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GO/NPO 연구의 최근 동향

        임현진(Lim, Hyun-chin),공석기(Kong, Suk-ki)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전지구적 차원의 사회운동이 부상함으로써 국제연대 활동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이론정립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초국적 운동주체에 대한 개념적 합의 없이 다양한 용어와 개념이 혼돈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초국적 운동주체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분석과 이해를 돕고자, 본 논문은 먼저 구미학 계에서 사회운동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본 후, 지구시민사회를 활성화시킬수 있는 구심체인 초국적사회운동의 형태, 역학 및 장애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환경운동이 추진한 국제연대활동을 초국적사회운동의 관점에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최근의 지구시민사회 논의는 초국적 운동주체의 급부상을 통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들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탈중앙화된 지역행 위자들로서 담론과 실천 네트워크를 통해 지구문화의 전파 및 확산을 통해 세계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이러한 초국적 활동이 지속적인 네트워크로 발전하여 지구적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그러나 이들의 활동을 가로막는 다양한 장애물들이 놓여 있다. 지구시민사회의 진정한 주역은 누구인가? 국제 및 지역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다차원적 연대 활동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 NGOs의 남북문제, 정보와 자원을 얼마나 균형 있게 나눌 수 있는가? 국가의 주권 및 안보 이슈, 즉 정책구현체로 서의 국가와 어떻게 전술적으로 협력할 것인가? 한국 환경운동의 경우, 초국 적사회운동 논의는 1992년 리우 세계 환경회의를 분기점으로 살펴보는 것이 타당하다. 동강 댐 반대운동과 새만금 간척사업 반대운동은 지역수준에서 발의된 초국적사회운동 사례이다. 전자가 언술네크워크에 기초한 초국적 옹호망 이었다면, 후자는 지속적인 네트워크와 효과적인 프레임 조정과정에 기초한 초국적사회운동으로 나아가는 초기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With the upsurge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on a global scal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analytical concepts and theories about varying activities across national borders.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main issues on current social movement studies, and addresses key characteristics, dynamics, and obstacles of global civil society theory by focusing on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as a crucial body for implementing it. As an example, this paper briefly analyzes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since 1992. Such a big increase of NGOs at various levels empowers global civil society arguments theoretically as well as substantially. They are decentralized non-state actors across national borders who can contribute to diffusing or expanding global cultures through discourse and networks. Based on sustained networks, they can develop not only global identity but also transnational solidarity supported by social capital on a global scale. Unfortunately, such a fantastic vision has faced many obstacles.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entered transnational public spher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UNCED at Rio de Janeiro in 1992. The anti-Tong River Dam and the anti-Saemangeum Land Reclamation campaigns are locally initiated transnational cooperation between transnational and local movements. While the former can be categorized as the level of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based on discursive networks, the latter can be the early level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based on sustained networks and effective framing.

      • KCI등재SCOPUS

        Regional Community Building in Northeast Asia in a Global Context

        HYUN-CHIN LIM(임현진),SUK-MAN HWANG(황석만),JONG-CHEOL KIM(김종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3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2 No.1

        In the context of power shift from Europe to Asia, Asia is creating a new history as the most dynamic region in the world. Historically, Asian countries have long maintained cultural and institutional connections within the region through constant contact, exchange, trade, and warfare. These cultural and institutional linkages serve as a cohesive factor for Asian countries to converge on regional commonness despite intraregional disparities. When looking at Northeast Asia, the center of Asian dynamism, the region’s future is beset by serious challenges and threats, complicated by historical conflicts and territorial disputes. Building a regional community is crucial to turn tension and conflict to cooperation and coexistence in the region, but it is hampered by hegemonic competition under the rise of nationalism. As a way out, they should take both economic and cultural approaches toward the creation of regional community according to bilateral principles based upon one-to-one negotiations. In this regard, the non-expansionary stance of Korea so far gives her a moral hegemonic precedence over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임현진(Lim, Hyun-Chin),정일준(Chung, Il-J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21세기 한국 사회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은 ‘홀로서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 학계와의 ‘관계맺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우리 현실을 바탕삼아 새로운 사회이론을 만들 수 있도록 한국 사회에 관한 문제틀, 메타이론,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첫째,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융합과 통섭의 총합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학제적 연구를 넘어 초제적 또는 탈제적 접근을 추구해야한다. 사회과학 내부에 인위적으로 구획된 장벽을 낮춤으로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여 보다 열린 지식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학은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 사회에 관한 부분사적ㆍ전체사적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을 보다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연구가 외래 이론에 의해 계도된 사실분석이었다면, 앞으로는 한국 현실에 대한 ‘짙은 묘사’를 바탕으로 ‘제한된 일반화’를 시도함으로써 우리 이론을 만들고 바로 세우는 작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학은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연구의 국제화와 지역연구의 국내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지평에서의 논의도 평가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정립하고 또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때, 나아가 세계의 문제를 우리의 준거를 가지고 정의하거나 재해석 할수 있을 때, 한국학의 세계화가 가능하다. The right positioning of 21st century Korean Sociology lies on the one hand in ‘standing alone’ of Korean sociology, and on the other hand in ‘reaching out’ to global sociology.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we should elaborate problematique, meta-theory and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society. First, by dismantling disciplinary divisions, we should pursue comprehensive approaches in our unique research topics.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 and post-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We should promote dialogues amo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sociology within social science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more opened knowledge system. Second, sociology should strengthen its ties with history department. By using particular and total knowledges accumulated in history, we can delve into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So fa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is mainly guided by the imported foreign theories, we can try ‘limited generalization’ based on ‘thick description’ of Korean realities. Third, we should lead comparative researches with other nation-states, cultures, and regions. In order to do that, globalizing national researches and nationalizing regional researches are preced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ies can be evaluat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We can globalize Korean studies only on these conditions: We could problematize our own problems upon our own perspectives and show solutions of our own making. Furthermore, we can define or interpret global problems from our own reference point.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에서의 내셔널리즘과 보편주의의 조화 : 문화 공동체의 모색

        임현진(Lim Hyun-Chi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4

        This paper seeks to find out a relevant measure for harmonizing nationalism and universalism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have for a long time been involved in history distortions and territorial disputes. These history distortions and territorial disputes have so far constrained rather facilitated coexistence and cooperation among three countries. In recent years, however, the author can find increasing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cultural and educational exchange, and NGOs network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t is argued in the paper that cultural community rather than economic one would be more effective in furthering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ree countries. In particular, ‘Korea-China-Japan Meeting for Historical and Cultural Understanding’(tentatively named) and ‘Korea-China-Japan Forum for Civil Society’ (tentatively named) are suggested to be established to consolidate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and networks at both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level.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회의 변화와 양성평등 사회의 모색

        임현진(Lim, Hyun-Chin),박순열(Park, SoonYaw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

        본 논문은 지구화된 자본주의에서 한국이 나아가기 위한 ‘미래창발적’ 발전전략을 양성평등 사회의 측면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사회자체의 지속과 재생산위기의 징후로 간주되는 인구감소, 고령화, 가족의 해체/다양화, 그리고 양성체계(gender regime)의 변동과 추이를 지구화와 신자유주의맥락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 모든 위기가 거시사회적으로 구조화된 양성체계 속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과 연관됨을 밝힌다.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의 여성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그 변화를 살펴보고, 여성고용할당제, 일-가정 양립정책 등과 같은 정부의 여성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양성평등한 미래창발적 발전을 위한 제언과 그 함의를 살펴본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Korean ‘emergence’ developmental strategy in globalized capitalism system from a gender equal society angle. To do this, we scrutinize population decline, aging, dissolution/diversification of family, and change of gender regime which are regarded as the crisis of Korean society’s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zation. We argue that these changes are intertwined with women’s status and social role in the gender regime embedded in social structure. Then, we critically examine the trends of women’s social-political status, and Korean government’s women policies such as gender quota system, work and life balance. And we suggest some ideas for gender equality-oriented ‘emergence’ developmental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