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체질량지수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임은정,이강준,김현,Lim, Eun Jeong,Lee, Kang Joon,Kim, 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정상군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차이를 분석하여 낮은 BMI 수치와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과 BMI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57명의 연구대상자들이 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AD 및 MCI 진단을 위해 병력 청취, 정신상태검사, 신경인지기능검사, 신체 검사가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과 신체 질환도 함께 조사하였다.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질병의 심각도 단계 평가는 MMSE-K, GDS, CDR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MMSE-K 점수는 정상군>MCI>AD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 CDR과 GDS점수는 정상군이 가장 높았고, AD군이 가장 낮았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BMI와 MMSE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8, p=0.000). BMI와 CDR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r=-0.174, p=0.008), BMI와 GDS 역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3, p=0.000). 결 론 BMI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이 있으므로, 치매나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MI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AD의 진단 및 예방, 그리고 치료적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의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body mass index(BMI) in Korea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AD),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healthy controls to verify whether low BMI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Furthermore, this study also sought to examine any association between BMI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Clinical Dementia Rating(CDR), and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Methods : A total of 25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History taking, mental status examination, physical examination an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diagnosis of AD and MCI. The subjects' demographic data and presence of diseases were also surveyed.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severity of diseases were assessed using MMSE-K, GDS, and CDR. Results : The order of BMI was found to be healthy controls>MCI>A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order of MMSE-K scores was similar, with healthy controls>MCI>A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ealthy controls had the lowest CDR and GDS scores, and AD patients had the highest scor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MI and MMSE scores(r=0.238, p=0.000).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DR(r=-0.174, p=0.008) as well as with GDS(r=-0.233, p= 0.000). Conclusions : Measuring BMI of patients with AD or MCI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at BMI could be a clinical indicator of AD. We expect this to be beneficial for the diagnosis, prevention, and therapeutic approach of AD and also expect large-scale, long-term longitudinal studies to follow.

      • KCI등재

        소비자 입장에서의 SSM 규제 재조명- 신문기사 및 소비자 심층면접의 네트워크텍스트 분석․비교 -

        임은정,정순희,Lim. Eun-jung,Joung. Soon-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SSM 규제를 재조명하여 고찰한 것으로, SSM 규제에 대한 현 사회의 시각과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서 규제정책의 의미 및 한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일간지의 지면기사와 소비자 심층인터뷰 결과에 대해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여 연결중심성을 비교하였고, 인터뷰 결과에 대한 내용분석으로 소비자의 주관적 인식을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3년간 주요 5대 일간지에서 SSM 규제와 관련하여 보도된 총 182건의 기사에서 도출된 주요단어의 공출현을 중심으로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SSM규제를 다루는 우리 사회의 주요한 시각을 검토하였다. 영업제한, 골목상권, 판매제한, 품목제한, 규제, 중소상인의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권익, 불만, 선택권, 자율, 불편 등 소비자와 관련한 주요어는 낮게 나타났다. 공출현 연결중심성은 정책의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SSM 규제와 관련한 우리 사회의 시각이 정부의 정책논리 위주이며 특정 경제주체인 유통공급자 및 판매자 중심의 경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소비자 심층면접 내용에 대해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통한 연결중심성을 살펴본 결과, 불편, 소비자, 불만, 무시, 짜증 순으로 높게 나타나 기사 분석결과와 서로 상이하였으며, SSM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었다. 추후 시행한 QAP 분석에서도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나, SSM 규제를 다루는 우리 사회의 시각과 소비자 입장이 서로 공유되지 못한 채 상충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SSM 규제에 찬성하는 소비자들은 사회적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변화를 통해 왜곡된 시장의 질서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반면, SSM 규제 시행에 있어 소비자의 입장이 배제되고 권리가 제한되었다고 느끼는 소비자들은 현행 규제에 반대하고 규제의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규제정책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정책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및 긍정적인 성과평가를 통한 소비자와의 사회 적합의의 과정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examining an issue of the SSM regulation in a perspective of consumers, deriving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SSM regulation policy by comparing our society's viewpoint dealing with the SSM regulation with perspectives of consumers. Network text analysis findings on main daily newspapers' articles and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mpared directly, and detailed exploration was done on consumers' subjective recognition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Main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entered on the co-appearance frequency of key words derived from 182 articles on the SSM regulation by 5 major daily newspapers from Jan. 2013 to April, 2015, network text analysis was done and centrality was examined. In articles by 5 newspapers, degree of centrality was higher for regulation of business, traditional markets, regulation of sales, regulation of items, regulation and small merchants, showing a lower centrality for key words related to consumers including rights, complaint, the right of choice, autonomy and in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entrality through the network text analysis on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it was higher for inconvenience, consumer, complaint, neglect and irritability in order. Accordingly, it showed that coverage on the SSM regulation is based on macro-policy objectives like the establishment of the market order and delivery of contents centered on a supplier while excluding a position of consumers. Secondly, it showed that consumers in favor of the SSM regulation are feeling that distorted market order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s' actions. On the other hand, in a process implementing the SSM regulation, consumers feeling that their standpoint was excluded and rights were limited were opposed to the present regulation. In addition, consumers had negative recognition on effects of the regul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ersuade consumers through continual PR and outcome evaluation on the policy effects that may increase their efficacy in order to raise consumers' compliance hereafter.

      • KCI등재

        에탄올 유래 세포사망 : bcl-2 proto-oncogene에 의한 세포사망 저해

        임은정,홍경자,양병환,채영규,Lim, Eun-Jeong,Hong, Kyoung-Ja,Yang, Byung-Hwan,Chai, Young-Gyu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2

        The Bcl-2 protein has been shown to block apoptosis induced by a variety of stimuli. We have performed the experiments which cell death can be blocked by the bcl-2 proto-oncogene under moderate(50-100mM) or high ethanol treatment(400-600mM). As a result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MTT assay, cell death was blocked by Bcl-2 under 100mM ethanol. However, the results of DNA fragmentation and RT-PCR(ICE, and CPP32), immunoblotting(CPP32, and PARP) for SK-pcDNA3 cells(vector only) and SK-Bcl-2 cells(stably expressed bcl-2 gene) were showen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cell lin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ell death induced by ethanol was not followed by apoptosis mechanism, and was blocked by the bcl-2 proto-oncogene with moderate ethanol.

      • KCI등재

        다시마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임은정,Lim, Eun-Jeo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다시마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서 3%, 5%, 7%와 9%의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스펀지 케이크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검토해본 결과, 다시마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은 첨가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다시마 분말 첨가구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회분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데 비해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시마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의 탄수화물 함량은 대조구와 첨가구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비중은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다시마 분말 첨가군의 비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기 손실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9%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죽 수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9%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다시마 첨가에 의하여 케이크의 색은 다소 어둡고 푸른색을 띄는 변화를 보였다.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다른 첨가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다시마 분말 9% 첨가구가 가장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도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다시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스펀지 케이크의 texture 특성으로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검토해본 결과, 3%, 5%와 7%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그 물리적 특성이 비슷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나, 9% 첨가구의 경우 스펀지 케이크의 texture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펀지 케이크의 외관은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피와 높이가 감소하였으며, 가운데 부분이 약간 주저앉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전반적 기호도, 색, 향기, 조직감, 맛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3%와 5% 첨가구에 대한 전반적 기호도와 맛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성(p<0.05)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시마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의 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다시마 분말을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한 케이크를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검토해본 결과, 다시마 분말 3% 첨가 스펀지 케이크와 5% 첨가 스펀지 케이크가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첨가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made with Laminaria japonia powder.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sensory analysis, Laminaria japonia powder was added to wheat flour in various ratio (3, 5, 7, 9%, w/w). The specific gravity and loss rat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Laminaria japonia powder. The crude protein and ash levels in the sponge cake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ddition of 0~9 g of Laminaria japonia powder/100 g of wheat flour. For the crumb color values,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Laminaria japonia powder, whereas redness (a)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however, the cohesiveness and resilience were reduced by the addition of Laminaria japonia powder. Whe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5% Laminaria japonia sponge cake showed the highest sensory properties, except for color.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5% Laminaria japonia sponge cake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physical quality as well as the taste.

      • KCI등재

        유치원 교육혁신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임은정 ( Eun Jeong Lim ),곽노의 ( No Ui Kwak ),신수희 ( Su Hee Sh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본 연구는 유치원 혁신을 위한 3가지 제안을 전제로 한다. 첫째,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특기교육의 혁신. 둘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과 연구역량 강화. 셋째, 바깥놀이의 적극적 수용이다. 유치원 교육혁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기관, 교사, 학부모 모두 실천의지가 있어야 하며 의견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혁신의 주체 중에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인식,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육혁신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회수된 973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960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부모들이 놀이를 통한 교수-학습방법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지 등의 방법은 옳지않다고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연구와 다른 결과였다. 둘째, 본 연구대상 학부모들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분야별 전공자에 대한 거부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치원 교사들은 전문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관찰과 연구의 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을 보면 자연에서의 바깥놀이가 더 효과적이며 교육환경은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ree suggestions for innovation the kindergartens. The first area of innovation concerns the ongoing Prior Learning and specialty education. Seco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capabili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outdoor play should be proactively adopted. Practicing the educational innovation in kindergartens requires the practice will of the institution, teacher, as well as the parents, and also requires a consensus of opinions.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understand the Korean parents’ perception towards kindergarten education,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outdoor play these days, so as to propose new possibiliti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in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play and replied that they thought teaching through worksheets to be inappropriate, the result of which differed from previous studies. Second, parents were aware of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parents, however, were not averse to teachers majoring in different fields, so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emphasize their professionalism by cultivating their ability to observe and research.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in regards to outdoor play, parents considered outdoor play in the nature to be more effective. The parents also perceive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 factor that has effects o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정책네트워크

        임은정(Lim Eun Jung),권민애(Kwon Min Ae),정순희(Joung Soon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현재 도입을 앞두고 있는 주택용 전기요금제의 개편에 대한 행위자간 정책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소비자, 소비자단체, 정부기관 각각의 정책행위자들의 관심과 입장, 연대와 갈등 정책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책네트워크 분석에서 배제되어 왔던 소비자를 주요 정책행위자로 포함하여 행위자간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하였으며, 양적 네트워크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인터뷰를 추가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현재의 전기요금 정책에 대한 낮은 지식 및 인지수준으로 인해 주택용 전기요금제의 개편에 대한 관심 및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안의 주요 골자인 연료비연동제도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입장은 비교적 긍정적이었으나, 현행 6단계에서 3단계로의 누진단계완화에 대해서는 정부기관 간에 상이한 입장차이가 존재하며, 소비자 또한 요금인상을 이유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과 관련한 정책행위자간 연대 및 갈등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단체는 강한 연대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가 갈등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어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과 관련하여 소비자에게 제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안의 시행에 있어 소비자의 참여를 보장하는 공론화과정을 통한 정책결정이 필요하며, 특히 소비자단체에 대해 사회적으로 인식하는 연대수준이 높은 만큼 정부와 소비자 간의 의사소통에 있어 소비자단체를 매개로 한 정책의 도입 및 확장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olicy network among policy actors who are consumers, consumer organizations(NGO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by delving into their interest, stance and solidarity in implementing the restructured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What sets this study apart from the previous ones is the inclusion of consumers who were excluded in the previous research of policy network; in this study, consumers are counted as major policy actors. Moreover,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etwork. This study presents three findings. Firstly, consumers have a little interest and demand for restructuring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due to their insufficient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current electricity pricing policy. Secondly, policy actors show generally positive responses to a system linking electricity costs to electricity charges, which is the essential of the restructured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whereas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differing opinions on the reduction in progressive stages from six to three stages, and consumers disapprove of the power rate hike. Lastly, after analyzing solidarity and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on the restructured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the study has found out that consumer organizations(NGOs) are known to have strong solidarity, but consumers tend to be involved in conflicts. This proves that consumers are having interactions to a limited extent on the restructured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plan.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ing processes be made public in implementing the restructured residential electricity pricing. Also, since consumer organizations (NGOs) are considered as having a high level of solidarity, they should lead interactions between governments and consumers,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polici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대처의 사회적 맥락 이해하기 : 사회관계망과 치료 체계를 중심으로

        임은정(Lim, Eun-Chung),주정민(Joo, Jungmin)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자폐스페트럼장애에 대처하는 행동을 사회적 산물로 보고, 증상 인지, 서비스이용 진입, 지속 여부 결정의 주요 시점에 사회관계망 및 치료 체계와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에 놓인 양육자의 선택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이나 관련 소견을 받은 적이 있는 2005~2010년생 자녀를 둔 주 양육자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타임라인을 시각 자료로 활용한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증상 인지에서 이용 진입 시기에는 부인에 힘을 싣는 가족과 의심에 무게를 두게하는 보육 기관 교사가 주요 관계망이었고, 치료 체계의 전문가는 진입 후 지속 여부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용 지속 이후 현재까지는 다양한 지지를 제공하는 부모 모임이 의미있었으며, 교사가 주로 약물치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장애를 분리하고 타자화하는 한국사회의 믿음과 태도는 전 시기에 걸쳐 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생활하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장애의 증상이 아니라 개인의활동과 참여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홍보 및 옹호,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하고, 장애 당사자와 가족뿐만 아니라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관계망의 당사자로서 그들을 사회구성원으로 수용하고 옹호하는 각자 개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nsiders the coping behavi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 social constructs, and explores the experiences of caregivers choices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with social networks and treatment systems at key points in symptom recognition, service use entry, and compliance. Nineteen caregivers with children born between 2005 and 2010 who had been diagnosed with r/o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timeline as a visual data. Themes were extracted by thematic analysis. From symptom recognition to service entry, teachers in childcare institutions weighed on suspicion and families on denial. The treatment system expe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pliance. Since compliance, self-help parents groups that provide various supports have been meaningful, and teachers have played a primary role in promoting drug therapy. Also, the beliefs and attitudes of Korean society to separate and otherize disabilities have influenced the choices throughout the period.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live independently and to be accepted in the community, social publicity and advocacy and policy support focused on individua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not symptoms of disability, should be combined. Also, the role of each individual as members of social network is important in accepting and advocating for them.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생활화 영역 분석 연구

        임은정 ( Eunjung Lim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 생활화 영역의 내용과 그 범위를 탐색하기 위하여 현행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서 총 6종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개정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서에 구성되어 있는 생활화 영역의 학습 활동을 구분하고, 구분된 활동의 내용과 종류에 따라 생활화 영역의 내용 분류 체계를 구성하였다. 분류체계에 따라 각 교과서에 구성된 생활화 영역 학습 내용의 범위와 교과서별 생활화 영역 구성의 내용 빈도를 분석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생활화 영역의 개선 방안으로 음악 교육과정에 생활화 영역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 제시와 음악 교과 활동과 생활 음악 경험을 융합한 내용 구성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scope of “music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9. To do this, this study looks into six music textbooks in use for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sults, it proposes that educators should develop a Nation Music Curriculum that reconfigures the scope of “music in daily life,” its contents, its structure, and its exemplars; they should develop a variety of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enable students to expand their school music experiences into other everyday mu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