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개혁안에 따른 진로교육 정책의 실천 전략과 방향

        임용수 韓國進路敎育學會 1996 진로교육연구 Vol.5 No.-

        Recently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forth the educational reform, which aimed at establishing the new education system and the new vocational education system for the actu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explore and propose the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reform. Firstly, the nature of the educational reform was analyzed in order to make clear the reform-aimed educational policies. Secondly, the relationship of the new education system and the new vocational education system to career education was investigated to formalize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al reform. Thirdly, the strategies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al reform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strategy-forming process, i.e., the process of selection, calcul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of the three types of reform strategy including power, facilitation, and self-regulation. Lastly, the directions were detailed and suggested in order to implement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al reform. They were listed as follows: the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nformation system;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introduc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rvices system; the in-service education of teachers for career guidance activities; the training of career guidance teachers; the school organization for career education; and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career education condition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치주수술후 치주포대 비부착시 클로르헥시딘과 리스트린 구강 양치의 효과

        임용수,김윤성,신형식,Lim, Yong-Soo,Kim, Yoon-Sung,Shin, Hyung-Shik 대한치주과학회 199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hlorhexidine, Listerine and hypertonic saline mouthrinse without periodontal pack during 2 weeks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modified Widman flap procedures. Each fourth patients assigned to chlorhexidine mouthrinse group, Listerine mouthrinse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wasn't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and microbiologic parameters at preoperation. Examination regarding plaque index, gingival index, pocket depth, change of gingival color postsurgically, pain index and contrast phase microscope were performed. Evaluations were made at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fourth weeks postsur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lorhexidine mouthrinse group and Listerine mouthrins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plaque index at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fourth weeks 2. The pocket depth of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fourth weeks. 3. Chlorhexidine mouthrinse group and Listerine mouthrins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ange of gingival color at the first week. 4. Cocci and non-motile rods were increased at the first and the second weeks. But, motile rods and spirochete were increased at the fourth weeks.

      • KCI우수등재

        한국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고찰 : M. Harris 의 문화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From M. Harris' Cultural Materialistic Perspective

        임용수 한국교육학회 1996 敎育學硏究 Vol.35 No.5

        한국의 교육풍토에서 가장 흔한 언설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공부'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교육현실에서는 공부의 본질적 가치보다는 수단적 가치가 더 중시되고 있는 듯하다. 이는 학교공부가 학력경쟁의 수단이 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학력이 사회적 지위 지표가 됨으로써 초래된 현상이다. 이에 따라 학력주의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게 되어 학교교육의 수단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폭시키고 교육에 대한 시각과 교육 실천을 끊임없이 왜곡·굴절시키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Marvin Harris의 문화적 유물론의 시각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Harris의 문화적 유물론을 개관하였고 한국의 학력주의와 학력경쟁 현상에 대한 선행 연구를 네 가지로 대별하여 고찰한 다음 한국의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문화적 유물론의 인식론적 접근(정신적-행위적 접근 및 에틱-에믹 접근) 체계를 통해 접근하였다. 그 결과, 관찰자의 시각인 에틱 설명과 참여자의 시각인 에믹 설명간에 드러나는 차이로부터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확인해 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학력주의가 참여자의 사고체계에 신념 내지 관념으로 자리잡아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니게 됨으로써 학력경쟁이 당연시되고 학력추구를 지상과제로 여기게 된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의 이데올로기적 학력주의의 산출 구조를 Harris의 문화적 유물론의 하부구조 결정론(하부구조-구조-상부구조-정신적 에믹 구조)에서 고찰하여 정신적 에믹 요소로 드러나는 이데올로기적 학력주의의 제 양상을 밝혔다. Students' "studying" is one of the most frequent discourses in the Korean educational reality. However the intrinsic value of studying is not so much taken into serious account as the instrumental value of that. This is probably because "studying" became a means of competition for credential, i.e., schooling career. This means that the credential came to be regarded as an index of social status in the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credentialism appeared to have ideological nature, which could lead to the distortion of the educational reality and perspective.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nature of credentialism in the Korean education by reviewing the previous relevant literature and by applying Marvin Harris' cultural materialistic perspective to explaining it. The previous literature on Korean credentialism was analyzed with the focus on such topics as the social status competition among individuals or groups,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ardent educational wishes, the educational competition triggered by social structure, and the over-expansion of private education sector. As the credentialism in Korean society was put into analysis on the ground of Harris' cultural materialistic perspective comprising behavioral-mental and etic-emic approaches, it proved to have the ideological nature in the sense that the credential, i.e., schooling career, was mystified in terms of different explanations about the educational reality between etic and emic points of view. In addition, Harris' infrastructure determinism was assumed to be theoretically applicable to making clear the forming process of the educational ideology of credentialism in the Korean educational reality and ascertained with its deterministic direction.

      • KCI등재SCOPUS
      • 人權의 敎育學的 意義와 人權敎育에 대한 考察

        임용수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4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0 No.1

        우리나라에서는 최근까지도 인권문제는 상당히 민감한 事案으로 취급되어 왔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自然權 사상의 뿌리는 깊지만 인간으로서 주장할 수 있는 권리로서 近代的인 의미의 인권사상이 등장한 것은 불과 몇 백년 전의 일이다. 사실상 自由와 平等의 개념, 主權在民思想 등 근대 민주주의의 이념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이후에야 모든 인간의 평등한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인권을 교육과 관련시켜 이해하고 인권교육에 대해서 논의해 보려는 시도가 국외에서는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인간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변화를 도모하는 교육이 인간 본연의 권리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 왔던 것은 우리교육의 사회적 기능상의 限界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고, 최근까지 상당한 기간동안 우리사회를 지배해 왔던 권위주의 정치체제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 글의 일차적인 목적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인간존엄성의 표출이자 인간으로서의 당연한 권리를 일컫는 인권에 대하여 理論과 實踐 양면에서 새로운 인식과 접근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제기하는 데 있었다. '人權敎育'을 고찰하기 위해, 인권개념을 먼저 알아보고, 인권의 교육학적 意義를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 후에 인권교육의 내용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은 비교적 생소한 인권교육에 대한 序論的 考察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어떤 의미를 찾는다면, 인권교육의 문제를 개인의 인권의식, 인간들간의 상호 존중관계, 정당한 절차의 가치, 공동체정신, 국제적 이해 등과 관련시켜 論議를 시도해 본 점이다. 인권은 분명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고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다. 교육을 통하여 모든 인간이 인간으로서 평등하게 대접받는 사회가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하고 인권 침해와 隸屬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데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하겠다. 앞으로 교육학의 각 분야에서 인권교육 및 인권과 교육문제에 대한 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접근이 계속되기를 기대하며 이 글을 맺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