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에서 탄소-탄소 및 탄소-수소 공유결합 퍼텐셜의 효과

        임의순,윤달호,임승환 한국물리학회 2008 새물리 Vol.57 No.1

        Considering both the widely-used Tersoff-Brenner potential and the close-ranged Biersack-Ziegler potential, we closely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arbon-carbon and the carbon-hydrogen covalent bonds on the hydrogen storage probability in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in the context of the hydrogen storage problem in a SWCNT by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We also discuss in what manner the penetration probability of the hydrogen atom is influenced by variations in both the spatial potential energy distribution and the kinetic energy as the incident hydrogen approaches the target hexagon in a SWCNT. Finally, we confirm that the hydrogen penetration probability is changed considerably and the trajectory of incident hydrogen atoms is influenced by adding the effect of the covalent bonds on the Biersack-Ziegler potential. 탄화수소 화합물에 대한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Tersoff-Brenner 퍼텐셜과 근접 산란에서 두 원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Biersack-Ziegler 퍼텐셜을 함께 고려할 때 탄소-수소 공유 결합의 효과가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내에의 수소 저장 가능성 및 수소 원자의 운동 에너지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우리는 SWCNT 표적에 수소 원자가 접근할 때 SWCNT 주위의 퍼텐셜 에너지 공간분포 및 수소원자 궤도가 어떻게 변하고 이것이 수소 저장 문제의 관심인 투과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상세히 논의하였다. Biersack-Ziegler 퍼텐셜에 공유 결합의 효과를 추가 고려함으로써 퍼텐셜 우물의 깊이는 깊어지고 넓이가 확대되어 수소 원자의 투과 확률이 크게 변하고, 표적 육각형 탄소 고리의 탄소 원자로 근접하는 수소 원자의 궤적은 심각하게 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복합 양자 복제기에서 양자얽힘 전파

        임의순,신용진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10

        We investigated how the quantum entanglement share, after coping by using a hybrid cloning machine, can be broadcast to two distant partners via only local quantum copying. The hybrid quantum cloning machine is composed of linear combination of pre-existing quantum cloning machine which is state dependent and state independent (or universal) quantum cloning machine.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wo types: (1) hybrid of WZ and BH universal quantum cloning machine and (2) hybrid of BH universal and BH type state dependent quantum cloning machine. We confirmed that a hybrid cloning machine can be used to broadcast partially to remote pairs with the hybrid ratio of the hybrid cloner. Also, a universal quantum cloning machine, in which the qualities of the clones are independent of the input states, can optimally broadcast quantum entanglement. However, the entanglement cannot be preserved by local copying. 복합양자복제기를 사용하여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양측에 각각 한곳 양자복제를 하였을 때, 복제 후 양자얽힘이 어떻게 전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복합양자복제기는 상태독립 (또는 범용) 양자복제기와 상태의존 양자복제기인 기존의 두 양자복제기의 선형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1) WZ 양자복제기와 BH 범용 양자복제기의 결합, (2) BH 범용 양자복제기와 BH 유형 상태의존 양자복제기의 결합의 두 유형의 문제를 다룬다. 복합 양자복제기를 사용하여 한곳 복제만을 하는 경우 복합 복제기의 복합도에 따라 원격 복제본들 사이의 양자얽힘이 어떻게 전파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또한, 복제의 품질이 입력상태에 무관한 범용 양자복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양자얽힘이 가장 잘 전파됨을 확인하였다. 이때 한곳 복제에서 양자얽힘은 보존되지 않는다.

      • KCI등재

        탄소 나노 구조체에 대한 수소 분자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임의순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6

        The properties of carbon nanostructures as a hydrogen storage medium have been investigated. We have calculated the probabilities of adsorption of hydrogen molecules incident upon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by using a molecular-dynamics simulation. Though interactions with carbon atoms of the nanostructures, the hydrogen molecules dissociated and behave as individual atoms. Th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over a wide range of incident hydrogen kinetic energies (0.1~100 eV). Over the energy range, we studied the dependences of the adsorption probabilities on the kinetic energies of the incident hydrogen molecule, we showed that the maximum and the minimum probabilities were given by H2 incident `following' and `parallel' to the typical target hexagon in a SWCNT. 탄소 나노 구조체들에의 수소 저장 가능성을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조사 하였다. 입사 운동 에너지를 갖고 탄소 나노 구조체 표면으로 입사하는 수소 분자는 탄소 원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두 원자로 해리된 후 독립 원자와 같이 행동한다. 입사하는 수소 분자의 에너지는 0.1 eV로부터 100 eV까지 넓은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수소 저장 확률은 4 eV로부터 30 eV에서 상당히 큰 값을 갖는다. 또한 표적 육각형 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수소 분자는 최대 저장 확률을 보이는 반면, 면에 나란하게 입사하는 수소 분자는 최저 저장 확률을 보인다.

      • KCI등재

        양자얽힘 전파에서 복합 양자 복제기의 역할

        임의순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8

        The main goal of quantum copying is to produce a copy of the original qubit that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riginal state while the output state of the original qubit is minimally distribut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quantum entanglement can be broadcast to two distant partners via only local quantum copying by using a hybrid cloning machine that is composed of a linear combination of pre-existing quantum cloning machines. The initial entangled state is shared by two distant parties, and the two sides each use a hybrid cloning machine to replicate their shared quantum state. In the case of using a hybrid cloning machine, we study how the quantum entanglement between remote replicas propagate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hybrid cloning machine and the degree of their influence by investigating the Hillbert-Schmidt (HS) distance and the inseparable regions. As a result, quantum entanglement was found to be very sensitive to the influence of the cloning machines, and the sensitivity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Meridian Phase-Covariant (MPC) > Equtorial Phase-Covariant (EPC) > Universal Quantum Cloning Machine (UQCM). Therefore, the hybrid cloning machine of a Buzek-Hillery (BH) type and an equatorial phase covariate QCM are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quantum entanglement. 양자복제의 목적은 복제본은 원래의 상태와 가장 가까운 반면 원본 큐빗의 출력상태는 최소로 왜곡되는 양자 복제본을 만드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두 양자 복제기의 선형결합으로 구성된 복합 양자복제기를 사용하여 처음의 양자 얽힌 상태가 복제 후 복제 상태들에 어떻게 전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처음의 얽힌 상태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양측이 공유하고, 양측은 자신이 공유한 양자 상태를 각각 복합 양자복제기로 복제한다. 복합 양자복제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합 복제기의 복합도와 복제기의 영향도에 따라 원격 복제본들 사이의 양자얽힘이 어떻게 전파하는지를 Hillbert-Schmidt (HS) 거리와 분리 불가능영역 조사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양자얽힘 상태는 복제기의 영향도에 매우 민감하여, 그 민감성은 Meridian Phase-Covariant (MPC) > Equtorial Phase-Covariant (EPC) > Universal Quantum Cloning Machine (UQCM) 순임을 알았다. 따라서 양자얽힘을 유지하는데는 Buzek-Hillery (BH) 유형 복제기와 적도위상공변 복제기의 복합 복제기가 유리하다.

      • 慢性上顎洞炎에 있어서 洞粘膜病變問의 相互關係에 對한 病理組織學的 硏究

        林義淳,申洪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81 고려대 의대 잡지 Vol.18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lassify the diseased mucous membrane of chronic maxillary sinusitis histopathologically, and to observe the interrelations between each histopathological changes found in the diseased sinus membrane in chronic maxillary sinusiti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66 specimens microscopically which were taken from antrums of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radically in the college hospital for chronic sinusitis. Specimens were stained with H-E for the general inspection, with PAS and Alcian blue PAS for the glandular state, and with Weigert van Gieson for the connective tissue fibro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histopathological type was fibrotic(18 cases-27.3%) and the least was edematous(4 cases-6.1%) The infiltrative type was 13 cases-19.7%. The edematous-fibrotic type was 7 cases-10.6%. The edematous-infiltrative type was 6 cases-9.1%. The infiltrative-fibrotic type and mixed type were as respectively same 9 cases-13.6%. 2. With the duration of the disease, the number of edumatous type showed decreasing tendency and the number of fibrotic type showed increasing tendency. 3. The number of nurtrophils and eosinophils showed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degree of the edema, but decreasing trend with degree of the fibrosis. The number of plasma cell and lymphocyte was in reversed trend with the degree of edema and parallel trend with fibrosis. 4. Hyperplasia in epithelial change was in parallel trend with the degree of the edematous change and in antagonistic trend with the degree of fibrotic change, but goblet cell showed reversed trend. Atrophic change in epithelium showed a gradual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degree of edema and fibrosis. 5. There was no certain tendency in edematous and fibrotic change with glandular response and vascular change.

      • KCI등재

        탄소 나노튜브에서의 수소저장에 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임의순,윤달호,소철호,임승환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3 No.5

        We have investigated the carbon SWNT (single-walled nanotube) as a possible hydrogen storage medium by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have found that approximately 42 \% of the impinging hydrogen atoms of 3 - 5 eV can penetrate through the CNT (carbon nanotube) wall and have confirmed that the CNT can be used as a hydrogen storage medium. Close investigations of the potential changes near the inside and the outside CNT walls have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the incident hydrogen atoms.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SWNT)를 활용하는 수소저장 가능성을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3-5 eV로 가속된 수소원자의 약 42 \%이상이 SWNT 에 포획될 수 있음과 따라서 탄소 나노튜브 내부에 수소를 저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 나노튜브 벽 안과 밖에서의 퍼텐셜 변화를 주의깊게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CNT 벽을 통하여 입사하는 수소 원자들 원자들이 SWNT외벽, 내벽의 흡착과 내부공간에 포획됨을 이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저전압 디스플레이 형광물질에 대한 충돌전자의 에너지 손실 모델

        임의순,소철호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2 No.2

        We introduce a formalism for the stopping power and the range of electrons which are impinging on display phosphors, CNT display materials, and carbon graphite. We show that a maximum exists in the stopping power of the electron and that the electron range has a value from several nm to several tens of nm for several hundreds of eV. This formalism can be easily extended to more practical models containing the properties, the thicknesses, and the shapes of the target materials. We also expect that it will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and designing low-voltage display phosphors. 우리는 저전압 디스플레이 형광물질에 전자가 입사하여 물질 속으로 들어가며 잃는 에너지와 침투할 수 있는 최대 깊이에 대한 공식을 유도하고, 이 공식을 CNT 디스플레이 소자에 대하여 수치 계산하여 응용 가능한 데이터를 얻었다. 수백 eV의 저전압 영역에서 전자 정지일률은 극대값을 갖으며, 이 에너지의 전자의 도달거리는 수 nm에서 수십 nm 정도이다. 이 모델은 표적 물질의 물성, 두께, 형상 등을 고려하는 실용적인 공식으로 쉽게 활용 가능하므로 저전압형 디스플레이 형광체 개발과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