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후반 한국 수묵화양식의 다변화에 관한 연구

        임연숙(Lim, Yeon-Suk)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6 No.16

        미술의 창작은 그 변화에서 생명력을 찾을 수 있다. 지난 20세기 후반 한국의 수묵화는 그 이전에 볼 수 없던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것은 작품의 내용은 물론이고 재료기법의 측면에서까지 진행되어 다양한 양식과 형식의 수묵화 작품을 낳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여기에 주목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양식 특성을 분석, 정의하여 미술사로 환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20세기 80, 90년대는 포스트모던이즘이 세계적 조류였으며 이것은 곧 신 서구중심주의 혹은 후기 식민시대로 일컬어지는 다원 문화주의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 현상을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라고 하며 문화인류학자 호미바바는 이를 ‘갈등의 상태’, ‘시뮬레이션’, ‘제3의 공간’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적 차이를 이론 체계로 정리 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논거를 제시하고 결론을 도출하고자 호미바바의 이론을 ‘20세 기 후반 한국 수묵화의 변화 양상’에 적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호미 바바의 ‘양가성(ambivalence, 모순상태)’, 혼잡성(hybridity, 잡종성)’, ‘흉내내기(mimicry, 모의, 모방)’, 등의 개념을 실재 작품과 연계시켜 분석 하고자 하였다. 문화가 뒤섞인 상황에서 원숙하고 검증된 작품을 선정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20세기 후반 수묵화 작가 중 호미 바바의 이론과 호응관계에 있다고 판단되는 몇몇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여, 작가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미적 대응 방식을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이 여전히 ‘한국화’에 대한 위상과 전통과 현대에 대한 반복되는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반복된 논의에서 벗어나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실제적으로 문화사적인 시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묵화의 변화는 서구양식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작품이라는 결과물은 사회인식과 시대의 흐름과 그 변화를 같이 해 왔음을 주지하고자 한다. The life force of arts can derive from the creation accompanying the chang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Korean Sumukhwa has encountered innovative changes that have not seen before; it has progressed not only in the content of the artwork b u t also in terms of material technique and emerged in various styles and forms of Sumukhwa. It focuses on these massive changes and makes progress on the purpose of returning to art history by analyzing and defining the style features of the artwork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cause of the changes. Postmodernism is a worldwide movement in the 1980s and 1990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it becomes flowing into Multiculturalism, referred to as Neo Eurocentrism or Post-colonial times. This cultural phenomenon is called " Postcolonialism," and Homi K. Bhabha, a cultural anthropologist, has organized the theory systematically in the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the concepts of "State of Conflict," "Simulation," and "Third Space." To present the grounds for an argument and to draw a conclusion based on academically, this study has applied the theory of Homi K. Bhabha to the "The Changing Aspect for Korean Sumukhwa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Also, it analyzed the concepts of Homi Bhabha, "Ambivalence," "Hybridity," "Mimicry," and so on in linking to the existing artworks. The selected artworks, which judged to be in a positive response with Homi K. Bhabha"s theory, have produced from several artists, and it is complicated to select mature and verified artworks in the mixture culture. Therefore, it represents that the aesthetic response methods inherent in the inner side of the artists have examined.

      • 한국산 육생 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표피상피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장남섭,임연숙 한국통합생물학회 1989 동물학회지 Vol.32 No.2

        한국산 육생 민달팽의 표피상피세포 및 점액형성세포의 세포화학적 또는 미세구조적 연구를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 표피상피조직 민달팽이의 표피상피세포는 부위에 따라 외투, 족측상피조직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상피조직은 불규칙한 단층원주상 상피세포로 구성되었으며, 단층원주상 상피세포들은 감각상피세포, 지지상피세포, 점액형성세포 그리고 감각상피세포와 유사한 우명상피세포들로 각각 이루워져 있었다. 외투 및 족측상피조직에서는 감각상피세포와 지지상피세포가 관찰되고, 우명상피세포는 배측상피조직 사이에서만 관찰되었다. II. 점액과립 형성세포 산성점액과립 형성세포와 중성점액과립 형성세포들이 외투, 족측 그리고 배측의 불규칙한 단층원주상 상피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이같은 점액과립 형성세포들의 수는 상피조직의 부위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The species of the slug used in this experiment is the Korean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hstorferi), which is examined for the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research on the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epithelial cells. I. Epidermal tissue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epidermal tissue of this slug, the epidermal tissue is divided into the mantle, the foot and the dorsal epidermis. These epidennal tissue are composed of the irregular simple columnar epithelium, which are formed into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the supporting epithelial cells, the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clear epithelial cells are similar to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Both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and the supporting epithelial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mantle and the foot epidermis, but the clear epithelial cells are only seen in the dorsal epidermis. II.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 acid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neutral mucous granule producing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irregular simple columnar epithelium of the mantle, the foot and the dorsal epidermis.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epidermal tissue, the number of these mucous granule-producing epithelial cells are differently distributed between the epidermi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