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간보 창안의 주체

        임현택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On September 23,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2015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aimed at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based on the Article 23, Section 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s a result, music curriculum have also been partially revised, which seems to maintain the 2009 revision of music curriculum. Although Jeongganbo 井間譜 is already exposed in the music curriculum for the third and fo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learning content about how to read Jeongganbo and how to express the pitch and length of sound including the origin of its name and the background of its invention are dealt with specifically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Jeongganbo is known as the oldest mensural notation in the Orient created by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nd it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Sejong sillok akbo 世宗實錄樂譜 (Score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oldest musical score still in existence. However, in the music textbooks as well as the most of specialized book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uncritically accepted without providing clear grounds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himself. If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on which grounds it is claimed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grounds of the proposition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which is introduc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y separating it into Sejong’s creation of Sinak 新樂 (new music), Sejo’s invention of Jeongganbo and Sejong’s invention of Hangeul. Next,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of Jeongganbo has been described in the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2009 revision of music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music education by pointing out the related problem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nd circumstances such as Sejong’s creation of Sinak, Sejo’s invention of Jeongganbo with 16 Jeonggan (square) in one vertical line, Sejong’s invention of Hangeul and so on, it seems to be the most reasonable that Sejong is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of Jeongganbo as of now. However, the attitude of the musical academy to accept and educate the unclear thing as if it is a fact does not seem desirable. Therefore, I suggest that it should be described “Jeongganbo was invented in the period of Sejong” or “it is supposed that Jeongganbo was invented by Sejong” rather than presenting “Sejong made Jeongganbo” or “created” until revealing the clear evidence about the subject of Jeongganbo. 2015년 9월 23일 교육부는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일부 개정되었는데, 그 큰 틀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과의 영역 안에서 정간보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육과정에서 이미 노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정간보의 명칭 유래 및 창안 배경을 비롯한 악보 읽는 방법, 음높이 및 음길이 나타내는 방법 등에 관한 학습 내용은 5∼6학년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정간보는 15세기 중엽 조선조 세종에 의해 창안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량악보로 알려져 있으며, 현전하는 악보 중 가장 오래된 악보인 『세종실록악보』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악 관련 전문서적은 물론이거니와 음악교과서에서는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한 주체임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근거에 입각하여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하였다고 주장하는지 가려낼 필요가 있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에서 소개되는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하였다’는 명제에 대한 근거를 세종의 신악 창제, 세조의 정간보 창작, 세종의 한글 창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된 초등학교 5∼6학년 6종 검정교과서를 대상으로 정간보 창안의 주체가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바람직한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종의 신악 창제, 세조에 의한 1행 16정간의 정간보 제작, 세종의 한글 창제 등 역사적 기록 및 정황들을 종합해 보면, 세종이 정간보의 창안 주체임이 현재로서는 가장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만으로 명확하지 않은 일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받아들이며 교육하는 음악학계의 태도는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정간보 창안의 주체자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드러나기 전까지 “세종이 정간보를 만들었다” 또는 “창안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술하기보다는 “정간보는 세종조에 창안되었다” 또는 “정간보는 세종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추정된다”로 바꾸어 기술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2P-624 환경 부하개선을 위한 BCTMP 표백약품 연구

        임현택,김철환,이지영,권솔,박형훈,구호경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CTMP는 에너지 효율이 낮고 섬유손상이 높게 발생하는 TMP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펄프를 뜻한다. TMP 제조 과정중 전처리과정에서 약한 조건의 화학적 처리를 통해 리파이닝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전력 절약과 동시에 펄프의 수율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CTMP의 표백과정에서 일어나는 공정 오염으로 인한 환경 문제점들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표백 약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TMP의 표백과정에서 H2O2와 NaOH를 사용하는 기존의 표백 방법을 H2O2와 Mg(OH)2를 사용하는 표백방법으로 바꾼 후, 최적화 표백기술을 개발하고 백색도 및 폐수 부하경감을 현실화 시키고자 노력하였다.

      • KCI등재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임현택,김정면,박성용,심규성,김정수,김용성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2

        통합 재해지도 작성은 오늘날 주요 문제 중에 하나이다. 재해지도를 재해예방과 재해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통합 활용의 필요성 및 인프라에 대한 인식은 현재까지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지도 작성·활용 실태분석을 통해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 및 통합 활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작성방법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재해 복구금액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Integrated hazard mapping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today. Despite the need to utilize the hazard map for disaster prevention and disaster mitigation measures, we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is still lack of integrated mapping facilities today. In this study, a hazard information map’s utilization information and analysis were gathered and made in order to provide an integrated development plan for the resulting standard visualization mode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isaster recovery and the amount of life and property damage due to flooding.

      • KCI우수등재

        수치표고모형 (DEM)을 이용한 침수재해 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임현택,김재휘,이학범,박성용,김용성,Lim, Hyun Taek,Kim, Jae Hwi,Lee, Hak Beom,Park, Sung Yong,Kim, Yong Seong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2

        Recent floodplain data are important for river master plan,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comprehensive plan and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Hazard map, base of floodplain data, is being emphasized as important method of non-structural flood prevention and consist of inundation trace map, inundation expected map and hazard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describes distribution of area that damaged from typhoons, heavy rain and tsunamis and includes identified flood level, flood depth and flood time from flooding area. However due to lack of these data by local government, which are foundational and supposed to be well prepared nationwide, having hard time for making inundation trace map or hazard information map. To overcome this problem, time consumption and budget reduction is required through various research. From this study, DEM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image material from UAVS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numeric geographic map from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used for calculating flooding damaged area and compared with inundation trace map. As results, inundation trace map DEM based on image material from UAVS had better accuracy than that used DEM based on numeric geographic map. And making hazard map could be easier and more accurate by utilizing image material from UAVS than before.

      • KCI등재

        옥수수(Zea may L.)재배 토양에서 제지슬러지퇴비의 시용효과: 무기태인산을 중심으로(II)

        임현택,장기운,Lim, Hyun-Taek,Chang, Ki-Woon 유기성자원학회 2001 유기물자원화 Vol.9 No.1

        본 연구는 제지슬러지퇴비를 농업분야에 활용할 때 시용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고, 대상작물은 옥수수였다. 퇴비는 사질토양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시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산의 가용화, 작물체의 양분흡수. 이에 따른 토양중 무기인산의 변화를 평가했다. 포트 시험은 비닐하우스에서 이루어졌으며, 인산의 분획물과 작물의 수량을 조사하였다. 포토실험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중 Saloid-P의 양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Fe-P는 감소하였고, 시용량이 많았던 100Mg/ha 처리구에서는 감소의 폭이 뚜렷하였다. 제지슬러지퇴비를 시용한 포트에서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퇴비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수량은 증가하였으며, 질소의 흡수는 증가한 반면, 식물체중 인산의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퇴비의 시용량 증가로 식물체중 인산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산의 결핍은 일어나지 않았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hosphate fractions in cultivating soil with paper mill sludge comport(PMSC). The experiment were conducted in cultivating corn by a pot test. The place of the pot test was a plastic house. The pot size was 1/5000a and PMSC was added at rates of 0, 30, and 100 Mg/ha. The pot experiment was divided to two treatments, one in which corn was cultivated and the other which was not. The items of measurement was pH and inorganic phosphate fractions which were determined for the pot tests for 80 days. The result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pH increased depending on the higher rates of PMSC application to the soil during the Pot tests, because calcium content was high and contents of nutrient were high. When the application rates of PMSC were increased, Saloid-P and Fe-P decreased, while Al-P and Ca-P in soil increased during the pot test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PMSC application rates, the growth and the yield of com significantly increased Such result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nutrient level from PMSC application. Although uptake of phosphorus in corn decreased in the corn with increased application of the PMSC, phosphate deficiency didn't appear in the pot test.

      • SCOPUSKCI등재

        집단 발생한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 생산 Shigella sonnei 감염에 의한 세균성 이질에 관한 연구

        임현택,이소희,이정화,김정은,김교순,정은주,이승현,강창규,홍성진,Lim, Hyun Taek,Lee, So Hee,Lee, Jung Hwa,Kim, Jeong Eun,Kim, Kyo Sun,Jeong, Eun Ju,Lee, Seung Hyun,Kang, Chang Gyu,Hong, Seong J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0

        목 적 : ESBL 생산 S. sonnei에 의한 장염의 대규모 발생은 과거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볼 수 없었다. 저자들은 집단 발생한 ESBL 생산 S. sonnei에 의한 장염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여 ESBL 생산 S. sonnei 감염증에 대한 치료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2004년 11월 충주 ${\bigcirc}{\bigcirc}$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집단 발생한 급성 장염 환자 중 분변 배양 검사상 S. sonnei가 검출되어 치료받은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에서 분리된 S. sonnei에 대해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DNA 염기 서열 검사를 시행하였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검사 소견, 그리고 항생제에 대한 반응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임상 증상은 발열 96.1%, 설사 93.2%, 복통 76.7%, 두통 71.8%, 구토 65.0%, 그리고 구역 41.7% 순으로 나타났다. 발열은 평균 2.0일간 지속되었고, 설사는 평균 3.9일간 지속되었다. 설사의 양상은 수양성 설사는 69%, 점액성 설사는 26%, 그리고 혈변은 5%에서 관찰되었다. 말초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다증을 보이는 경우는 53.4%이었고, 혈청 검사에서 CRP 양성을 보이는 경우는 78.6%이었다. 대변 직접 도말 검사에서 백혈구가 고배율 당 50개 이상인 경우가 11.7%, 그리고 5-20개인 경우 9.7%이었다. 대변 잠혈 반응은 71%에서 양성이었다. 본 유행에서 분리된 ESBL의 유형은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 CTX-M-14 유형으로 밝혀졌다. 항생제 투여에 대한 미생물학적 치료 결과는 ciprofloxacin 투여자 중 100%(9/9), azithromycin 투여자 중 100%(5/5), cefdinir 투여자 중 6.9%(5/72), ceftriaxone 투여자 중 0%(0/8), ceftizoxime 투여자 중 12.5%(1/8), TMP/SMX 투여자 중 0%(0/8), ampicillin/sulbactam 투여자 중 42.9%(3/7),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자 중 20%(1/5), 그리고 imipenem/cilastatin 투여자 중 68.8%(11/16)에서 추적 검사상 음전 되었다. 결 론 : 소아에서 발생한 ESBL 생산 S. sonnei에 의한 세균성 이질에 대한 항생제 선택에서 비용-효과 면이나 안전성 면에서 azithromycin이 매력적인 일차 선택약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iprofloxacin은 비용-효과 면에서는 우수한 약제일 수는 있으나 소아에서의 사용은 아직 이르다고 생각된다. Purpose : An outbreak of ESBL-producing Shigella sonnei enteritis was unprecedented not only in Korea but throughout the world in the past. We intended to devise a management guideline for ESBL-producing shigellosis based on analysis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esponse to therapy. Methods : We analyzed 10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acute GI symptoms and were shown positive result for S. sonnei on stool culture. We performed sensitivity test to the antibiotics and DNA sequencing of ESBL gene in the isolated S. sonnei colonies. In additio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results, and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responses to the antibiotics. Results : Among the clinical manifestations, fever was the most frequent(96.1%), followed by diarrhea(93.2%), abdominal pain(76.7%), headache(71.8%), vomiting(65.0%), and nausea(41.7%). The fever was sustained for average of 2.0 days and diarrhea for 3.9 days. Watery diarrhea was the most common(69%) followed by mucoid(26%), and bloody stool(5%). On peripheral blood smear, leukocytosis was noted in 53.4% of patients, and 78.6% of patients tested positive for serum CRP response. On stool direct smear, 11.7% of patients showed more than 50 WBCs/HPF, and 9.7% of patients between 5 to 20 WBCs/HPF. Stool occult blood was positive in 71% of patients. Production of CTX-M-14 type ESBL was reported for all S. sonnei strains isolated from this outbreak. Microbiological eradication rates to various antibiotics were as follows : 100%(9/9) to ciprofloxacin, 100% 5/5) to azithromycin, 6.9%(5/72) to cefdinir, 0%(0/8) to ceftriaxone, 12.5%(1/8) to ceftizoxime, 0%(0/ 8) to TMP/SMX, 42.9%(3/7) to ampicillin/sulbactam, 20%(1/5)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and 68.8 %(11/16) to imipenem/cilastatin. Conclusion : It is presumed that azithromycin can be an attrac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ESBL-producing S. sonnei enteritis in pediatric population, given its cost-effectiveness and safety. Although ciprofloxacin is another cost-effective agent, its use in pediatric population may be a bit too premature.

      • KCI등재후보

        Therapeutic Hypothermia for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A Single Center Experience

        임현택,안준형,김지희,오재근,송준호,장인복 대한신경손상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Vol.12 No.2

        Objective: Therapeutic hypothermia (TH) and decompressive craniectomy are neuroprotective interventions following severe brain swelling. The precise benefits, risks, and clinical outcomes in brain swelling after TH are still being investigate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 in severe brain injury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Methods: We reviewed the cases of 24 patients who underwent decompressive craniectomy with intracranial pressure (ICP) monitor insertion in one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12 and May 2016. All patients had an ICP greater than 15 mmHg and a Glasgow Coma Scale score of less than 7 at the time of intervention. TH was induced in half of the patients (n=12) directly after surgery; the remaining 12 patients remained normothermic. The ICP, vital signs,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the patient groups. Results: The mean ICP in the TH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normothermia group. Complications during the 3 days after surger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hypokalemia in the TH group. Mortal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was higher in the normothermia group, but the functional outcomes 3 months after surger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H and normothermia groups. Conclusion: TH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was effective for lowering ICP in patients with severe brain swelling. TH also reduced mortality in the ICU, but it had no benefit in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
      • 2P-620 Refiner 플레이트 패턴에 따른 고해 효율 비교

        임현택,김철환,이지영,권솔,박형훈,구호경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현재 국내 리파이너 플레이트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적인 생산비용 지출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산 리파이너 바를 제작하여 리파이닝을 실시하였다. 리파이닝시 펄프섬유는 각 수종에 따라 섬유장과 리파이닝 저항성을 가지며, 종류에 따라 플레이트 패턴 또한 달라져야 고해효율성이 높아진다. 침엽수펄프의 경우 섬유장이 길어 바의 넓이가 크게 제작하여 섬유의 절단에 중점을 두고 활엽수펄프의 경우에는 섬유장이 침엽수에 비해 짧기 때문에 바의 넓이를 줄이고 바의 개수를 늘려 피브릴화에 중점을 두고 제작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리파이너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침엽수와 활엽수를 고해 하여 이를 이용하여 실험실적으로 종이를 제작한 후 주요 물성을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