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학술논문 서론의 문말표현 사용 양상‒서론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중심으로‒

        임정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usage patterns, and featur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100 articles, which recently submitted to the journal “Studies in Japa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of Japan, are targeted for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was based on JeongA Lim(2020) and reclassified them into eight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After the classification, It is considered w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typ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used in each component,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and tendencies of each type of sentence-ending expression ar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nonたseries’ was used more often than “たseries” in Japanese introductions, an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were used most frequently among the detail categories. In the case of components that had the character of announcing the content of the body of the paper(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explanation of the research method, and 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aper), the majority use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It was also found that other elements of the same auxiliary verb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For example, for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theme’, ‘れる・られる’ was used most frequently, for ‘the opinion of the author of the paper’, ‘The negative form of the verb + not’, for ‘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たい’, an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paper’ , ‘う(だろう・よう)’was used most freque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and vocabulary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function of the sentence. 본 연구는 일본 논문 서론의 구성요소별 문말 표현의 특징 및 사용 양상 및 특징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일본어 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학술지 ‘日本語の研究’에서 최근 투고된 100편의 논문을 추출하고,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서론의 구성요소의 분류는 임정아(2020)을 참고하여 서론을 내용에 따라 크게 8가지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분류 후, 각 구성요소에 어떠한 문말 표현이 사용되는지, 문말 표현의 종류와 각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 및 경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 서론에는 た계열보단 비た계열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세부 분류 중에서는 동사의 종지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논문의 본문 내용을 예고하는 성격을 가진 구성요소(연구 목적 제시, 연구 방법 설명, 논문 구성 제시)의 경우, 과반수가 동사의 종지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도 같은 조동사여도 구성요소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지는데, ‘연구 주제 제시’는 ‘れる・られる’가, ‘논문 필자의 의견’은 ‘동사의 미연형+ない’가, ‘연구 목적 제시’는 ‘たい’, ‘논문의 의의’는 ‘う(だろう, よう)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문장의 내용과 기능에 따라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과 어휘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항-N-methyl-D-aspartate수용체 항체 양성인 엡스타인-바바이러스뇌간뇌염

        임정아,변정익,이순태,정근화,김영수,김정민,이상건,주건 대한신경과학회 2013 대한신경과학회지 Vol.31 No.3

        Th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caused by Epstein-Barr virus (EBV) occur only rarely in association with its primary infection or reactivation. The mechanism by which EBV produces neurological disease is unknown. This article describes two cases of polymerase-chain-reaction-proven EBV brainstem encephalitis. The sera of both patients contained autoantibodies against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secondary immunological mechanism.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reveal whether the subgroup of patients with EBV encephalitis and anti-NMDAR antibodies have different clinical presentations and would benefit from immunotherapy.

      • KCI등재

        민주주의와 자유의 양립가능성으로서의 경제 민주화 - 토크빌과 달의 맥락에서

        임정아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4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at the meaning of economic democracy consists of compatibility between democracy and liberty through examining the arguments on democracy of two democrats, Alexis de Tocqueville and Robert Dahl. To do this, this article matters that the use of the concept of economic democracy in Korea is divided by two, which are based on a dichotomy between the state and the economy and which continues since Korean Third Republic. And it shows that the dichotomy between the state and the economy corresponds to the dichotomy between political democracy and liberty. Tocqueville argues that political democracy threats people’s liberty because democracy needs equality, equality makes atomization of an individual, and atomization permits despotism, but he suggests compatibility between democracy and liberty as a solution though. Dahl accepts Tocquville’s problem posing on the conflicts between democracy and liberty, but by reversed way he shows that liberty threats democracy because liberty of property makes inequality, economic power of property owner including companies threats economic weakers’ democracy and liberty. Dahl argues that right of liberty of property cannot be justified, democratic self-government over liberty of property can be justified because democracy extends to liberty of property, and argues that economic democracy is democratization of companies.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사회계층 간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한국사회의 발전 과정은 ‘선 산업화, 후 민주화’라는 단계론 이었다. 제3공화국 이래 민주화의 전 단계로서 산업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개발독재의 시대논리는 정당화되었고,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경제 영역과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정치 영역이 분리 되었다. 1987년 개정된 헌법 119조는 1997년 말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경제 권력’의 자유를 강화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문제는 이 ‘경제 권력’이 갖는 영향력이다. 정치영역에서의 자유주의나 민주주의 원리가 경제 권력의 불평등 때문에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경제 영역 자체에서도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원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치권력(국가)의 경제 영역(시장)에 대한 개입 문제가 등장한다. 이것은 ‘경제민주화’라는 주제로 다루어져 왔는데, 경제민주화 개념을 정치 민주주의의 경제적 적용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정치 민주주의의 실현으로 볼 것인가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왜 이러한 차이가 있고, 이 차이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나아가 경제민주화의 핵심이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경제 민주화를 둘러싼 논의에서, 경제민주주의라는 개념 자체는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는 개념이다. 연구자는 이들 논의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2절에서 정치영역과 경제영역의 구분으로 대응되는 국가와 사회의 이분적 구분 혹은 상대적 구분이라는 대립, 민주주의(평등) 대 자유(소유권)의 대립이라는 쟁점의 의미를 부각시킬 것이다. 그리고 3절에서 민주주의가 자유를 위협한다는 주장을 제기한 토크빌의 논증을 분석하여 전제의 내용 파악을 통해 민주주의와 자유의 양립가능성을 찾아볼 것이다. 4절에서는 토크빌 논증에 대해 반박하면서 경제민주화를 주장하는 달의 논증을 분석하여, 재산권에 우선하는 민주주의로서의 경제민주화의 의미를 분명히 할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경제민주화 개념의 차이와 그 함의를 밝히고, 경제민주화의 정당성 논의를 통해, 경제민주화의 내용과 과제를 정리해 보려 한다.

      • KCI등재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심리학적·신학적 고찰 및 목회적 돌봄의 전략을 중심으로

        임정아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This paper is a study of Korean women's shame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t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Korean women's shame. Its study probes for strategies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Korean context. From this study, shame that is more directly linked with human self-respect than any other emotions is argu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ocultural factors as well as personal ones. Therefore, for the healing of Korean women's shame, personal and structural approaches are needed.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ve forced women to accept shame through the religious and family system. Women have lived to deny their own femininity and to think of their body as impure. For the healing of Korean women's shame through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 propose that each local church should be a kind of alternative family system for Korean women who have suffered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s a result, five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pastoral care in the Korean context pastoral care through empathy and mirroring, pastoral care through deconstructive listening to the story and reinterpretation it, pastoral care through the local community, pastoral care through religious experiences, and finally, pastoral care through designing a change to church structure. 본 논문은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로서,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하여 심리학적, 신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고찰의 결과를 한국의 목회상담 및 목회적 돌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어떤 감정들보다도 인간의 자기존중과 가장 직접적으로 맞닿아있는 수치심이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의 감정이 아닌 사회문화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감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여성의 수치심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접근방법과 함께 개인에게 수치심을 조장하는 한국의 사회문화에 대한 구조적 차원의 접근방법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국의 전통적인 사회문화는 종교 및 가족체계를 통해 여성들에게 수치심을 조장하고 강요함으로써,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의 여성성을 부인하고 자신의 몸을 폄하하면서 살아가도록 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여성의 수치심을 치유하기 위하여, 필자는 각 지역교회들이 그동안 가부장적 가족체계 속에서 고통당해온 한국여성들을 위한 일종의 대안적 가족체계가 되어주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여성의 수치심 치유를 위한 목회적 돌봄의 전략으로서, 공감에 기초한 목회적 돌봄의 제공, 죄책감의 신학에서 수치심의 신학으로의 신학적 전환, 교회 자체가 또 하나의 대안적 가족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제공, 영성을 통한 수치심의 치유, 교회의 구조적 변화를 도모하는 목회적 돌봄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흄의 정의(Justice)의 범위-여성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임정아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0 No.1

        정의의 범위와 관련하여 다루어져야 할 문제는 많다. 정의의 원리가 언제 효과가 있는 것인지, 누구에 대한 것인지, 정의의 원리는 보편적인 범위를 갖고 적용되는 것인가 아니면 성격에 따라 상황적인, 특정한 종류의 사회적 혹은 정치적 관계 내에서만 적용되는 것인가? 흄은 다른 철학자들과는 다르게 인위적 덕으로서 정의를 말하고 좁은 의미의 정의 이론을 주장했는데, 그는 소유의 문제로 정의의 문제를 말한다. 연구자는 이 글에서 흄의 정의의 범위에 대한 질문을 하고 소유권을 갖지 못한 존재이기에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여성의 위상과 흄의 여성에 대한 관점을 정의의 범위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의는 흄의 『도덕원리탐구』(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의 ‘정의의 범위’에 대한 논의와 『인성론』(A treatise of Human Nature)의 ‘순결과 정숙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다. 이 글의 2절에서 흄의 정의와 정의 조건의 문제를 말하고, 정의의 범위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고 비판할 것이다. 3절에서는 흄의 정의에 대한 관점을 재점검하고 여성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면서 정의의 범위에서 여성이 배제됨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흄의 정의이론에서 배제된 여성이 흄의 정의의 필요성에 의해 다시 가족-사회 내에서 포함될 수 있음을 보이겠다. This essay aims at to show that Hume’s claim of the scope of justice in his theory of Justice, which is said in his 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seems to exclude women because they have no property, but when we consider Hume’s viewpoint on women and family, which are said in 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A Treatise of Human Nature, we can find a possibility of conclusion that in the theory of Justice with respect to family-society women are in the scope of justice. According to Hume, justice is useful to society. If constructing a relationship of convention with women in a family-society is useful, then it can be justice. Women can be inside of the scope of justice not because of a possibility of having their property but because of usefulness to the family-society by forming relationship of convention (with women) for common interest of family- society. To show this several significant paragraphs about justice, the scope of it, and the viewpoint of women in A Treatise of Human Nature and 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are cited. Finally when we focus on the definition on justice that is artificial virtue and is for protection of property, we can say that in family-society women are in the scope of Hume’s justi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