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토 하악과두연조직 피개가 과두골성형술시 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장동호,이동근,김수남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1990 圓光齒醫學 Vol.1 No.1

        During the condylar shaving procedure,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can be removed. Author compaired the histological healing process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between the preservative and unpreservative group with 45 New Zealand rabbits(average wt.: about 2.5㎏). In unpreservative group, the usual high condylar shave with the removal of soft tissue cover was performed. In the preservative group, the underlying bone, replaced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sutured. The animals were sacrified 1,2,3,4,6 weeks interval after operation. The specimens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and decalcified, paraffin embedded and stained by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 s trichrom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dyles of the both group were covered with an articular soft tissue layer. 2. The cartilage cells in suharticular layer has regular continuous patterns in the preservative group but frequently interrupted in the unpreservative group. 3. The incision made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articular surface for the elevation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frequently caused a deformity such as the interruption of the subarticular layer of cartilage. 4. By the above findings, the preservation of articular soft tissue cover may be the effective operation method on concept of bone remodelling.

      • KCI등재후보

        퍼지논리연산을 이용한 안면도 지표환경 변화 예측

        장동호,지광훈,이현영 대한지리학회 2002 대한지리학회지 Vol.37 No.4

        지역개발의 결과인 지표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일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영상 자료를 이용한 퍼지논리연산을 통하여 안면도의 최근 20년(1981~2000) 간의 지표경관 변화를 예측하고 실제 변화된 내용과 비교 검토하였다. 안면도에 대한 문헌, 지도 및 현지답사한 결과에 의하면, 1980년대 이전에 주로 해안간척과 황무지개간,초지 조성 등으로 토지이용 형태가 변화되어 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해수욕장 주변과 준농림지역을 중심으로 민박시설과 점포 등이 무질서하게 들어섰으며, 1990년대에는 관광지 개발 및 도시지역의 확장으로 농경지는 증가하였으나 해안지역과 취락지역의 산림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퍼지논리연산을 이용하여 지표환경 변화를 통합하여 예측한 결과와 2000년 위성영상에서 얻은 안면도의 지표환경은 비교적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안면도 지역에서 대규모 토지피복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은 해안과 가까운 평지에 위치한 지역으로 예측되었는데 실제로 이 지역은 현재 대규모 개발이 진행 중이어서 연안환경 악화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방법은 향후 지표환경 변화 연구를 위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가변적 지역평균 단순 크리깅을 이용한 남한 지역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및 평가

        장동호,위눈솔,박노욱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5 기후연구 Vol.10 No.2

        This paper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a simple kriging with local means(SKLM) for highresolution spatial mapping of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rainfall in South Korea by using AWS observations in 2013 and elevation data. For an evaluation purpose, an inverse distance weighting(IDW)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in GIS and cokriging are also applied. From explanatory data analysis prior to spatial interpolation,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levation and temperature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levation and rainfall were observed.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are computed to compare prediction performance quantitatively. From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KLM showed the best prediction performance in all months. IDW generated abrupt changes in spatial patterns, whereas cokriging and SKLM ref lected not only the topographic effects but also the smoothing effects. In particular, local characteristics were better mapped by SKLM than by cokriging. Despite the potential of SKLM, more extensive comparative studies for data sets observed during the much longer time-period are required, since annual, seasonal, and loc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are very severe in South Korea.

      • KCI등재

        국지기후 예보를 위한 초고해상도 지면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동호,백승균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3 기후연구 Vol.8 No.1

        In this study, the ultra-high resolution ground information database (30m x 30m), such as elevation map, facet map, coastal map, land cover map, was constructed over Korean Peninsula. ASTER GDEM with 30m resolution was used to generate elevation map, facet map, coastal map, and the accuracy of GDEM was validated using DEM constructed with 1:25,000 digital map. The facet map was generated with 8 direction and flat area using GDEM. The coastal map with 6 categories was generated by buffering of the distance from coast lin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 elevation. The land cover map was generated with Landsat ETM+ 24 scenes (around 2000’s) by supervised classification, the land cover classes was composed with urbanization, agriculture, green field, forest, tidal flat, bare land, water area. The file format of ground information database is 8-bit or 16-bit unsigned Geotiff, the image size is 27,331 x 40,858 pixels, and the file size is 1.04GB or 2.08GB. The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UTM projection and WGS84 ellipsoid was applied to the database for the equal grid resolution. This ultra-high resolution ground information database will be able to provide a basis for regional climate modelling and forecasting accuracy enhancement.

      • KCI등재

        관측지점별 비동질성 회귀모델을 이용한 기온에 대한 확률론적 예측

        장동호,김찬수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7 기후연구 Vol.12 No.3

        In this paper, we used a nonhomogeneous Gaussian regression model (NGR) as the postprocessing techniques to calibrate probabilistic forecasts that take the form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for temperature. We also performed the alternative implementation techniques of NGR, which are stationspecific ensemble model output statistics (EMOS) model. These techniques were applied to forecast temperature over Pyeongchang area using 24-member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EPS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on-specific EMOS model performed better than the raw ensemble and EMOS model.

      • KCI등재

        전남 동부 해안지역의 기온변화에 따른 벼 적정 등숙기간 변화 분석

        장동호,권원태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07 기후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전남 동부해안지역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벼 적정 등숙기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앙기 조한일은 대략 2~6일 정도 빨라졌으며, 수확기 만한일은 4일 정도 늦어졌다. 따라서 벼 재배 가능기간은 약 4~8일 정도 늘어나서 기온상승이 벼 재배 가농기간을 늘어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구지역에서 봄철 및 가을철 기온상승이 있었음을 분석할 수 있으며, 반면에 여름철 기온상승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안전출수 만한 일 및 출수 만한일은 약 3일 정도 늦어졌으며, 그중 여수는 안전출수 만한일 및 출수 만한일이 각각 5일과 6일로 편차 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평균기온 연 변화와 벼 생산량 변화와의 상관관계는0.438로 상관성이 낮지만, 전반적으로 기온상승에 따라 벼 생산량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연평균기온 변화는 벼 생산량 변화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기후변화의 주요 지표로서 벼 작물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기후요소 및 기상재해와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보다 더 정성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