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ㆍ중학생용 지식재산태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임윤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생의 지식재산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식재산태도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문가 의견수렴과 에비검사, 본 검사의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검사의 대상은 유의 표집을 통하여 초등학교 658명과 중학생 5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지식재산태도검사도구의 구인을 최종적으로 타당화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학생용 지식재산태도검사의 요인은 7개로, 지식재산의 개인적 가치, 지식재산의 사회적 가치, 지식재산의 직업적 가치, 지식재산의 창출 흥미, 지식재산의 학습 흥미, 지식재산관련 활동 참여 경향, 지식재산관련 활동 습관화 경향으로 구분된다. 둘째,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요인별 문항내적 합치도 계수(Cronbach 알파)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요인1은 .867, 요인2는 .861, 요인3은 .844, 요인4는 .837, 요인5는 .850, 요인6은 .868 그리고 요인7은 .852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발된 검사도구의 요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식재산의 개인적 가치가 높을수록 사회적 가치가 높고, 지식재산창출 흥미가 높은 학생이 지식재산의 학습흥미가 높으며, 지식재산관련활동의 참여가 높을수록, 지식재산의 습관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지식재산교육을 통하여 태도를 지속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To achieve the object of research, literature review, opinions convergence of the expert, pilot test and main test were perform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6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546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llectual Property Attitude Scal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below IPASS) were composed of 7 factors(the personal value of the IP, the social value of IP, the professional value of IP, the generating interest in IP, the learning interests of IP, IP related activities participation trends and IP related habitual tendencie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IPASS as high(Cronbach alpha = .949). Factor 1's Cronbach alpha was 0.867. Factor 2's one was 0.861. Factor 3's one was 0.844. Factor 4's one was 0.837. Factor 5'sone was 0.850. Factor 6's and 7's one was 0.868.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IPASS factors(value recognition , interest and behavioral tendencies) was high.

      • KCI등재

        예비기술교사의 실험․실습 안전 지도에 관한 교육요구도 분석

        임윤진,최유현,김성일,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in safety instruction for technological experiments and practices.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were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4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college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surveyed using the 5 - point Likert scale for the Required Competences Level (RCL) and the Present Competences Level(PCL) of safety instruction in the technology subject experiment and practic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7, 2016 to October 16, 2016, and the final analysis was applied to 174 out of 8 fraudulent responses. The reliability level of this study were .853 (Cronbach’s α) in contents fields and .943 in detail safety instructions. The analysis tools were used SPSS 22.0K and EXCEL. The educational needs level were calculated using a modified formula Borich(1980).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of this study was set at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redits and Safety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4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colleges. Second,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were high in technological experiments・practices and safety instruction Third,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were high in detail safety instruction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CL about safety-instruction between the third graders and fourth graders of 4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colleges. And the RCL scores of the third grad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fourth graders. Fifth,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CL for safety-instruction between mal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and female ones. And the PCL scores of female was lower than that of mal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urriculum for safety guidance and to designate it as an essential subject fo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 training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기술교사의 실험・실습시 안전 지도에 관한 교육적 요구를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기술교사의 기술교과 교수・학습에서 요구하는 실험・ 실습지도 및 관리, 운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4곳의 예비기술교사 양성대학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기술교과 실험・실습시 안전지도에 관한 요구되는 능력과 현재수행능력을 5 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2016년 9월 7일부터 10월 1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 분석 자료는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174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알파 값을 활용하였으며, 기술 내용학별 안전교육요구의 신뢰도는 .853, 안전지도를 위한 세부항목에 관한 신뢰도는.943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분석패키지 SPSS 22.0K와 EXCEL을 활용하였다. 교육요구도의 산출은 Borich(1980)의 공식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통계처리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기술교사 양성대학별 실습이수학점과 안전교육 이수 현황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기술교사들의 실험・실습 및 안전지도에 대한 교육요구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기술교사들의 실험・실습시의 안전지도 세부사항에 대한 교육요구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안전지도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차이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학생이인식하는 안전지도 현재능력수준은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기술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서 안전 지도에관한 교과목 개설 및 기술교사양성의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되는 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임윤진,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measur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hinking(below TPST). The number of expert for opinion survey of TPST construct was 20. Thepopulation of TPST-Test was the nation’s 9th grade students. Using purposivesampling with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local student, 426 of 9th gradestudent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collect theexpert opinion for TPST construct. It was composed of the 4domain(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visual thinking)and 18 sub-factors. The TPST-test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The researcher developed 12 questions. 4 questions of which were selectedthrough the expert review. With the selected items, Pilot-tests were conductedon 36 students. The difficulty of items was 0.480 and discrimination of itemswas 0.305 in the pilot-test. The reliability of the pilot test was analyzed byCronbach α coefficient. The result was metacognition(.906), critical thinking(.923), creative thinking(.929), visualization(.955) and overall(.950), respectively. After modifying the pilot-test items, main test was conducted on 426 students. The difficulty of items was 0.331 and discrimination of items was 0.474 in themain-test. The reliability of the main test was analyzed by Cronbach αcoefficient. The result was divergent problem solving thinking(.834), convergentproblem solving thinking(.885), and visual problem solving thinking(.862) andoverall (.881), respectively. The expert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by direct delivery and e-mail. The survey took place over 2 rounds. The 1st round was conducted in 2014March 26 to March 31. 19 out of 2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2ndround was conducted in 2014 April 3 to April 10. 18 out of 19 questionnaireswere returned. The pilot-tests were sent on April 20 and 36 out of 36 pilot-tests werereturned by direct delivery. The main-tests were sent by mail in 2014 May 7 and conducted by eachclass. All of 426 main-tests were returned to May 22 by mail.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contents validity ration(CVR) and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werecalculated for the analysis of expert opinions. Both item difficulty and item determination were calculated to determinethe item suitability. Rater reliability was examined using Cronbach αcoefficient. Interrater reliability and correlation between scores were examinedusing Simpl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study the construc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For data analysis, EXCEL, SPSS 21 andAMOS 21 was used.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TPST was constructed 3 domains and 9 sub-factors. 3 domains weredivergent problem solving thinking(below DPST), convergent problem solvingthinking(below CPST) and visual problem solving thinking(below VPST). Thedivergent problem solving thinking was composed of fluency, sensitivity,awareness of the accessibility and creativity. The convergent problem solvingthinking was composed of logical consistency, consistency of goals andthinking, problem solving efforts to improve. The visual problem solvingthinking was composed of expressiven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2. The scores of TPST-test were DPST(14.972), CPST(8.174) and VPST(2.960),the overall average(26.106), respectively. The skewness(0.234) and kurtopsis(-0.134) were showed good normality. 3. In order to standardize, the scores of main test were used to create anorm-table. The scores were converted to a percentiles, Z scores and T scores. Reporting results of the test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profi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are made asfollows:1. The instrument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을 측정할 수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의 구인에 대한 20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는 예비검사(36명), 본검사 4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검사의 표집은 인구비례를 고려한 유의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기술통계와 추리통계가 모두 사용하였고, 자료분석도구는excel, SPSS21 그리고 AMOS21이었다. 이 연구의 구인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유의 수준은 알파계수 0.05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은 3개의 구인과 9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3개의 구인에 대하여 확산적 문제해결사고, 수렴적 문제해결사고 그리고 시각적 문제해결사고라 명명하였다. 확산적 문제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은 유창성,민감성, 인식의 접근성, 독창성의 4개로 이루어졌고,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는논리적 일관성, 목표와 사고의 일치성, 문제해결 개선 노력성의 3개로 이루어졌으며, 시각적 문제해결사고는 표현성, 조직과 구성성의 2개로 이루어졌다. 둘째, 이 연구에서 활용된 본 검사 도구는 난이도(.331), 변별도(.474)가 적절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로 제시되었는데, 확산적 문제해결 사고(.834),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885), 시각적 문제해결사고(.862) 그리고 전체(.881)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 점수는 확산적 문제해결사고 평균(14.972), 수렴적 문제해결사고 평균(8.174), 시각적 문제해결사고 평균(2.960), 전체 평균(26.106)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의 왜도(.234), 첨도(-.134) 모두 정규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임윤진,최유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5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0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program for specialized school teacher in invention‧patent field and to explore theprogram improvement idea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on survey method and using program evaluatingmodel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are 39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 about invention‧patent field at CNU-IECT(Inventioneducation center for teache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on August 2, 2014. The 37 questionnaies were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1980)'sneeds assessment formula. The evaluating model was developed by the team.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training needs of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s was high.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high. Thir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s was high. Fourth, the improvement ideas were divided into four area - 1)The status quo area, 2)the alternatives exploration area, 3) the strategy modifications area, 4) the expectedexpansion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요도와 곤란도 인식 분석을 통한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임윤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아이디어의 시각화 교육 능력 함양을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지도의 중요도와 곤란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시각화 교육에 관한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 C대학과 K대학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 142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75였다. 자료의 배부와 수집은 인편과 e-mail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발명 직무연수 방안의 탐색은 조사도구를 통해 산출된 중요도와 곤란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의 곤란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중요도와 곤란도 분석을 통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을 위해 가장 시급한 연수 프로그램은 ‘발명 아이디어 구상’과 ‘제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enhancing the profession of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for teach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42 teachers participated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t C Univ. and K educational Univ.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2 researchers and reviewed by 3 expert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875.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direct delivery and by an e-mail, collected data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2.0K. To find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 of educating the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analysis matrix was used. The results through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by 3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Second,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educating difficulty level is usually above. Third, the most urgent programs for educating of invention ideas’s visualization were 'visualize invention ideas' and 'drawing'.

      • KCI등재

        학교에서의 메이커 교육 현황과 기대 분석 : 초·중등 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임윤진,권유진,이은경,박영수,이영태,장근주,박성석 한국기술교육학회 202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mak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he teacher's expectations for maker education in the future. 1,14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nationwide (639 elementary and 504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sampled by a stratifie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maker educati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maker education by the teachers was somewhat insufficient, and the amount and variety of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maker education-related class were also somewhat lacking. Most teachers, however, believed that the maker edu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classroom classes. Next, regarding expectations for future maker educatio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both environmental and teachers’ expertise conditions. And both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ated the high appropriatenes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ime (72.5% of the seconds and 66.9% of the tim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seems that research and polic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acher's advancement of expertise on maker education and enhancement of practice in the education will have to be pursued to revitalize maker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 현황과 향후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국 초·중학교 교사 1,143명(초등교사 639명, 중등교사 504명)을 층화추출 표집하여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이커 교육 현황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메이커 교육에 관한 이해 정도는 다소 미흡한 수준 이었고, 교사들의 메이커 교육 관련 수업 경험의 양과 다양성도 다소 부족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교사들이 메이커 교육이 교실 수업을 개선 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향후 메이커 교육에 관한 기대와 관련하여, 초·중학교 교사 모두 환경 조건 및 교사 전문 성 조건 모두에 대하여 높은 기대 수준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초· 중학교 교사들 모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의 적합성을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있었다(초 72.5%, 중 66.9%).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향후 학교에서의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의 전문성 신장 노력과 메이커 교육 실천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 한 연구와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차이에 관한 연구

        임윤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에서 있어서 성별에 따른 사고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과 관련된 선행연구 가운데 성별에 따른 문제해결 차이를 분석한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3학년을 모집단으로 인구비례를 고려한 유의표집을 통해 선정된 426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도구이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90이다. 자료의 수집은 우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검사에 참여한 학생의 검사지를 전량 회수하여 100% 분석에 활용하였다. 검사도구의 채점은 연구자와 전문가 2인을 포함하여 3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채점 점수를 바탕으로 SPSS 21.0K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치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을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둘째,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지 않다. 셋째, 시각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넷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종합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below TP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426 people selected through the sampling considering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population nationwide. The testing instrument of TPSTS that developed by Lim & Choi(2014) was used. The reliability of the TPSTS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0.890.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mail, the all test materials were applied in analysis. The Scoring of this study was done through 3 scorer.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1.0K scoring points based on th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technology and gender statistic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of girls is higher than boys . Second,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boys is not high than girls . Third , Visual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of girls is higher than boys. Fourth, TPSTS total score of male students is not high than female students

      • KCI등재

        기술 교과 역량 함양 수업의 실태와 요구 분석

        임윤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class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he subject competencies of Technology Educatio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acher of the whole country. The sampling method was proportional layer random sampl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ion.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4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made onlin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erceptions about subject competence, actual condition of class and evaluation, problems and support requi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were aware of the competencies of the technology education and thought it is important. Second,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were trying to apply the lesson to improve the subject competencies, but the evaluation were not. Third, the teacher 's requirements for enhancing the subject competencies of the technology education appeared as securing the time for teaching and evaluation and supporting the related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xpand the expertise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to enhance the subject competencies of the technolog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역량 함양 수업의 실태와 요구를 찾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를 모집단으로 지역규모를 고려한 무선유층 표집을 실시하였다. 조사의 응답자는 총 422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설문 지였으며, 온라인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는 교과 역량을 알고 있으며, 중요하다고 생각 하고 있어 교과 역량 함양 수업과 평가를 위한 준비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는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을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평가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 교과 역 량 함양 여부에 대한 교사의 평가활동과 피드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 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술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의 요구사항은 ‘수업과 평가를 위한 시간확보’와 ‘관련 자료의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서 기술과 수업시간의 확대와 활동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가정과 교사의 기술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성 신장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임윤진,이건환,박경선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1

        The study aims to find the strategies to support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which was established as a new subject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ssist high school students to explore career choices. For the research purpose accomplished,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high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with teachers’ regarding how they differently perceive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content investigation of two experts in the field of invention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15 participants in a training course run by KIPA(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for hig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which lasted for one month, December in the year of 2016. However, 9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SPSS 22.K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ith the 5% significance lev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both administrators’ group and teachers’ showed the moderate level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curriculum content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Second, the two groups presented the above-average of preception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subject, and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necessity of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high schools. Third, teachers’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was higher than administrators’ with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Moreover, the two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ffort to facilitate intramural activities based on the subject regarding perceiving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진로선택 교과로 도입된'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안정적인 정착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써, 고등학교 관리자와 관련 교사들이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진이 개발한 뒤 발명교육 전문가 2인의 내용검토 후 최종 설문지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1 개월 간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관하는 직무연수 과정에 참여한 115명의 학교 관리자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95개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통계처리 유의수준은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과 ‘지식 재산 교과’의 필요 인식에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활용에 대해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이상의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전략은 높은 정도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셋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교사의 인식수준이 관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필요에대한 인식에서는 교내 활동의 활성화에 대해서만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