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크롤 압축기 내부에서의 열전달에 대한 연구

        장기태(Kitae Jang),정상권(Sangkwon Jeong)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ression process in scroll compressor was simulated in consideration of<br/> flow leakage and heat transfer. Tangential and radial leakages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scrolls<br/> were considered as nozzle flow. The experiment was first conducted with a scroll compressor for<b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R134a as a refrigerant.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br/> measured at the suction and discharge ports of the compressor to determine the thermodynamic states<br/> of the refrigerant flow.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croll with the involute angle was also measured<br/> by thermocouples that were installed inside the scroll.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compared<br/> with the numerical results. From this result, the thermal effect of mechanical contact was found to be<br/> important in heat transfer of the compression process.

      • KCI등재

        DSRC 자료를 이용한 고속도로 단기 통행시간 예측

        김형주,장기태,Kim, Hyungjoo,Jang, Kitae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현재까지 통행시간 예측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한국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예측방법론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통행시간을 기반으로한 DSRC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고속도로에 적절한 예측방법론을 도출한다. 경부고속도로 안성 JC~오산IC 구간의 24시간 DSRC 자료를 이용하며 단주기 통행시간 예측 및 비선형 관계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한다. 이어서 랜덤난수를 이용한 통행시간 예측결과의 정확도 검증을 실시한다. 통행시간 예측결과 오차율이 약 4%로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으며, 이는 패턴기반 인공신경망 예측시 이력자료의 전처리 과정과 최적의 입력층 및 은닉층의 선정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통행시간 예측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랜덤난수를 이용하였으며, 랜덤난수가 이력자료 패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실측치와의 오차율이 18.98%로 높게 도출되었다. 이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통행시간 예측시 패턴DB가 예측의 정확도에 주요하게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한국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통행시간 예측 및 정보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evelops a travel time prediction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real-time application. The algorithm searches for the most similar pattern in historical travel time database as soon as a series of real-time data become available.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is then taken to forecast travel time in the near future.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is algorithm, travel time data from Gyungbu Highway were obtained and the algorithm is applied.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algorithm could predict travel time within 4% error range if comparable patterns are available in the historical travel time database. This paper documents the detailed algorithm and validation procedure, thereby furnishing a key to generating future travel time information.

      • KCI등재

        고속도로 정체 기준 속도의 적정성 검토 및 개선 연구

        이수진,고은정,장기태,박성호,박재범,윤일수,Lee, Sujin,Ko, Eunjeong,Jang, Kitae,Park, Sungho,Park, Jaebeom,Yun, Ilsoo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Much time has passed since Korea's expressway congestion-threshold speed was revised in 2011. In the meantime, various expressway environments have changed owing to improved performance of vehicles, expanded operations of transport competition (i.e., the KTX), and increased speed limits along some expressway sections. In addition, the speed that expressway users expect to travel at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rough a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s expressway users' perceptions of congestion, and reviews the adjustment of the expressway speed congestion threshold by analyzing expressway traffic flow. One result of the survey confirms that the threshold speed expressway users consider to be congestion has slightly increased. Analyzing traffic and speed data through a K-means algorithm found that the threshold speed for congestion is 60 km/h. In addition, assuming the congestion threshold speed increase from 40 km/h to 50 km/h and 60 km/h, frequently congested expressway sections are identified, determining that 50 km/h is appropriate as a congestion threshold for proper expressway mobility management. 2011년에 고속도로 정체 기준 속도가 개정된 후 많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량의 성능 개선, 경쟁 관계에 있는 고속열차 운행 확대, 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제한속도 상향 등 다양한 고속도로 주행환경 변화가 발생하였고 고속도로 이용자의 이동 신속성에 대한 기대수준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고속도로 이용자의 정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고속도로 교통류 분석을 통해 고속도로 정체 기준 속도의 재설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결과, 고속도로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정체 기준 속도가 다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K-means 알고리즘을 통해 교통량 및 속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행과 정체의 분류 기준은 60km/h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체 기준 속도를 50km/h와 60km/h로 상향하는 것을 가정하여 고속도로 정체잦은구간을 산정해본 결과, 50km/h가 고속도로 이동성 관리를 위한 정체 기준 속도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 수도권 도시철도 운영기관 간 운임수익 배분방안 비교·분석

        김재환(Jaehwan Kim),장기태(Kitae Jang)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현재 수도권에서는 소유구조(국가/자치단체/민간기업 등)가 상이한 다수의 철도운영기관이 통합요금제를 바탕으로 단일한 광역·도시철도망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향후 민자노선의 건설에 따라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따라서 이용객들의 빈번한 환승에 따른 적정한 연락운임 정산·배분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외 철도운영 및 시설관리기관 간 수익배분 사례를 조사하여 운임의 구성요소 및 산정기준을 파악하고, 상이한 운임정산 및 배분방안을 비교·분석하여 장·단점을 정리한다. 이를 통하여 오늘날의 도시철도망 구조와 향후 변화를 감안한 운임수익 배분방안 마련에 필요한 시사점과 검토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Seoul Metropolitan Area, several railway operators compose a single integrated metropolitan railway network under the unified fare system. The number of operators gradually increases due to continuous expansion of the network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privately funded projects. This study reviews current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revenue distributing strategies among railway operators and railway infrastructure management companies, to unveil the main components of fare decision and criteria for revenue distribution. This study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t revenue distributing strategies to evaluate pros and cons of each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rawn to formulate policy to distribute revenues under current and future railway network.

      • 유발수요 및 반동효과의 미시경제학적 해석

        변지혜(BYUN, Jihye),장기태(Jang, Kitae)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8 No.-

        교통수요의 정확한 예측은 교통계획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교통수요는 직접적인 요인 이외에도 피드백(feedback) 요인 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피드백 영향 요소인 유발수요(Induced demand)와 반동효과(Rebound effects)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유효수요란 교통기반시설의 확충으로 통행시간 감소 편익(benefit)에 의해 발생되는 수요를 의미하고, 반동효과에 의한 수요란 연료효율의 증가로 인해 단위거리 당 차량운영비용의 감소 편익에 따라 발생하는 수요라 정의한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긍정적 효과를 위한 개선사항이 수요의 증가를 가지고 오는 역설적 인 피드백이며 이에 대한 올바른 고려가 없으면 과대 혹은 과소한 수요예측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의 생산자와 소 비자로써의 운전자의 효용분석과 시장선호의 변화 분석을 통해 유발수요와 반동효과의 생성과정을 미시경제학 이론을 이용하여 비 교/분석/설명 하여 수요 예측에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발수요와 반동효과를 동시에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경제학적 이론 기반을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수요탄력성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정밀한 교통수요 예측 및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