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술융합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이미지와 언어 연계과정을 중심으로-

        임은영(Yim,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오늘날 초연결망 사회는 다학제적인 학문 간 융합에 의한 통섭적, 통합적 사고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따라서 미래 교육의 향방은 총체적인 관점으로 문제들을 이해하고 융합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방향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예술 분야 또한 다양한 장르 간 융합을 실험하고 훈련하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절실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융합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하고 실험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공간디자인 수업을 통해 예술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서 우선 2장에서는 예술융합의 도구로 사용되는 이미지와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상호상관성과 특성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이미지와 언어 연계에 의한 예술융합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공간디자인 수업을 통해 예술융합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예술융합의 수단인 이미지와 언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예술융합 단계의 준거를 마련한다. 다음, 이미지와 언어의 지각과정, 사고과정, 기억과정을 기반으로 한 예술융합과정의 여섯 단계를 설정하여 음악과 미술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이 도출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학습자가 단일학문 범주에서 공간디자인 과정을 수행했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술적 사고와 표현이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교육적 계기와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oday’s hyper connected society demands a shift of thought toward consilience and consolidation by converging multidisciplinary field of learning. Tomorrow’s education tends to be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the problems in holistic perspectives and seeking the solutions in harmonized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in the arts education to experiment various ways of convergence in different fields and to expa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advanced training. This research aims to seek and search a methodology of convergence in arts program and to suggest futuristic and creative design program.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se backgrounds and it is the result of arts convergence in the space design class. Chapter 2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nectedness between images and languages in art convergence. Chapter 3 introduces a methodology of art convergence program linking images and languages and suggests a way to utilize it. Chapter 4 draws a design conclusion applied by art convergence process. Research method reaching the conclusion is to analyze the constituent parts of art convergence, image and language and to set the standard for the following steps. It includes six steps based on perceptual process to the image and language so that the space design can be constructed after music and art converged. Conclusively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learners could experience the expansion of artistic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n space design process, compared to individual and independent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posing an educational motivation and setting a model with a method of convergence in space design.

      • KCI우수등재SCOPUS
      • KCI등재

        교재원 식물을 활용한 환경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돈형(Don-Hyung Choi),임은영(Eun-Young Yim),조성화(Seong-Hoa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1 環境 敎育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lac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la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utilizing the neighborhood learning gardens in their districts to find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drawn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itially,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ant appearing in the textbooks of wise life, science and practical arts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ly, develop a plant utilizing environmental play program targeted towards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s the foundation. Third, apply the plant utilizing environmental play program into the classroom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to be proposed. First,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the various surroundings of the region is essential. Also, the current method of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being operated in most of the schools need to be changed over to divers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are linked with the region. For this, an internet based database, information sharing and exchange program centralized around the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needs to be prepared. Moreover, since this research had developed an environmental play program utilizing plants that focused on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play programs dealing with various themes for each grades is required. Lastly, although this research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in the variables of ecological knowledge,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environmental altitude,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function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mongst the variables of environmental literacy but there requires a succeeding research considering the variables that haven’t been included in this research.

      •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기주식물 다양성 및 부착특성

        최병기 ( Byoung-ki Choi ),양주은 ( Ju-eun Yang ),박민지 ( Min-ji Park ),이채빈 ( Chae-bin Lee ),서연옥 ( Yeon-ok Seo ),임은영 ( Eun-young Yim ),최형순 ( Hyung-s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겨우살이(Mistletoe)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항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 우리나라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Kom.) Ohwi),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13). 겨우살이는 항암, 항염증, 항HIV 및 면역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engoni et al., 2002; Ovesnaet al., 2004; Safayhi and Sailer, 1997; Weissenstein et al.,2011). 이 중 참나무겨우살이는 난대·아열대성 상록의 부착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 지역이 유일한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KBIS 2021). 동백나무를 포함해 상록성 수종에 부착하여 기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수종에까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Choi et al. 2009, e-Flora 2020, Fukunaga et al. 1989, Lee et al. 2013). 참나무겨우살이는 기주식물의 다양성에 따라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성분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삼나무, 녹나무, 참식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수종 간 성분비교에서 참식나무에 기주한 참나무겨우살이가 가지 및 잎 추출물에서 항염증 및 항암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et al., 2018a; Park et al.,2018b). 그러나 최근 자생지에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종 이외의 다양한 기주식물에서 기생현상이 확인되어 참나무겨우살이의 한국 내 기주식물 다양성 및 기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기주식물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및 난대·아열대산림의 지속적인 관리에 있어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대상지는 제주도 전역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생물자원관,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등의 공공기관 표본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다. 현장조사는 참나무겨우살이의 분포 위치정보와 함께 기주식물의 수종, 수고, 부착부위(3단계), 부착가지구분(3단계)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참나무겨우살이의 기주식물 다양성은 23속 30종 1변종 3품종 등 39분류군(동정보류 5분류군 포함)으로 확인되었다. 참나무겨우살이 분포가 확인된 지역은 서귀포지역 저지대(해발 200m이하)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347그루에서 참나무겨우살이 기생을 확인하였다. 기주식물 중 자생종이 18분류군으로 전체의 52.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종도 9분류군, 재배종 12분류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교목 및 아교목성이 82.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보리수나무, 까마귀쪽나무 5079>등의 관목성인 종에도 기생하였다. 나자식물은 삼나무와 은행나무 2분류군의 5.9%였으며, 상록 활엽수는 참식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등 16분류군의 47.1%, 팽나무, 목련, 감나무 등 하록활엽수도 16분류군의 47.10%를 차지하였다. 부착특성은 수형 중 상부 89개체, 중부 255개체, 하부 20개체였으며, 가지부착은 주 줄기 46개체, 부 가지 225개체, 잔가지 104개체가 확인되었다. 특정 수종의 경우 참나무겨우살이 부착에 있어 배타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