatic lives we have in the neoliberal era, and the overturning of the train shows that heterotopia is changing toward potential possibilities. The underground bunker is a heterotopia where Ki-taek seeks rehabilitation by disconnecting from the world that binds him.

      • KCI등재

        <롤라 몽테>(1955)에서 완벽한 결정체의 함의

        장미화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2

        질 들뢰즈는 시간-이미지 개념을 정초하면서 결정체-이미지를 언급한다. 그에 의하면 막스 오퓔스의영화는 바깥을 환기하지 않는 완벽한 결정체를 이룬다. 이 글은 <롤라 몽테>에서 한 여인의 삶을스펙터클하게 나타내는 서커스 쇼를 중심으로 한 결정체-이미지가 나타내는 함의를 탐색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오퓔스는 이 영화에서 롤라 몽테의 삶에 대해서 잠재태와 현살태의 식별 불가능한 양상을통해서 시간의 결정체를 나타내서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인물의 시간을 그려냈다. 시간을 생성해 나가는 주체로서 롤라 몽테의 욕망에 대해 다루면서 그녀의 부단하게 이동하는 삶의 시간을 보여주고있다. 바깥이 환기되지 않는 양상은 완벽한 결정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오늘날의 삶이 스펙터클이되어버렸음을 말하고 있다. 삶의 주체로서 롤라 몽테의 시간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욕망, 즉결여에 의한 것이 아닌, 현실의 영역 내에서 생겨나는 욕망을 추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 영화의완벽한 결정체는 롤라 몽테의 삶의 시간을 통해 작가 자신의 시간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Gilles Deleuze refers to the crystal image while defining the time-image. According to Deleuze, Max Opuls presents crystal image centered on a circus show that monstrates a woman's life in a spectacular way in <Lola Montès>. From the conclusion, Opuls portrayed the life of Lola Montès, expressing the crystallization of time through the indiscerniblity of the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describing the essence of time that is constantly changing. As a subject who creates time, Lola Montès's desire, showing her life time in a constantly traversing space. The persistent aspect of the inside of crystal image represents a perfect crystal, suggesting that today's life has become a spectacle. As the subject of life, Lola Montès's time reveals that Deleuze and Guattari’s idea about desire that is not because of lack, but come from the aspect of the real. The perfect crystal of this film reveals the director's perception of time via Lola Montes's life.

      • KCI등재

        협동학습 기반 다시쓰기 활동이 대학생들의 쓰기와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장미화,이화자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영문학21 Vol.32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based rewriting on college students’ writing and speaking skills. For this study, students carried out two types of rewriting activities over 1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N=25), implemented with cooperative learning, rewrote summaries and dialogues after reading, while the control group (N=17) rewrote summaries and dialogues by themselves. The methods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were pre- and post-writing samples, dialogues, summaries, and speaking tests. Both groups’ writing and speaking skills improved significantly over the instructional period.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both in summary/dialogue writing and speak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tructors find ways for low-proficiency students to improve productive skills as well as receptive skills in reading classes. A variety of re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to help these students become well-rounded communicators. It is also shown that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an be maximized when students are given opportunities to carry out tasks related to their own interests and proficienc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