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장애인 여성의 성적 욕구와 인식에 관한 연구

        임해영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3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usefu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 and professional service provider that support the sexuality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understa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their sexual desire and awareness.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6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sexual desire erupting from curiosity’, ‘pleasant actions in loving relationship’, ‘unexpected stimulating action’, and ‘sexual anorexia’ were derived from sexual desires. ‘desirable sexual orientation’, ‘fantasy about romantic sexual relationship and love’, ‘sexuality and love not different from non-disabled’, ‘the object of sexual indifference’, ‘limited sexuality’, ‘relatively low sexual attraction’, ‘‘sexuality hard to resist violence’, ‘exploitable sexuality’, and ‘deviant sexuality’ were derived from sexual awarenes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ntellectually disabled had ambivalent psychological states towards their sexual desire and awareness which were desirable and good sexual orientation based on normality and romance, self-deprecating attitude as a sexual being, cracks between self censorship and social taboo vio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intervention plans in the field of disabled welfare practice.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 여성 당사자의 성적 욕구와 인식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여 이들의 성을 지원하는 국가 및 전문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 여성 6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적 욕구에는 ‘성적 호기심에서 분출되는 욕망’, ‘사랑하는 사이에서 수반되는 쾌감적 행위’, ‘불시에 일어나는 자극적 행위’, ‘성적 욕구가 별로 없음’이란 의미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성적 인식에는 ‘바람직한 성의 지향’, ‘낭만적 성과 사랑의 환상’,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과 사랑’, ‘성적 무관심의 대상’, ‘제한된 성’, ‘폭력에 대항하기 어려운 성’, ‘상대적으로 부족한 성적 매력’, ‘이용당할 수 있는 성’, ‘일탈된 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 장애인 여성들은 자신들의 성적 욕구와 인식에 있어, 양가적 심리, 정상성과 낭만성에 기반 한 바람직하고 좋은 성의 지향, 자기 비하적 태도, 자기 검열과 사회적 금기 위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균열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지적 장애인 여성의 성을 지원하는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20대 지적장애인 여성의 성매매 경험에 관한 연구- Medard Boss의 현존재 분석 접근 -

        임해영,강선경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1 No.-

        This study analyzed prostitution experiences of women in twenti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pplying concepts of historicity, fundamental attunement, coexistence and corporeality, which are proposed by Medard Boss (2003). Through the analysis, the present deduced concept of ‘resistance mentality’, ‘expectation of new love’, and ‘fatal trap’ in terms of historicity while ‘deep loneliness’ and ‘anxiety’ in terms of fundamental attunement. Regarding coexistence concepts of ‘means of expanding social networks’, ‘object of stigma’, ‘a male customer as dangerous being’, and ‘being only for being used’ were deduced as well as about corporeality ‘two faces between desire and conflict’ and ‘consumer goods’ wer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were proposed; one is that relation dependency phenomenon which they are immersed in a specific relationship impacts their continuous prostitution experiences and the other is that blur boundary between sex and love impacts the prostitution experience continuance. Finally, it was in their own censorship of the dual stigma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rostitution. This study proposed implementable social work practice plan based on these implications. 본 연구는 성매매 현상을 경험한 20대 지적장애인 여성이 자신이 체험한 세계를 어떤 의미로 구성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edard Boss(2003)가 제시한 역사성, 근본 기분, 공존성, 신체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역사성에서는 ‘저항 심리’, ‘새로운 사랑에 대한 기대’, ‘치명적 함정’을 근본 기분에서는 ‘깊은 외로움’, ‘불안감’을 유의미한 개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존성에서는 ‘사회적 관계망 확장의 수단’, ‘낙인찍히는 대상’, ‘위험한 존재로서 성매수자 남성’, ‘이용만 당하는 존재’, 신체성에서는 ‘욕망과 갈등의 두 얼굴’, ‘소비재 상품’이란 개념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지적장애인 여성의 성매매 경험에는 특정 관계에 과도하게 몰입되어 있는 관계의존 현상과 성과 사랑에 대한 불분명한 경계선 그리고 지적장애인과 성매매라는 이중적 낙인감에 대한 스스로의 검열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본 연구는 개입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불교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업 정체성 경험에 관한 연구

        임해영,조기룡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policy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and practical meaning in Buddhistic perspective to improve labor forces of social welfare through searching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job identity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of Buddhism. We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to conduct analysis on 4 participants who spent more than 7 years working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of Buddhism. Thus, 3 categories were constructed which are ‘selected experience as an expedient’ ‘conversion of recognition’, and ‘reconstitution of perspectives.’ 8 subjects were also constructed which are ‘Connection of Buddhism and occupational choices, ‘method of finding social justification’, ‘introspection’, ‘ambivalence’, ‘harmony of religion and professionalism’, ‘mediating and coordinating between a lower grade worker and an operator’, ‘finding a path of coexistence’, and ‘existing as a marginal man.’ We were able to find out from the this analysis tha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job identity,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Buddhism functions as psychosocial mechanism in adapting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of Buddhism. Moreover, social welfare workers recognize their facilities as a base for propagation of Buddhism, prefer indirect access for propagation Buddhism within their facilities, and keep certain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field of social welfare of Buddhism by positioning themselves both as central and peripheral beings of the facilities. Based on the implic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 of Buddhism,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ocial welfare program involving religion, and systemization of human resources are needed at denomination level for the win-win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of the Buddhist priesthood and laity.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업 정체성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사회복지 인력의 발전을 위한 불교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불교계 사회복지 시설에서 7년 이상 근무한 4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방편으로서 선택된 경험’, ‘인식의 전환’, ‘시각의 재구성’이란 3가지 범주와 ‘부처님 인연법과 직업적 선택의 만남’, ‘사회적 명분 찾기의 수단’, ‘내적 성찰’, ‘양가감정’, ‘종교성과 전문성의 조화’, ‘하급 종사자와 운영자 사이의 매개적 조율’, ‘상생의 길 찾기’, ‘경계인으로 존재하기’란 8개 주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불교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과정에는 불교에 대한 친숙함과 선호가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적응을 돕는 심리사회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과 시설종사자들은 포교의 거점기관으로서 소속 시설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시설 내 포교 방법으로서는 간접적 접근을 선호하였으며, 스스로를 기관의 중심주체이면서 동시에 주변적 존재로서 위치시킴으로서 불교 사회복지 분야에 일정 정도 심리적 거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불교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불교 교육의 강화, 종교성을 가미한 전문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 승가 및 재가 사회복지 종사자의 상생적 발전을 위한 종단 차원의 인사시스템의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임해영,홍영준,전주람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In order to find out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holistic wa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rception of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ese experiences appeared as two thematic themes: ‘sexual trouble behavior’ and ‘perception of sexuality’. Two sub-themes of ‘Excessive expression of sexual desire’, ‘Improper sexual behavior that can lead to sexual offenses’ were derived from the essence theme of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and ‘perception of sexuality’ were derived from the essence theme of ‘lack of suitable solution’, ‘conditions that are not enough to have sex appeal’, ‘frustrated sexuality’, ‘some dilemma problem’, ‘sexuality that is not different from non-disabled’, and ‘love and sex are ok, pregnancy and marriage are no’. Based on this, group home caregivers contribute to their role as the main agents who reinforce and reproduce the sexual norm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they experience confusion in their values about sexual norm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s the major intervention plan fo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ompetences of group home caregivers in order to form a holistic perspective of group home caregivers in sexua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rational solutions.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 필요한 유용한 논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과 성인식 2가지 본질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성문제 행동은 ‘성적 욕구를 과도하게 표출하는 존재’, ‘성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부적절한 성행동’ 2개의 하위주제로, 성인식에서는 발달장애인 성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부재’, ‘성적 매력을 갖기에는 불리한 조건’, ‘좌절된 성’, ‘딜레마의 문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 ‘연애와 성관계는 OK, 임신과 결혼은 NO’ 라는 6개의 하위 주제로 총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성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해내는 주요 주체로서의 역할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발달장애인의 성규범과 관련하여 가치관 혼란도 함께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고정관념적 시각에 관해 되짚어보고, 그들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담론형성의 장과 발달장애들의 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관한 보다 실효성 있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섹슈얼리티 경험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임해영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3

        이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기에 있는 발달장애인 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섹슈 얼리티 경험을 성적 욕구, 성행동, 성인식이란 3가지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성적 욕구는 ‘감각적 쾌락의 추구’,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관능적 몸짓’, ‘상대의 사랑을 기대하게 하는 수단’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성행동은 ‘자기 성애’, ‘성교 행위’, ‘성매매 경 험’, ‘성적 학대의 희생양’이란 4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인식은 ‘낭만적 사랑의 연장선상’, ‘성규범 속에서 자기 검열하기’, ‘성적 정숙함과 방탕한 성행동 사이에서 서성대기’, ‘저항 심리’, ‘성적 놀이감’, ‘스스로를 위험에 빠지게 하는 해로운 행위’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들은 스 스로의 성을 이중적 시선으로 바라본다는 것, 성에 대한 정상성을 지향한다는 것, 자신의 성을 심리적 거래와 저항의 도구로 활용한다는 것, 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 성적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성범죄의 가해자로 존 재하고 있다는 5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직업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임해영,김학주,윤현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8 No.-

        This study utilized a method of phenomenological case study fo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in-depth meaning of occupational activiti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ddiction and the recovery of drug addicts. Therefore, four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case. For occupational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addiction, the following essential meanings were derived in the analysis: ‘bragging’ for participant 1, ‘dangerous affinity of the money in hand and drugs” for participant 2, ‘easy money and waste of money’ for participant 3, and ‘from a greedy life to becoming dependent’ for participant 4. For occupational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recovery, the following essential meanings were presented as themes: ‘starting from the bottom’, ‘being a recovery partner’ for participant 1, ‘living an ordinary life is the way to recovery’, ‘atonement’ for participant 2, ‘pain of a new start’ for participant 3, and ‘start of a voyage to independen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and interventions suggested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of drug addicts who are in the process of recovery, are proposed in this study. 이 연구는 마약중독 회복자가 중독과 회복 과정에서체험하게 되는 직업 활동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위해 4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사례 별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독 과정에서의 직업 활동 경험 경우, 참여자 1은 ‘폼 잡는일’, 참여자 2는 ‘수중의 돈과 마약의 위험한 유착‘, 참여자 3은 ’쉽게 벌어 흥청망청 쓰는 일’, 참여자 4는 ‘돈욕심내는 일에서, 의존된 삶으로’란 본질적 의미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회복 과정에서의 직업 활동 경험의 경우, 참여자 1은 ‘밑바닥에서 다시 시작하기’, ‘회복 동반자의 길’, 참여자 2는 ‘일반 사람들처럼 사는 것이 회복의 길’, ‘속죄 의식’, 참여자 3은 ‘새 출발을 위한 진통’, 참여자 4는 ‘자립을 향한 항해의 시작’이란 본질적 의미로 주제화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회복 과정에 있는 마약 중독자들의 직업 재활을 위해 시사 받을수 있는 논의 점과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인기 발달장애인 성행동에 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임해영,김학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9

        This study utiliz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exual behavior and services support needs of at least 18 years of 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by target group-home social workers.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sexual behavior such as " revealing sexual curiosity," "Masturbation," " sexual experience, " " perpetrators or victims of sexual offenses act." It is found in the following four major topics for social workers to cope with sexual behavior experiences, which are "responding calmly," "finding information each other," "giving attention firmly cycle," and "exiting." For example, diversification of sex and sexual counseling, professional association, recognition of social change, heterosexual dating, home support marriage are shown as the concrete service needs. Through their coping experience, social workers in the group-home found that they are first confused sexual behavi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actual recognition, also experience psychological burdens and stresses on the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inally understand sexual issues of tho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resolved with concrete solutions, such as heterosexual romantic love and marri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conclusionally proposes intervention measures to support the group-home social workers particularly coping with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이 경험한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은 ‘이성에게 적극적인 성적 호기심 드러내기’, ‘자위 행위’, ‘성관계 경험’, ‘성범죄 행동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로 드러났으며, 성행동에 대한 대처 경험은 ‘차분하게 대응하기’, ‘정보 찾기 노력’, ‘단단히 주의주기’, ‘퇴소 결정’란 4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서비스 지원은 ‘성교육 및 성상담의 다변화’, ‘전문가 연계’, ‘사회적 인식의 변화’, ‘이성간 만남 주선’, ‘결혼가정 지원’, ‘성구매 서비스에 대한 이견’을 제시 하였다. 이를 통해 종사자들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자신들의 성인식과 발달장애인의 성행동 경험 사이에서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 발달장애인 성문제 해결의 근본적 대책을 이성애에 기반한 낭만적 연애, 결혼제도 안에서 찾고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중·노년기 부모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임해영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2 복지논총 Vol.17 No.2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보살피는 중·노년기 부모의 돌봄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 부모와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 영역의 함의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8세 이상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자녀로둔 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 ‘버팀목이 된 신앙적 지지’, ‘돌봄 갈등’, ‘자녀의 미래 걱정과문제 해결’이란 4가지 차원 영역에서 1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기발달장애인의 부모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통해 삶의 위로를 얻거나 삶의 희망을발견하는 긍정 경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자녀 돌봄의 종교적 지지를 그들이 믿는 종교로부터 얻고 있다는 것과 어머니들은 장애자녀의 돌봄으로 인한 심리적 피로도가 아버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나아가 부모들은 발달장애인 자녀가 성인기가 되면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문제들에 대한 예기 불안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위 시사점을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한 몇 가지 제언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regiv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older parents caring for an adul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support these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eight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8 and older. Thirtee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in four dimensions: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child with a disability’, ‘religious support that kept me going’, ‘care conflicts’, and ‘worries and problem solving about their child's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parents of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a positive experience of finding comfort and hope in their lives through thei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ents find religious support for caring for thei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ir religion, and that mothers experience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from caring for anxiety about the various problems t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fathers. Furthermore, parents experience anticipatory 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y face in adulthoo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불교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조직 내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임해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and understand the occupational conflicts experienced by employees working in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 did this by utilizing a theoretical methodology grounded in hermeneutic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six years in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a results of my analysis, I established five hermeneutical categories as follows: Being not to mingle with others within organization, deficient managerial leadership, organizational problems, blurred boundaries between Buddhism and social welfare, disappointment with Buddhism and mental confusion. I also established one sub-category which I identified as “psychological confusion due to maladaptive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nd frustration.” In addition, there are four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these occupational conflicts: sense of difference within organization, feeling out of place with coworkers in the facility, distancing oneself from others and psychological confusion. My results revealed that occupational conflicts among these employees are psychological conflicts that develop into relationship conflicts and role conflicts; also that these conflicts result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the convergence of Buddhism and social welfare work. Based on my results I suggest the following. Personnel management must be improved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workers. Leadership and competenc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ach position.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are required to establish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social welfare work. 이 연구는 해석학적 근거이론이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불교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업적 갈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교 사회복지기관 근무 경력 5년 이하인 종사자들을 대상으로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섞이지 못하는 존재’, ‘관리자의 리더십 부재’, ‘구조의 문제’, ‘실망감으로 다가온 불교’, ‘혼란스러운 마음’의 5 가지 범주와 “조직과의 부적응적 관계와 역할 경험으로 인해 겪게 되는 심리적 혼란”이란 핵심 범주를 구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불교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조직 내 갈등 과정은 ‘이질감 느끼기’, ‘조직에서 겉돌기’, ‘벽 쌓아가기’, ‘심리적 혼란’ 4단계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불교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업적 갈등은 관계 갈등과 역할 갈등으로수렴되는 심리적 갈등이라는 점과, 불교와 사회복지가 호혜적으로 연결될 수있는 상호 접점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불교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조직 내 갈등해소를 위해 종사자에 대한 리더십 교육 및 업무 역량 향상 교육, 불교와 사회복지가 상호 보완적 관계로 나갈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 및 프로그램 개발, 종사자 교육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사회복지 욕구이론과 중도사상 一考察

        임해영(Hae-young Lim) 한국불교연구원 2004 불교연구 Vol.21 No.-

          This study started with pointing out that the needs theory of social welfare formed a one-way paradigm by defining human needs in the negative aspects such as shortage or lack and assuming satisfaction of needs as the absolute condition to happiness. As a result, the needs theory of social welfare ignored the fact that human beings could feel happy depending on how they diffused their needs outward. In the study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happiness through diverse reflections of human needs. The tools used were the Nobled Eightfold Path and the Six P?ramit?s, which made the practice principles of Thought of the Middle Way. The former can contribute to selective reduction of humans" selfish needs pursuing endless satisfaction, while the latter to selective expansion of their altruistic needs to devote themselves for others. Thus the limitations of the linear needs theory of social welfare insisting that "Fulfillment of needs means happiness" will be overcome. Furthermore, another potential role of Thought of the Middle Way in today"s Society can be found in its suggesting alternatives to preventing or solving the many different social pathologies caused by human fetishism and maximizing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