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면도 먹넌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

        송정호(Jeong-Ho Song),임효인(Hyo-In Lim),장경환(Kyeong-Hwan Jang),홍경낙(Kyung-Nak Hong),한진규(Jingyu Han)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1

        우리나라에서 먹넌출은 안면도 지역에서만 소나무 숲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본 연구는 먹넌출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선발된 8개 I-SSR primer에서 총 50개의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7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13개의 다형적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위한 조사구 90m × 70m내에 총 39개체의 먹넌출이 자생하고 있었으며, 군집지수(aggregation index)는 0.706으로 집중분포(clumped distribution)하는 공간분포를 나타냈다. I-SSR 표지자 분석 결과 39개체 중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21개의 유성생식체(genet)가 식별되었으며, 유전자형 비율(G/N)은 53.8%, 유전자형 다양성(D)은 0.966, 유전자형 균등도(E)는 0.946으로 각각 나타났다. Shannon의 다양성지수(I = 0.598)는 적은 개체수와 제한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종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나타냈다. Tanimoto distance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안면도 먹넌출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 전략은 6m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is only found in Anmyeon Island of South Korea. Genetic diversity and th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B. racemosa var. magna in Anmyeon Island were studied by I-SSR marker system. Fifty I-SSR amplicons were produced from 8 selected primers. We used 13 polymorphic markers to analyze the genetic structure. Distribution of 39 individuals in the study plot (90 m × 70 m) showed aggregate pattern (aggregation index = 0.706). Total 21 genets were observed from 39 individuals through I-SSR genotyping. Proportion of distinguishable genotype (G/N), genotype diversity (D) and genotype evenness (E) were 53.8%, 0.966 and 0.946,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small number and the narrow distribution, Shannon’s diversity index (I = 0.598) was relatively high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plant species. For ex situ genetic conservation of B. racemosa var. magna, the sampling strategy based on spatial autocorrelation using Tanimoto distance is efficient at choosing the conserved individuals with a 6 meter interval between individual trees.

      • 가침박달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표본 선발 전략

        임효인 ( Hyo In Lim ),한진규 ( Jing Yu Han ),장경환 ( Kyeong Hwan Jang ),홍경낙 ( Kyung Nak Hong ),홍용표 ( Yong Pyo Ho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희귀식물 가침박달의 실생묘를 이용한 현지외 보존시 집단 선정과 개체 선발 방법에 따른 유전적 다양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선발 전략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7개 집단을 대상으로 자연집단과 차대집단의 유전다양성을 평가하였다. 7개 차대집단의 종수준의 유전다양성( S.I .=0.505)은 자연집단( S.I .=0.536)의 94%로 나타났다. 가침박달의 자연집단은 선행 연구에서 유전적 특성에 따라 크게 3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지역별로 가장 유전다양성이 높은 3개의 집단(대구, 청주, 단양)에 대해 종 수준의 유전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0.493으로 자연집단의 92%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7개 집단을 선정하는 것과 3개 집단을 선정하는 것 모두 자연집단의 유전다양성 90% 이상을 보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 집단을 보존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개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별 개체 선발 개수에 따른 유전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집단별 34개체씩 총 102개체 이상을 선정할 경우 자연집단의 92%의 유전변이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침박달의 현지외 보존시 3개 집단(대구, 청주, 단양)을 대상으로 집단별 34개체 이상을 선정하여 보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ive seedling sampling strategies for ex situ conservation of Exochorda serratifolia S. Moore based on the result of change in genetic diversity with different selection methods of populations and individuals. Genetic diversity was estimated in seven cohorts of the natural populations and their progeny populations(seedlings) of E. sarratifolia in South Korea. The ratio of genetic diversity at the species level in progeny populations was 94 percentage of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natural populations.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y, the natural population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ree populations(Daegu, Cheongju, and Danyang), which have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in each group, showed a 92 percentage of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natural populations at the species level. Both sampling methods were effective to maintain over 90 percentage of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natural population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selecting three populations more efficient. For three populations, if more than 34 individuals(total 102 individuals) were selected in each population, which would be expected to maintain 92 percentage of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natural populations. Thus it was effective to select 3 populations and more than 34 individuals in each population for ex situ conservation of E. serratifo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