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국민당 정부 화교교육정책의 형성 및 전개과정 - 동ㆍ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

        임인재 ( Im In Ja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국민당 정부는 해외 화교에 대해 다양한 교육정책을 추진하였다. 국민당 정부가 화교교육정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민족의식의 강조였다. 당화교육으로 대표되는 국민당 정부의 화교교육정책은 민족주의 형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었다. 한편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각지의 화교들은 지역적 특성과 화교들 스스로의 필요성에 따라 화교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국민당 정부는 이러한 화교학교들을 자신들의 정책에 의해 통제하고자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화교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은 각 지역에 대한 국민당 정부의 영향력의 부재, 화교학교에 대한 국민당 정부의 몰이해, 민족주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들 수 있다. 또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화교학교는 규모와 성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서양 열강과 일본의 중국 인식,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화교의 이주 규모 및 경제적 규모에 따른 것이었다. Kuomintang government implemented a series of policies for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In the education, Kuomintang government stressed out the nationalism in the education for Chinese immigrants in particular. As shown in Danghua Jiaoyu (the education for the party), the slogan that demonstrated the purpose of Kuomintang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Kuomintang government regarded the education as important method to inspire the nationalism in the immigrant society. In the meantime, Chinese immigrants in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side from the influence of Kuomintang, established overseas Chinese schools according to each immigrant group’s need. Even if Kuomintang government intended to control these individual schools, the mainland government’s attempt largely failed to seize the control. The failure of the education is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Kuomintang influence in local immigrant society, the mainland government’s ignorance to the overseas school, and finally, contested perspective on the Chinese nationalism between the government and immigrants. Meanwhile, the schools in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indicated some contrasting points in terms of size and characteristic; the differences ascribed to the perspectives on China of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and the degree of immigration in each region.

      • 평안도 공립소학교의 설립과 학교비 분쟁 (1896~1905)

        임인재(Im, In-ja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8 기전문화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1896년부터 1905년까지 관보 및 신문자료를 통해 확인한 평안도 공립소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대해 분석한다. 이 작업을 통해 평안도 신교육기관 설립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 정부는 갑오개혁을 통해 초등 근대교육을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립소학교 설립 정책을 추진하였다. 소학교 설립은 평안도를 포함한 서북지역에서 주도적으로 진행되었다. 평안도에 설립된 공립소학교는 17개가 확인된다. 공립소학교가 설립된 평안도 각 지역은 대부분 개신교가 활발한 지역이었으며, 외국과의 무역이 발달한 상업도시였다. 초기에는 정부 주도로 설립되다가, 1900년 이후부터는 각 지방관과 지역 유생들이 학교 설립을 주도하였다. 공립소학교의 교원은 일반적으로 교원 1명과 부교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립소학교의 교원은 대부분 한성사범학교 졸업생을 임명하였고, 부교원은 해당 지역에서 추천을 받은 유생을 임명하였다. 평안도 공립소학교는 17개 지역 가운데 8개 지역만 교원이 임명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부교원에 의해 학교가 운영되었다. 부교원의 경우 잦은 임명과 해임으로 인해 학교 운영에 나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조선 및 대한제국 정부의 학부 예산은 전체 예산의 2% 내외에 불과했다. 이는 공립소학교에 대한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을 할 수 없는 구조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부는 각 지역의 역둔토를 비롯한 지방 공공재산을 공립소 학교에 이속하는 방법을 통해 재정 문제를 해결하게 했다. 그러나 1899년 10월 이후 내장원과 공립소학교의 토지 분쟁이 발생하였다. 평안도에서도 학교 비 분쟁은 평양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일반적인 학교비 분쟁과는 다르게 평안도에서는 지방세력 간의 다툼이 적었는데,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유생들의 영향력이 적었기 때문이다. 학교비 분쟁으로 인해 재정적 기반이 무너진 평안도 공립소학교는 각 지방 정부에게 지원을 호소하거나, 지역민들의 성금, 학생들의 학비 등을 통해 재정을 확보해야만 했다. This study analyzes official gazettes and newspapers to demonstrate how Gonglip Sohakgyo, equivalent to modern public primary school in Pyeongan province was established and managed during 1896 to 1905.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various aspects of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in this period throughout the Pyeongan province. It was Joseon government’s policy that first promoted the nationwide establishment of public schools in Gapo Reform. In particular, primary schools were most widely established in Pyeongan province. Those schools, seventeen in total, were largely established in local cities in which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was strong and the foreign trade was bustling. In the first stage, schools were established by government. Since 1900, local bureaucrats and Yusaengs (儒生) participated the establishment and emerged as main contributor of school establishment. Generally, one permanent teacher and one assistant teacher formed the faculty members of each school. Permanent teachers were appointed among the graduates of Hanseong Normal School in Seoul. With respect to assistant teachers, a local Yusaeng recommended from local community took the position. Only eight schools could afford to appoint permanent teacher while rest of them had to run the school only by assistant teachers. In many cases, assistant teacher’s unstable status, frequently discharged and substituted, brought negative effects to the management of school.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took only two percent of national budget of the government, structurally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not afford to provide subsidies to public primary schools. Instead, the government transferred the ownership of public real estates, including Yeokdunto (驛屯土), to the schools. However, since October 1899, the dispute over the ownership of public property was surfaced between the ministry of treasury (內藏院) and public schools. Ownership disputes in Pyeongan province were mainly occurred in Pyeongyang. Contrary to the cases in other provinces, local politics were less involved into the disputes since the influence of Yusaeng was comparatively small in Pyeongan province. Some public schools, financially collapsed due to the ownership disputes, appealed to provincial government for support, or had to depend on local fundraising and tuition.

      • 한국사 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의 특징

        임인재(Im, In Jae)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1 No.1

        남북관계의 갈등은 분단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속되었던 문제이다. 전세계적으로 냉전은 종식되었지만 한반도 내의 이념 갈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화통일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과제임을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분단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통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보다는 점차 북한과의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공의식은 현 역사교과서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서술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서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인 북한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지금까지 역사교과서 내의 북한사 서술과 관련된 논의는 첫째, 이념적인 입장에서 서술한 연구이다. 둘째,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난 시도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서술 형태로 바뀌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하고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역사교육의 방향은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a perennial problem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ough the Cold War ended worldwide, ideological conflicts still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despite these circumstances, we cannot deny that it is also our important task to pursue peaceful reunification. However, as time goes by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re is also a growing perception that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s not needed gradually, rather than emphasis on its importance. This anti-communist awareness still exists in current history textbook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presents descriptiv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which it explores the direction of objective education of North Korean history.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description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first and ideologically described. Second, it is an attempt away from ideological confrontation. Most of these discussions suggest that they should be changed to a narrative form for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textbooks should be analyzed and the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and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seeks peaceful un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남북한 영화의 교류·관계사 연구(1945~1960)

        임인재(Im, In jae),함충범(Ham, Chung beom)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본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인 1945년부터 1960년까지 남북한 영화의 교류 및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당 시기 남북한의 영화를 살펴보고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서로에 대한 표상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북한영화사의 고립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남한과 다양한 방법으로 교류, 관계를 맺었음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남한과 북한은 전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대립 구도는 남북한의 영화에서도 영향을 주었다. 해방 직후부터 1950년까지의 남북한의 영화계는 영화인들의 이동으로 인해 서울 중심의 영화계가 재편되는 양상을 가져왔다. 영화인들의 이러한 이합집산은 북한영화계의 인적 자원확보, 남한영화계의 좌익 영화인 몰락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또한 양자에 대한 표상은 상대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6.25전쟁기의 남북한 영화는 상대의 체제를 비난하면서, 자국의 체제를 선전하는 용도로 활용되었다. 남한의 경우 북한을 주된 적으로 상정한 반면, 북한은 미국을 적으로 규정하면서 남한은 구원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전쟁기의 남북한 영화는 모두 ‘국가의 적’이라는 공통된 시각을 가지고 상대를 묘사하고 있다. 전쟁 이후 남북한 영화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상업성과 대중성을 지향한 남한영화에서 북한은 국가의 적인 동시에 개인의 사적 영역을 침범하는 대상으로 묘사된다. 북한영화는 당이 영화 제작 전반을 통제하면서 미국을 적으로 규정하면서 남한을 대부분 미국에 지배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표현한다. 그러나 북한영화에서도 개인의 삶을 통해 남한을 묘사하는 영화도 등장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전후 시기 남북한 영화 속 상대에 대한 표상은 전쟁기의 단순한 국가의 적이라는 표현방식에서 점차 개인의 삶을 침범하는 대상으로 구체화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how the exchanges and mutual relationships of cinem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eveloped from 1945 to 1960, that is, since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ill 1960.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ons expressed in both countries" films at that time,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at North Korean cinema had exchanged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South Korea in various ways, unlike its isolated image. A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formed in all fields. This has also affected the cinema of both countries. From liberation to 1950, the movement of film makers caused both countries" reorganization of the film industry centered on Seoul. This reorganization of film makers became the main reason for securing human resources in the North Korean film industry and the collapse of the left-wing films in the South Korean film industry. In addition, representations of each other were expressed in a way that emphasized the other"s negative side. During the Korean War, films were used as tools to propagate their own national system and criticize the other party"s system. While South Korea defined North Korea as its main enemy, North Korea accused the US as an enemy, insisting that South Korea was the target to be saved. Both South and North Korean films during the Korean War portrayed their opponents from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that is as "the enemies of the state." After the war, the films of the two countries went in different directions. South Korean films aimed at commerciality and popularity, where North Korea was portrayed as an enemy of the state and an object that invades an individual"s private realm. In North Korea, the entire film-making process was controlled by the Party, and the US was defined as their enemy, and South Korea was a passive entity controlled by the US. However, after some time, films that portrayed South Korea through individuals" lives began to appear. The representation of the opponent in both countries" films in the postwar period gradually became concretized as the object of invading individual lives from the medium expressing the enemy of the state.

      • KCI등재

        대한제국기 함경남도 사립학교 설립운동의 전개

        임인재(Im, In-ja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2

        함경남도는 그 지역이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개항 이후 근대교육을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 있었다. 우선 경제적으로 조선 후기 어업, 광업등을 통한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면서 대표적인 상업지역으로 발전해나갔다. 이러한 경제력은 인구 증가와 도시의 발달로 이어졌고, 신교육의 적극적인수용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지역 내 향유와 신유의 갈등은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 지역 내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또한 기독교가 유입되고 함경남도 내 선교활동이 이루어지면서 학교 설립에도 영향을주게 된다. 함경남도의 사립학교 설립은 1900년 전후로 시작되었다. 학교 설립은 주로 지방관, 지역유지, 유생, 상인 등 지역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함경남도의 초기 사립학교 설립은 지역민들의 활발한 학교 설립 참여를 통해 사립학교 설립운동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들은 직접 학교를 세우기도 했고, 재정적으로 궁핍한 사립학교에 기부, 후원을 통해 재원을 마련해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학교들은 역사, 지리 등의 교과 과목과 대운동회와 같은 활동을 통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개항기 함경남도의 사립학교 교육은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 교육의 연결고리로써 작용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다양한 민족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3.1운동 당시 함경남도의 학교와 학생들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 밖에도 함경남도에서 교육활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일제강점기 이후 민족운동을전개하거나, 함경남도 내에서 전개된 항일운동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다. Hamgyeongnam-do had a foundation for accommodating modern education after the port opening due to its regional specificity. First of all,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 region evolved into a representative commercial area as the commodity-money economy developed through fishing and mi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ch economic power led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and served as the basis for the active acceptance of new education. Conflicts between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the new Confucian scholars created a movement to expand the intra-regional influence through new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missionary activities in Hamgyeongnam-do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in Hamgyeongnam-do began around 1900. This was mainly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influentials, Confucian scholars, and merchant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provid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movement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in the early stage. For instance, they built their own schools and financially supported those needy private schools through donations and sponsorship. These schools promoted national consciousness by teaching subjects such as history and geography and carrying out educational- and national awareness-oriented activitie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private school education in Hamgyeongnam-do bridged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education. It also became the basis for various national movemen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schools and students in Hamgyeongnam-do played a crucial role. Besides, those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in Hamgyeongnam-do led national movement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or partially influenced the anti-Japanese movements in Hamgyeongnam-do.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의 활동과 조지 오글

        임인재(Im, In-ja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9 기전문화연구 Vol.40 No.2

        1960년대 도시산업선교회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노동문제, 도시 빈민문제를 해결하면서 노동자의 인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 개신교의 선교단체였다. 이들의 활동은 대부분 1970년대 동일방직 사건과 같은 민주노조운동과 관련된 것으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 1960년대 산업전도 시기부터 도시산업선교회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인천 도시산업선교회는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했던 도시산업선교 가운데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인천산선이 주도했던 1970년대의 도시산업선교는 이전에 선행되었던 1960년대 산업선교 활동에 기반한 것이었다. 특히 1960년대 인천산선의 활동을 주도했던 인물은 감리교 선교사였던 조지 E. 오글 목사였다. 조지 오글은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인천산선에서 산업선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조지 오글은 교회가 힘없고 가난한 사람의 편에 서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러한 관점을 노동자에게 적용하였다. 또한 평신도운동을 강조하는 등 당시 주류교회와는 다른 입장을 보인다. 조지 오글의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 기초하여 1960년대 인천산선은 노동하는 목회자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목회자들을 공장에 보내어 노동자들과 함께 일하게 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선교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노동자들을 훈련시켜 평신도 지도자로 육성하였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공장에 몰려드는 많은 사람들을 전도하겠다는 개인구원 차원의 전도열기에서 벗어나 노동자들의 현실을 파악하고, 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인천산선의 활동과 조지 오글의 인식은 한국인 실무자들에게 계승되었다. 인천산선은 1960년대 이미 노동자를 위한 노동조합 및 노동법 교육, 직장여성부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다른 선교회와는 다르게 노동자들과 빠르고 친밀하게 접촉할 수 있었으며, 이는 1970년대 인천산선의 활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In the 1960s, the Urban Industrial Mission was a mission group of Protestantism for labors rights by resolving problems in labor problems and urban poverty that occurr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It might be known as the democratic union movement, such as the case of Dongil Textile Factory Incident in the 1970s. In fact, however, From the period of Industrial warfare in 1960s, the Urban Industrial Mission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In particular, Outstanding was that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had accomplished most of activities among urban industrial mission programs done in various regions. The Urban Industrial Mission programs in the 1970s, which was led by the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was based on formal industrial mission programs in the 1960s. Rev. George E. Ogle, a Methodist missionary in Korea, led the activities of the Urban Industrial Mission programs in the 1960s. George Ogle began mission work in the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from 1961 to 1971. He insisted that the church should be on the side of those labors who were poor and powerless. He also had a different opinion from the major churches who emphasized on the missions for laypeople. In the 1960s, Based on this ideological background of George Ogle, the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created a pastoral program for labor and sent pastors to factories to mission for labors by working with them and listening to their stories. They had done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raining workers to be leaders for ministry. At that time, rather than the meaning of personal salvation, the programs for labors was made based on the perception of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and George Ogle, who grasped the reality of the workers, were inherited to the Korean practitioners. In the 1960s,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had developed labor union, education programs for labor law and established the Ministry of working wome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y were able to quickly and intimately make the connection with labors unlike other mission groups, which beca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activities of Inchon Urban Industrial Mission in the 1970s.

      • KCI등재
      • KCI등재

        1895~1910년 평안도 사립학교 설립 과정과 주체

        임인재(Im In Jae)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20

        본 연구는 1895년부터 1910년까지 각종 자료를 통해 확인한 평안도 지역 354개의 사립학교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평안도 사립학교의 설립과정, 설립 주체, 설립 취지 등을 규명하여 이 시기 평안도 교육의 실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안도에서는 이 지역의 독특한 사회․경제적 특징으로 인해 삼남지방과 같은 사족에 의한 향촌지배가 수립되기 어려웠다. 평안도의 향촌 지배층이었던 향인은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신흥세력도 지역 내에서 점차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평안도는 이러한 내부적 특성과 개신교라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서양의 문물, 특히 서양교육으로 대표되는 신교육을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따라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교가 설립되었고, 다양한 교육 관련 활동이 나타날 수 있었다. 평안도 사립학교의 설립 과정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894년부터 1900년까지는 사립학교의 형성기로 대부분 대도시를 중심으로 학교설립이 이루어졌다. 1901년부터 1905년까지는 사립학교가 점차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국권회복과 실력양성을 주장하며 교육계몽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사립학교 설립이 최절정에 이른다. 확인된 354개교 중 279개교가 1906년부터 1910년 사이에 설립된 학교이다. 이 시기 평안도의 대부분의 행정구역에 1개 이상의 사립학교가 설립되었다. 사립학교의 경우 학교 설립 취지서를 통해 학교 설립의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문명개화론’과 ‘자강운동론’에 입각하여 학교 교육을 통해 힘을 키워 국권을 회복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실용지식이나 특수교육과 같은 각 학교의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설립을 추진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학교 설립 취지서를 학교의 재정 확보를 위한 광고의 목적으로 삼는 경우도 있었다. 평안도 지역 학교 설립에는 다양한 설립 주체가 등장하였다. 설립주체는 개신교 선교사 및 신자, 지방관, 그리고 유림, 향인, 상인 등으로 대표되는 지방유지로 나누어진다. 사립학교의 경우 위에 언급한 각각의 설립주체가 독립적으로, 혹은 둘 이상의 설립주체가 협력하면서 학교 설립을 진행하였다. 개신교 선교사의 경우 초기 학교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교사들은 조선을 구제의 대상으로 파악하여 서구문명을 배워야 하는 존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선교사들의 입장은 평안도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평안도 내의 신교육의 습득이 매우 빠르게 전개되면서 차츰 민간계열이 학교 설립을 주도하는 형태로 전환되었다. 또한 1907년 이후부터 서북학회, 대한협회, 문화학회, 평북야소교학회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평안도의 사립학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