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은진,이윤미,Lim, Eun Jin,Lee, Yun Mi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7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109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at 7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in B city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ssessed job stress, resilience,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 ANOVA,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tress (r=.53, p<.001), resilience (r=-.59, p<.001), and professional identity (r=-.47,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clude job stress (${\beta}=.27$, p<.001), resilience(${\beta}=-.37$, p<.001), dis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beta}=.32$, p<.001), and moderat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beta}=.19$, p=.014),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3.0%.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to reduce job stress and to improve resilience, which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is necessary.

      • KCI등재

        지리과 야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임은진 ( Eun Jin L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applied geography filed work model after developed it to be appropriate for current school system in Korea. The model developed by separating the activities of teacher and student in each phase of main activities after divided into the four-step procedure such as filed work plans, pre-activities of filed work, main activities of filed work, and post-activities of filed work, in consideration that the teacher`s careful to proceed was important to the overall plan to be successful filed work. T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OO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bject of ``a Confucian cultural experience in Andong and Youngju area`` by conducting field work of two-night three-day. And assigned students to ``the writing for the reason after selecting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laces or activities in filed work with attaching two pictures``, then analyzed the assignments divided types by learning aspects, recreational aspects, social aspects, and traditions & cultural aspects. In the result of analysis, the most common were the cases of emphasis on learning aspects related to interesting of geography o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facts, concepts, theories and so forth. The next were recreational aspects for the beauty of nature, for general things like eating, drinking or seeing, and for a value for experiential activities, then finally followed by the cases of emphasis on social aspects, such as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and intimac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ases of giving meaning to fire preservation or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ssociated with local characteristics. Likewise, the field work has the significance by various aspects so that we should put forth a multilateral effort to be enabled it to be active in school.

      • KCI등재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임은진 ( Eun 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회복하고 자아 정체성을 명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과 실행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일상생활세계에서 직접 경험하는 의미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장소``와 장소와의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관계를 뜻하는 ``장소 유대감``에 대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장소 유대감은 장소 애착, 장소 정체성, 장소 의지로 구성되며, 이중 장소 정체성은 장소에서의 사람의 사회화와 관련되어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아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서사적 정체성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본인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장소를 말하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지리 수업에서 적용하였다. 수업의 주요 절차는 ``교사의 의미 있는 장소 소개``,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사진 준비와 쓰기``,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발표``로 이루어졌다. 장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학습자들은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나누고, 자기 스스로에 대해 고민해보는 활동 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명료화하였다. 학생들이 발표한 장소는 또 다시 학생 자신을 설명해주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힘을 제공하고 계속적으로 그 의미를 재생산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way of teaching process which can contribute for the clarification of self-identity and regain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through ``the place``. To achieve this aim, this paper took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practical approach. First of all,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theory related to ``place`` as a center of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daily life directly and the theory related to ``place bonding`` as a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the place. Place bonding is comprised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is deeply related with self-identity, since the place helps the socialization of the people. Selfidentity in this paper was discussed from the aspect of ``narrative identity`` formed when we talk about ``who am I?``. Teaching process is designed for learners to be able to form their identities during they talk about the most meaningful place of their own life in the classroom, and tried to apply the teaching process in real geography class. The main process of the class were constructed of ``the introduction of a meaningful place by teacher personally``, ``the writing and preparation of a picture for a meaningful place by learners``, and ``the presentation for the learner`s meaningful place``. The learners as main agent of taking care of the place could clarify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learner`s sharing of memories and experiences of a meaningful place in geography class and the activities worried about themselves. The places presented by learners showed who themselves are again in there, and it was reproducing the meaning continuously and providing the positive energy to learner to live.

      • KCI등재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d Pathway in the Rat Retina

        임은진(Eun-Jin Lim),이은진(Eun-Jin Lee),천명훈(Myung-Hoon Chun)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4

        포유동물 망막에서 막대두극세포는 암전도로에서 이차신경으로 작용한다. 흰쥐 망막에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AII 무축 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의 발생과정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흰쥐 망막에서 protein kinase C (PKC) 항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막대두극세포의 발생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출생후 9일에 PKC 면역반 응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출생후 10일에는 강한 면역반응이 나타났다. 눈을 뜨는 시기인 출생 후 15일에 는 성체의 것과 유사한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였다. PKC항체와 AII 무축삭세포의 표지자인 parvalbumin항체 또는 GABA 성 세포의 표지자인 GABA항체를 이용하여 이중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출생후 9일부터 막대두극세포 축삭종말은 AII 무 축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 연접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세포인 막대두극세포, AII 무축삭세포 및 GABA성 무축삭세포는 발생과정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Rod bipolar cells constitute the second-order neuron in the rod pathway. Previous investigations of the rat retina hav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other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namely the AII amacrine cell and GABAergic amacrine cell populations.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 maturation of this retinal circuitry, we studied the development of rod bipolar cells, immunocytochemistry with antibodies directed to the protein kinase C (PKC), in the rat retina. PKC immunoreactivity first appeared in postnatal day 9 (P9), faint PKC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ell bodies located at the distal inner nuclear layer (INL), dendrites in the outer plexiform layer (OPL) and immunoreactive bands in the proximal inner plexiform layer (IPL). PKC immunoreactive cells and terminal bulbs at P10 show stronger immunostaining. At P15, the time of eye opening, PKC immunoreactive cells display stronger immunostaining than those of P10 and more mature characteristics like in the adult retina. Double fluorescence immunocytochemistry using an antiserum against parvalbumin, a marker for the AII amacrine cells, or GABA revealed that PKC immunoreactive rod bipolar cell terminals make contact with AII amacrine cells and GABAergic neurons in the proximal IPL from P9. Given these result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follow a similar pattern of maturation, presumably allowing the rod pathway to function a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of retina.

      • KCI등재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의 영양교육을 통한 혈당개선 효과

        임은진(Eun-Jin Lim),김미정(Mi Jeong Kim),한지숙(Ji-Sook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저소득층 당뇨병환자들의 영양교육을 통한 식습관 및 혈당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5명(남자 25명, 여자 2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 후 여자에서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혈중지질은 남자는 교육 후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나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여자는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습관의 총 점수는 남녀 모두에서 교육 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목별로는 남녀 모두에서 중정도의 식사 섭취와 식사 외의 간식을 먹지 않는다는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이 있었다. 영양지식의 경우도 남녀 모두에서 총 지식점수의 상승경향을 보였고, 아침결식 후 점심과 식사섭취, 떡과 감자류 등의 탄수화물 조성, 술의 영양가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적인 지식 향상이 있었다. 영양소섭취 상태에 있어서 교육 후 탄수화물이 여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지방은 여자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비타민은 여자에서 비타민 A, B1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무기질은 남자가 교육 후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에서, 여자는 칼슘, 인, 나트륨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에너지 구성 영양소의 비율은 남자는 교육 전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 : 알코올이 62.4%:12.7%:14.6%:10.1%에서 교육 후 65.1%:14.5%:15.0%:5.6%로 변화되었고, 여자는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비율이 교육 전 70.5%:14.8%:14.6%에서 교육 후 66.4%:16.3%:17.6%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저소득층 당뇨병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습관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것을 토대로 적절한 영양교육을 실시한 결과 혈당, 식습관, 영양지식 및 영양소섭취상태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에게는 경제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며, 실천 가능한 영양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ow income. There were 50 (27 male and 23 female) study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under national medical support, and the monthly income in most of them was less than 500,000 w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biochemical blood indices, food intak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efore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6 times within 12 week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glycosylated hemoglob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male: 8.4±1.6% to 8.0±1.7%, female: 8.3±1.6% to 8.0±1.3%) and the total cholesterol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The group of female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169.7±28.2 mg/dL to 152.8±22.0 mg/dL) and triglyceride (177.8±56.3 mg/dL to 162.3±36.1 mg/dL), but the group of mal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 scor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ow income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blood glucose.

      • KCI등재후보

        지리 교과에서의 융합 수업 설계 및 실천 연구: ‘명화로 떠나는 세계 여행’을 주제로

        임은진(Lim, Eun Jin),나평순(Na, Pyoeng So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8 사회과수업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와 미술과의 융합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실 천 연구를 통해 사회과에서의 STEAM교육 방법과 그 의의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지리수업에서의 미술 작품 활용 수업의 가 능성을 모색하였다. 미술 작품에는 다양한 자연 및 인문 환경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 는 인간의 삶이 담겨 있기 때문에, 지리와 미술 교과 간에 융합교육 실천이 가능하다고 보았 다. 둘째, STEAM 수업 유형 중 간학문적이고 탐구중심인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구체적인 수 업절차와 전략은 인지적 도제 학습방법을 적용하였는데, 학습자들이 처음에는 미술 작품에서 지리적 사실들을 교사와 함께 탐구해나가다가, 나중에는 스스로 지리적 사실을 찾아내어 설 명할 수 있는 탐구력과 지리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실제 수업 적 용은 미술과와 교과협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미술 시간에 이루어진 ‘명화 따라 그리기’ 수업 을 통해 주요 명화에 대한 작가와 작품 세계, 그리고 다양한 명화들을 접하면서 학생들이 미 술 작품에 대한 정보와 친근감을 갖게 한 후, 지리 수업에서 ‘명화로 떠나는 세계 여행’ 이 라는 주제로 융합수업을 실시하였다. 넷째, 수업 후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미술과 융 합 수업에 대한 신선함과 흥미로움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지리적 요소와 개 념에 대한 안목과 지리적 사고력이 신장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지리 과목이 일상생활과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이 그 다음 순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TEAM teaching method and its implication in social studies through practical study, which is applied to actual lesson. To do this, First of all, the possibility of using works of art in geography class was explor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onvergence curriculum. Since the works of art contain not only divers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but also human lives that live in them, I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tween geography and art. Second, in the STEAM class types, we designed a convergence class by using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and a kind of interlinked class. In the beginning, students were able to relate geographical facts with teachers in art works, and later on,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exploration and geographical thinking ability to identify and explain geographical facts themselves. Third, the actual class application was made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the art department. Through the ‘Drawing a masterpiece’ class during the art time, the students became acquainted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In the geography class, we conducted a fusion lesson on the theme of ‘World Trip to Mytholog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reactions after class, there were many opinions about freshness and interest in art and fusion lesson, followed by increasing the insight about geographical factors and concepts, and geographical thinking, followed by the knowledge of geography class’ high relevance to daily life.

      • KCI등재

        실천적 지리 지식의 형성을 위한 지리과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임은진(Lim Eun-J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3

        본 연구는 학교에서 다루는 지리 지식이 일상생활로의 전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삶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학습자의 실천적 지리 지식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이에 학교와 일상생활에서의 지식의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 실천적 지식에 대한 철학적 연원을 논한 후, 실천적 지리 지식에 대하여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지리 지식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학교 수업에서 실천적 지리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모델을 적용한 후 그 과정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있는 실제적인 과제와 문제를 찾아서 직접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지리 수업을 통해 일상의 삶 속에서 직접 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실천적 지리 지식이 형성되었으며, 추후 거주 지역의 다른 문제도 해결하고자하는 의지도 향상되었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practical geographic knowledge for student. If knowledge is only stored in schema and never used in everyday practice, it becomes merely an inert idea.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practical geographic knowledge which is initially based on practically proven in the course of solving successfully everyday problems.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practical geographic knowledge, designed it as a new model which employ ‘problem based learning’, and applied it in class. To validate its applicability and its effects in classroom, analyze its procedure and results. In this learning practice participants, they become aware of local problems related to their living areas and to their daily lives. They are urged to solve those problems within their daily activities and take part in solving those problems for themselves.

      • KCI등재

        생태마을의 형성과정과 경관 연구 :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임은진(Eun-Jin Lim)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본 연구는 생태주의의 지역화라고 할 수 있는 생태마을에 대한 것으로, 이론적 고찰과 관련 지역을 사례 연구하였다. 생태마을은 도시 지역이나 농촌 지역에서 생태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문화.정신적 환경이 균형을 이루며질 높은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지역 공동체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 내 생태마을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시 마포구에 있는 성미산 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의 형성 과정과 경관을 사례 연구하였다. 성미산 마을은 생태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의 성미산 지역에 이주해 오면서 그 가치의 중요성을 전파하고, 마을에 다양한 상징물을 만들어 가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이들은 전통 촌락의 공동체적 삶을 이상적인 정주지로 보고 마을 사람들이 함께 교육기관을 세워 공동육아하고, 두레와 품앗이를 활성화하여 경제적 상부상조를 하고 있으며, 마을 내에 잔치나 축제가 활성화되어 있다. 성미산 마을은 생태 가치의 성공적인 지역화뿐만 아니라 전통 촌락의 장점을 함께 지니고 있어, 현대 사회의 이상적인 정주공간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an ecovillage as the regionalization of ecology, focused on a case study with reviewing theoretical research of ecovillage. Ecovillage is a kind of local community enjoyed high quality life, and balanced well not only ecology but also social, culture, spiritual in urban or rural area. This case study is about Sungmisan village, located in Mapogu Seoul, having many factors of ecovillage in urban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verview and landscape studies. Sungmisan village has made by people who realized the importance of ecology and moved in there. They have made efforts to spread a value of ecology as well. They believe that the ideal village is to collaborate well each other in community regarding as common community issues, such as construction of kindergarten and schools, based on mutual help through service supply for one another in turn. Sungmisan village can be one of good cases for ecovillage where is well established as ecology area and have many strengths of traditional village.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2) : 싱가포르의 교육 정책과 지리 교육과정

        임은진 ( Eun 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1

        싱가포르는 중앙 집권적인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래의 국가 인력 양성이라는 관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융통성 있게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싱가포르 교육 정책과 지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새로운 미래 핵심역량 중심 지리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싱가포르 교육의 체계와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논하고, 최근 공시된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각 학교급 별 특징, 목적, 내용 체계, 교수 방법 및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싱가포르에서는 지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사회’에서 사람·장소·환경, 시간·변화·지속성, 정체성·문화·지역사회, 부족·선택과 자원이라는 주요 주제 안에서 역사, 일반사회와 함께 통합적으로 학습되어지고, 보통(인문), 특별, 속성과정으로 나누어진 중등학교에서는 독립적인 필수 교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국가 수준 입시 시험의 주요과목 중 하나이다. Singapore has centralized education system managed by government, and operate school curriculums flexibly based on the purpose of national workforce development for the fu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e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mpetence-based geography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Singapore’s education policy and geography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characters of Singapore education system and new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social studies syllabus of primary school and geography syllabus of secondary school pertaining to the objects, the system of contents, teaching methods, assessment etc. In Singapore, the geography is to be learned synthetically in social studies from grade 1 in primary school under the main subjects of ‘People, place and environments’, ‘Time, change and continuity’, ‘Identity, culture and community’, ‘Scarcity, choices and resources’with history and society, to be learned as one of required major subjects independently in secondary school of nomal(academic), special and express course, and to deal as one of major subjects in national exam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