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음자들의 외래 단기 집단금주교육 전과 1년 후 음주행태 비교

        임철영,김종성,김성수,정진규,배남규,이선희,최태근,김정하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1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p intervention by primary care physicians on the changes of drinking behaviors in Korean heavy drinkers. Methods: A total of 32 male heavy drinkers participated in group intervention by family physician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itially, they were asses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function and drinking characteristics prior to the intervention conducted 4 times (about 40 minutes/each session). Reassessment on their drinking frequencies (times/week), drinking amounts (drinks/drinking day) and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was achieved at directly, at 12 weeks and at 1 year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mean drinking frequency was significantly (P < 0.01) decreased from 5.2 ± 1.7 before to 3.5 ± 2.4 at directly,3.9 ± 2.3 at 12 weeks and 4.0 ± 2.3 at 1 year after intervention. The mean drinking amounts were significantly (P <0.01) decreased from 17.0 ± 16.5 before to 11.0 ± 16.9 at directly, 14.2 ± 17.8 at 12 weeks and 13.9 ± 17.8 at 1 year after intervention. The mean AUDIT score was significantly (P < 0.01) decreased from 29.4 ± 5.8 before to 19.1 ± 11.0 at directly,21.8 ± 9.1 at 12 weeks and 23.0 ± 9.4 at 1 year after intervention. The number of heavy drinkers and binge drinkers were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from 32 (100%) and 32 (100%) before to 20 (62.5%) and 22 (68.8%) at directly, 23 (71.9%)and 24 (75.0%) at 12 weeks, and 22 (68.8%) and 19 (59.4%) at 1 year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group intervention by family physicians may b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drinking behavior at 12 weeks and 1 year after the intervention in heavy drinkers. 연구배경: 과음자들을 대상으로 일차 의료인에 의한 집단 금주 교육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의 1년 후 음주 행태 개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에 등록된 환자들 중 40명의 남성 과음자를 대상으로 4회로 구성된 집단 금주 교육을 실시하였다. 1년 후에 추적 관찰된 32명의 과음자들의 교육 전, 교육 수료 직후, 수료 12주 후, 수료 1년 후의 음주행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주당 평균(±SD) 음주 횟수는 교육 수료 전 5.2 (±1.7)회, 수료 직후 3.5 (±2.4)회, 수료 12주 후 3.9 (±2.3)회, 수료 1년 후 4.0 (±2.3)회로 집단 금주 교육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P<0.01) 감소되었다. 1회 평균(±SD) 음주량도 교육 전 17.0(±16.5)잔과 비교하여, 수료 직후 11.0(±16.9)잔, 수료 12주후 14.2 (±17.8)잔, 수료 1년 후 13.9 (±17.8)잔으로 유의하게(P<0.01) 감소되었다.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점수 역시 집단 금주 교육 전 평균(±SD) 29.4 (±5.8)점, 수료 직후 19.1 (±11.0)점, 수료 12주 후 21.8 (±9.1)점, 수료 1년 후 23.0 (±9.4)점으로 교육 전에 비해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과음자 수는 집단 교육 전 32명(100%)에서 교육 수료 직후 20명(62.5%), 수료 12주 후 23명(71.9%), 수료 1년 후 22명(68.8%)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폭음자 수도집단 교육 전 32명(100%)에서 수료 직후 22명(68.8%), 수료 12주 후 24명(75.0%), 수료 1년 후 19명(59.4%)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가정의학과 의사들에 의해 실시된 집단 금주 교육을 통해 12주 후와 1년 후 대상자들의 음주 행태를 살펴보았을 때과음자들의 행동 개선이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과음자들에서 그룹교육을 통한 변화준비단계의 개선

        이선희,김종성,김성수,임철영,배남규,정진규,이정길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

        Background: Patient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otivating patients to change their problematic behavior. This study purpo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ief group education, which was performed by primary care physician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ess to change in problem drinkers after a year from the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34 male were followed up as the subjects who had been problem drinkers and at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or contemplation before group education. The readiness to change in the subjects was re-evaluated again 12 weeks and a year after the brief group education. Results: Before the education, 11 patients among the subjects were at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and 23 at the contemplation. The distribution was significantly changed into 2 at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14 at the contemplation and 18 at the action 12 weeks after the group education (P < 0.001), and into 2 at the precontemplation, 16 at the contem-plation, and 16 at the action a year after the group education (P < 0.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readiness to change was the family function score (after 12 weeks odds ratio 1.99, 95% CI 1.10-3.62; after a year odds ratio 2.31, 95% CI 1.10-4.85). Conclusion: Problem drink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brief group education by primary care physicians showed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 readiness to change even after a year from the education. 연구배경: 환자 교육을 통한 동기부여는 문제 음주자들의 행동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일차 진료 의사에 의한 집단 교육에 참여한 문제 음주자들의 변화 준비 단계 개선이 교육 수료 1년 후에도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집단 음주 교육 전 문제 음주 상태에 있으면서 숙고 전 단계와 숙고 단계에 있는 34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교실 수료 12주 후와 1년 후 변화 준비 단계의 개선 여부를 추적하였다. 결과: 음주 교실 참여 전의 변화 준비 단계는 ‘숙고 전 단계’ 11명, ‘숙고 단계’ 23명이었다. 음주 교실 수료 12주 후와 1년 후의 변화 준비 단계는 ‘숙고 전 단계’가 각각 2명, ‘숙고 단계’가 14명과 16명, ‘행동 단계’가 18명과 16명으로 유의하게(P<0.001) 개선되었다. 12주 후와 1년 후 문제 음주자들의 변화 준비 단계는 Family APGAR 점수가 높을수록(12주 후 교차비 1.99, 95% 신뢰구간 1.10-3.62; 1년 후 교차비 2.31, 95% 신뢰구간 1.10-4.85)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결론: 집단 음주 교육을 받은 문제 음주자들의 변화 준비 단계 개선이 교육 1년 후에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집단 음주교육을 통한 음주행태 변화를 위한 동기부여

        정숙영,김종성,김성수,정진규,강동수,배남규,임철영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5

        Improvement of Readiness to Change in Heavy Drinkers by Group Drinking EducationSuk Young Chung, M.D., Jong Sung Kim, M.D., Ph.D., Sung Soo Kim, M.D., Jin Gyu Jung, M.D., Nam Kyou Bae*, Dong Soo Kang, M.D., Chul Young Lim, M.D. 연구배경: 음주 문제가 있는 경우 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내적 동기 부여가 선행 요소이다. 본 연구는 음주 교실 프로그램을 통해 과음자들의 변화를 위한 준비 단계의 개선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례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숙고 전 단계와 숙고 단계에 있는 37명의 과음자를 선별하였다. 4회의 집단음주교육으로 구성된 음주교실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변화를 위한 준비단계의 개선을 관찰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음주교실 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평균(±표준편차) 3.5 (±0.6)회였다. 음주교실 참여 전의 대상자들의 준비단계 분포는 “숙고 전 단계” 11명(29.7%), “숙고 단계” 26명(70.3%)이었고, 참여 후에는 “숙고 전 단계” 1명 (2.7%), “숙고 단계” 16명(43.2%), “행동 단계” 20명(54.1%)으로 변화를 보였다(P<0.001). 준비단계가 개선된 22명(59.5%)이 변화가 없는 15명(40.5%)에 비해 Family APGAR 점수가 높았고(P<0.001) 음주교실참여횟수가 많았다 (P=0.009). 준비 단계의 개선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Family APGAR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교차비 1.75; 95% 신뢰구간 1.023.03). 결론: 음주교실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 음주자들의 변화를 위한 준비단계가 개선됨을 보였다.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 대상자의 가족 기능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