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한려(Hanryeo Lim),홍성표(Sungpyo H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2~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년도 기준 17세 이상 262명의 학교 밖 청소년(총 1,048명)을 대상으로 전이확률 및 패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델에는 개인, 가족, 교우관계, 사회인식 영역의 변인과 진로탐색활동 변인을 포함했으며, 각 변인들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은 상담, 진로체험, 현직자 만남과 같은 진로탐색활동의 수행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평균 1.92). 둘째,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이후에도 해당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48.24%로, 미참여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은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한다. 고정효과모형을 기준으로 연령과 자아탄력성, 진로탐색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로탐색활동이 1단위 증가할수록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은 2.0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체험과 경험 중심의 진로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적 자원을 강화하고, 그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진로미결정 상태를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진로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f out-of-school youth promote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2nd~5th data of Dropout Youth Panel Survey, 262 out-of-school adolescents aged 17 years or older (a total of 1,048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transition probability and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ong with the variable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ariable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cluding variables in the fields of individual, family, friend, and social awareness. The main result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youth had a lower level of experience-bas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overall average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onsisting of counseling at public institutions, interview with incumbent worker, and job experience was 1.92. Second, out-of-school youth who did not participate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maintain this state. Youth who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had a 91%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same status afterwards, bu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non-participating status to the participating status was 51.76%. Thir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out-of-school youth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ixed effect model, age, self-resilience, an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s the number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ncreased by 1 unit, the likelihood of youth outside of school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increased by 2.002 times.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experiences for out-of-school youth. Second,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need to be structured to reinforc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nterest of out-of-school youth.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mpt, demand-tailored career education so that out-of-school youth do not continue to be undecided on their career path.

      • KCI등재
      • KCI등재

        석사과정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연구멘토링 경험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성숙 및 연구효능감의 매개효과

        임한려 ( Lim Hanrye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이 연구는 국내 석사과정 대학원생의 진로탐색행동, 진로성숙, 연구효능감, 교육만족도 및 연구멘토링 경험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대상을 확장하고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경험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242명을 대상으로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및 연구멘토링 경험이 연구효능감과 진로성숙을 매개로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의 교육과 연구 영역에서의 경험은 연구효능감을 직접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이 학위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핵심적인 활동이 학습과 연구라는 점에서 이러한 경험이 성공적인 대학원 적응과 성과의 기본적인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은 진로성숙을 촉진하며, 교육만족도 및 연구멘토링 경험의 효과를 매개한다. 구체적으로 학습 및 연구 경험을 통해 형성된 연구효능감은 대학원생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독립적으로 체계적인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원생의 진로성숙은 다양한 연구경험 및 연구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원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자기이해를 높이고 진로에 대한 계획성과 독립성, 다양한 탐색행동이 수반될 때 이들의 진로탐색행동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생의 진로발달에 관심을 갖고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주요 변인들이 포함된 확장된 모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대학원생의 진로발달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활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career maturity, research self-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research mentoring of 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42 master's level graduate students to investigate h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research mentoring impact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research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in the domains of education and research directly enhance research self-efficacy. Second, research self-efficacy among graduate students promotes career maturity and mediat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research mentoring. Third, graduate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impact of various research experiences and research self-efficacy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nhancing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planning for their careers, and engaging in diverse exploration behaviors significantly enhance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related to their care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career development of graduate students. Second, further analysis of an extended model that includes key variables from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s essential, and subsequent research should explore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graduat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중・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 및 영향요인 연구

        홍성표(Sungpyo Hong),임한려(Hanryeo L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4 職業 敎育 硏究 Vol.4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영향요인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5차년도(2022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표본 규모는 중학생 2,275명, 고등학생 2,205명이었다. 직업가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했으며, 3단계 접근법을 활용하여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은 유사한 패턴을 보였지만, 집단별 표본의 비율과 직업가치별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직업가치 수준의 변화가 적었으며, 전반적으로 직업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직업가치 유형에는 개인, 학교, 가정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기여와 명예로 대표되는 사회적 측면을 중시하는 집단이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주체들과 긍정적인 관계가 해당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 경험이 직업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의 직업가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자신의 특성 및 환경에 적합한 직업가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진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로 및 직업교육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다양한 주체들과의 관계가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er valu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type.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respondents of the 5th(202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tilized. The sample sizes were 2,275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05 high school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ypes of career values, and a three-step approach was used to explore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se type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types of career valu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milar pattern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the sample by group and the level of career values. Second, personal, school, and familial factors collective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s of career values among adolescents. Third, a group that values the social aspects represented by social contribution and honor was identified, and positive relations with various entities were shown to promote the likelihood of inclusion in this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mprovement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re needed to allow adolescents to accurately recognize career values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and to conduct related career exploration.

      • KCI등재

        대학 소재지에 따른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 궤적 분석 : 수도권과 지방대학 졸업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성표(Hong Sungpyo),임한려(Lim Hanryeo) 한국노동연구원 2020 노동정책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청년들의 대학 소재지에 따른 노동시장 이행 궤적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청년들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변화를 이해하고 청년고용 촉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청년패널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955명(2007~11년)의 8년(96개월)간 경제활동상태 자료를 활용했으며, 집단중심추세분석과 차이분석을 사용하여 대학 소재지에 따른 이행집단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은 수도권 대학 졸업생에 비해 변동성과 불완전성이 높았다. 둘째, 대학 소재지에 관계없이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열악한 지위에 위치하고 있었다. 셋째, 계열별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지방대학 인문계열 졸업생의 상용직 진입이 제한적이었다. 넷째,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자격취득 및 진로상담의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 졸업생의 고용시장 진입과 유지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접근 강화, 지역의 노동시장개선과 대학의 연계 촉진, 여성 및 계열별 노동시장 이행을 위한 맞춤형 취업 및 진로지원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status of youth in the labor marke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youth employment by categorizing and comparing the trajectory of labor market trans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location. Economic status data of 8 years(96 months) of 955 graduates(2007~2011)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of youth panel was used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labor market transition. The method of analysis used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market transition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was higher in volatility and incompleteness than those in metropolitan areas. Relatively, the proportion of graduates from the metropolitan area entering and maintaining regular jobs was high, and in the long run, the ratio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to non-wage labor was high. Second, regardless of where the university was located, women were in poor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Women were less likely to enter regular jobs than men, or were converted into n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s or non-wage labor after entring. Third, in the transition of labor market status by majors, entry into regular jobs by graduates of humanities from local universities was limited.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rtificate acquisition and career counseling in the process of labor market tran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Reinforcing institutional approach to promote entry and maintenance of labor market for local university graduates, improving local labor market and facilitating linkage with universities, and customized employment and career support for women and liberal art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