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애착과 성범죄와의 관계

        임정선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9 No.-

        In adults’ behavior system, attachment behavior and reproduction behavior (sexual behavior)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us, this study purpos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sexual behavior, specifically, sex crime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focused on child sexual abuse and rape among sex crimes. Sex offenders showed markedly stronger unstable attachment than ordinary people, and they showed stronger unstable attachment to their mother than other types of criminals. In stressful situations, they operated their reproduction behavior (sexual behavior) inappropriately rather than their attachment behavior. Sex offenders appeared to distrust themselves and others and to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intimacy. Furthermore, they were found to be deficient in sympathy for understanding others and to have distorted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others.

      • 직장 내 언어폭력의 심리적 영향

        임정선 한국입법정책학회 2014 입법정책 Vol.8 No.2

        본고에서는 직장 내에서 고용주 및 상사에 의한 언어폭력으로 인한 심 리적 영향을 개관하였다. 보이지 않는 상처를 남기는 언어폭력의 심리적 인 측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피해자의 고통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민 감하게 언어폭력에 접근하는 노력을 사회 전반에서 할 수 있도록 제언하 였다. 수직적 언어폭력의 형태인 직장 내 언어폭력의 피해자들은 일차적 으로 화남, 짜증남, 우울감 등의 정서적 반응을 보인다. 이들의 대처방식 을 살펴보면 참거나 피하는 등의 소극적인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을 사용 하고 있다. 문제는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이 지속적으로, 중점적으로 사용 될 경우 불안, 우울, 자기학대, 자기파괴적인 행동 등 심리적 장애를 유 발 수 있다. 직장 내 언어폭력이 개인과 조직 및 사회 전체에 미치는 부 정적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verbal violence inflicted by employers and superiors in workplace.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gaining a broader view to the psychological aspect of verbal violence that leaves invisible wounds, for understanding the victims’ pains, and ultimately, for inducing efforts to approach verbal violence more sensitively throughout the society. The victims of verbal violence in workplace, which is a vertical form of verbal violence, show first emotional responses such as anger, irritation, and depression. As to their coping method, they use passive emotion-centered ways of coping such as being patient or avoiding. A concern is that when such emotion-centered coping is used continuously and intensively, it may cause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self-abuse,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verbal violence in workplace on the individuals, the organization, and the entire society, various discussions and studies are required for preventing it.

      • KCI등재

        독일의 정신건강제도 발전과 정신건강 현황

        임정선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Since the first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in Korea and its amendment in 2017, discussions on mental health policies and system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system in Germany, and by analyzing the recent status of German mental health, to provide basic data on preparing policies and system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Korea. In Germany,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ad been the target of poor relief, and after the 1800s, they were sequestered and treated in large mental hospitals. Later, through the social reforms that began in the 1960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recognized as persons with human rights, and then, as social psychiatry develope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being treated. And mental health systems and mental health services have been built around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return to society. Mental disorders are also subject to social insurance as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status just as physical illness. In this mental health system,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awarenes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particular, over the past 20 years when mental health systems and mental health services have been operating reliably,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ental disorders and the aspect and distribution of mental disorders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change from the perception that mental disorder is a minority disease, to the perception that it could happen to anyone along with the spread of depression. In recent years, mental health has emerged as a forerunner in quality of life and curr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has become the subject of German society as a whole. The fact that mental health is no longer limited to psychiatric services, but has become a “cross‐cutting issue” involving child care, education and labor, suggests a great implication for the arrangement of Korea's mental health system and policies. 한국에서 1995년에 정신보건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17년에 개정되면서 정신건강정책 및 제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정신건강제도 발전의 역사적 배경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최근의 독일 정신건강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책 및 제도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독일에서 정신장애인은 빈민구제의 대상이었다가 1800년대 이후에는 대형정신병원에 격리되어서 치료 및 보호를 받았다. 이후 1960년대 시작된 사회개혁을 통해 정신장애인을 인권을 가진 인격체로 인정하게 되었고, 사회정신의학이 발전하면서 정신장애인을 치료하고, 이들이 다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제도 및 정신건강서비스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또한 정신장애는 신체질환과 같은 지위를 인정받게 되면서 사회보험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정신건강 체계에서 정신장애인의 치료 및 재활과 인식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특히 정신건강제도와 정신건강서비스가 안정되게 운영된 지난 20여 년간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과 정신장애의 양상 및 분포에 큰 변화가 있었다. 정신장애가 소수에게서 발생하는 질병이라는 인식에서 우울증의 확산을 계기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장애라는 인식으로 변화하였고, 최근에 와서는 정신건강이 삶의 질과 현재의 산업구조에서 전면으로 부상하면서 독일 사회 전체의 주제가 되었다. 정신건강은 더 이상 정신의학적인 서비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육아, 교육, 노동 등을 포함하는 ‘크로스 커팅 이슈(cross-cutting issue)’가 되었다는 점은 한국의 정신건강제도 및 정책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Cross-Cutting 데이터분석을 통한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혁신특성 정량화 연구 : NTIS 나노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선,김상국 한국경영과학회 2020 한국경영과학회지 Vol.45 No.2

        Over the past decade, the measurements of national innovations by the R&D investments of the Korean government have relied on the results of the basic statistical analyses of NTIS data. Although NTIS is used as a national resource for innovation measures, the development of outcome measurements is limited for several reasons. NTIS raw data are classified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mainly distributed through the government's annual report. An international demand for developing evidence-based measurement systems to support policy-making activities in the government sector, including Korea, exists. Cross-cutting analysis (propo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in Horizon 2020) is a representative approach to monitor national innovations by integrating various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nationally supported key technologies. NTIS data in Korea are currently open to the public, and this research develops an automated analysis methodology (using NTIS raw data focused on nanotechnology) comparable to EC cross-cut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utomatically extracts information on national R&D investments with derivatives (including documents/patents/profits/employment) scattered within NTIS raw data.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sets are analyzed by a two-phase data envelope model to identify the innovation patterns achieved by each department. The advancement of this evidence-basedwith automated measurement methodology can potentially help policymakers in policy development activities, which must respond to urgent national issu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Korea–Japan trade imbalance.

      • KCI등재

        독일 통일 후 30여 년간 동독지역과 서독지역의 정신건강 변화과정

        임정선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2

        독일이 1990년 통일된 지 30여 년이 지나고, 그동안 독일 사회는 상당한 변화와 있었다. 통일 초기 사회적 갈등과 혼란의 시기를 지나 통일된 독일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면서 지속적인 통합의 노력을 하고 있다. 통일은 독일 국민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독지역 주민들에는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통일 후 독일은 급격한 변화에 따른 동독지역과 서독지역의 정신건강에 주목하고, 통일 전부터 보건의료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통일로 인한 변화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지원하고 있다. 통일 당시 동서독 모두가 통일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가지고 있었고, 특히 동독에서는 독재에서 해방되고 경제적 풍요를 누릴 것이라는 낙관적 기대가 더 크게 있었다. 통일 직후 연구를 보면 동독지역 주민의 정신건강은 급격한 통일로 인한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서독지역에서 모든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실업 등 경제적 위기는 동독지역 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1990년대 중반까지 동독지역 남성의 자살수치가 서독지역의 두 배까지 상승하였다. 통일 후 20여 년이 지나면서 사회적, 경제적 등 모든 분야에서 차이가 감소하게 되었고, 정신건강에서도 동독지역과 서독지역의 차이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현재는 서독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우울증이 높고 동독지역이 물질남용이나 신체화장애가 조금 더 높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통일 후 30여 년이 된 현재 동서독지역을 구분하여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무리라고 할 수 있다. 동서독지 역은 기대수명이나 다른 질병에서 차이가 거의 없어지게 되었고 정신건강에서도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More than 30 years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German society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After the period of social conflict and confusion in the early days of unification, it has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integration while seeking a new identity in a unified Germany. Reunification had a great impact on all the German people, but even more so on the inhabitants of the East German region. After reunification, Germany has paid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of the East and West German regions due to the rapid changes, actively supported health care even before reunification, and continued to study and support the changes caused by reunification.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both East and West Germany had hopes and expectations for reunification, and there was a greater optimistic expectation that East Germany in particular would be liberated from dictatorship and enjoy economic prosperity. Studies immediately after reunification showed that the mental health of East German residents changed little due to the rapid reunification. Rather, all figures were higher in West Germany. However, economic crises such as unemployment seem to have affected the mental health of the East German region, and by the mid-1990s, the suicide rate among men in the East German region rose to twice that of the West German region. More than 20 years after reunification, differences in all areas, including socio-economic, decreased, and in terms of mental heal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 regions gradually disappeared. Currently,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extent that depression is consistently higher in the West German region and substance abuse or somatization disorder is slightly higher in the East German region. Currently, more than 30 years after reunification, it is thought to be unreason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s by separating the East and West German regions. In the East and West German region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almost no differences in life expectancy and other diseases,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s well.

      • 장기간의 노사갈등이 노동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 유성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선 한국입법정책학회 2019 입법정책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성기업의 사례를 통해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장기간의 노 사갈등이 노동자들에게 어떠한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유성기 업 노동자는 2011년 직장폐쇄 이후부터 시작된 노사 및 노노갈등의 장기화 로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황에 처해있다. 특히 노조 소속 노동자의 직 무스트레스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직무요구와 직무자율성은 낮고,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높으며, 조직체계의 의사소통은 부족하고, 보상은 부적절하고, 직장문화는 분열된 것으로 나타난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로 유성노조 소속 노 동자는 다양한 심리적 증상들을 보이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 불안의 지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며 스트레스 누적 현상으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을 보이고 있다. 분석 결과 노조 소속 노동자들은 심리 적으로 위기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급한 심리적 개입이 필요하 다. 유성기업 노동자들의 심리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적극적인 노사 및 노노갈등 해결책을 마련하는 사회적 논의 및 조치를 제안하였다. Through the case of Yusoeng Enterprise,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effectof long-term confli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on laborers. To investigate job-stress items of laborers belonging to the Yusoeng Enterprise labor union where confli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between labor and labor are prolonged, there are low job demands and job autonomy, high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a lack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adequate rewards, and divided work culture. Due to high job stress, laborers belonging to Yusoeng Enterprise labor union have various psychological symptoms. There are hig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index, which is stress accumulation due to long-term confli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between labor and labor, and there are symptoms due to psychological trauma the same as symptoms suggested i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Based on the immed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s to laborers belonging to the Yusoeng Enterprise labor union, this study proposed a social argument to solve long-term confli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between labor and labor.

      • 재난과 심리적 외상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임정선 한국입법정책학회 2016 입법정책 Vol.10 No.1

        본고에서는 인간에 의한 재난 중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중 심으로 사고로 인한 심리적 영향과 심리적 외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재 난은 비정상적인 충격적인 사건으로 재난피해자 모두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난피해자는 다양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을 보인다. 특히 대 처와 관련한 심리적 영향을 보면 자연재해보다 사람에 의한 재난의 경우 사 회적 갈등과 분열이 발생하면서 심리적으로 더 악영향을 미친다. 재난피해자 들이 보이는 초기의 심리적, 행동적 반응들은 정상적인 반응으로 위기개입이 적절히 실행되면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개입이 적절히 실행되지 않을 경우 심리적 외상으로 남아 재난피해자들이 외 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한 다양한 정신장애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한국 은 2004년 제정된 재난심리지원법에 따라 재난심리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 었으나 실질적으로 전문적인 심리지원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세 월호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전문적인 위기개입 및 심리적인 지원이 실행되지 못하였고 정치・사회적인 여건으로 지원 및 문제해결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 이다. 이 년여가 지난 현재까지 생존자 및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해 투쟁 하고 있는 상황으로, 심리적인 회복의 기본 전제인 진상규명마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회복 및 재건단계로 진전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의 심리적인 상태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다만 피해자 및 유가족이 함께 투쟁하면 서 서로 지지자 역할을 하는 상황이 ‘외상경험 후 성장’의 경험으로 심리적 회복 및 재건의 바탕이 되기를 희망 해 본다. This study explored psychological effect and psychological trauma due to accidents focusing on Sewolho accident that happened in April 16th, 2014 among man‐made disasters. The disaster, an abnormal and percussive event may psychologically affect every victim of the disaster, and victims of a disaster may show various responses such a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response. In particular, as for psychological effect regarding coping measures, man‐made disasters, which accompany social conflicts and splits may produce a maleficent psychological effect the more seriously than natural disast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hat victims of a disaster show in an early stage are regarded as normal ones, and when there is a proper implementation of crisis intervention, most of them could be rehabilitated unaffectedly. However, without a proper implementation of crisis intervention on the disaster, it can be left as a psychological trauma which may result in various mental disorders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that disaster victims should suffer from. Although Korea began to operate the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Center according to th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law legislated in 2004, there has been no practically established professional system for psychological support in reality.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Sewolho accident, there was no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crisis intervention or psychological support, and still any support and/or problem solving are in delay under pertinent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For over 2 years since then, victims and disaster‐bereaved families have risen to the truth commission on the disaster and now the psychological status of the victims is significantly serious in that there hasn’t been any settled truth commission that is a prerequisite for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with no progress towards the stages of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It is simply hoped that the situation that they may be supporters each other in fighting together with victims and disaster‐bereaved families, could be an experience of “growth after traumatic experience” as the basis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