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헌분석을 통한 노화에 따른 음성의 특징과 삶의 질 변화

        임애리,김향희,김수련,유현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1

        음성 산출에 관여하는 신경계, 호흡기관 및 발성기관은 노화로 인해 퇴화되고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노년층의 음성은 청·장년층의 음성과는 다르게 변화된다. 본 연구에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해부 생리학적 노화에 따른 음성의 변화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관찰되었다. 첫째, 청지각적으로는 음도, 강도, 음질의 변화가 일어난다. 둘째, 음향음성학적으로는 기본주파수, 주파수 및 진폭변동률, 배음대 소음비의 변화가 관찰된다. 셋째, 공기역학적으로는 최대연장발성시간, 평균호기류율, 성문하압 등에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노화로 인한 음성의 변화는 노년층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향후에는 노년층 음성의 대규모 역학조사를 통해 병리적 음성과 정상 노화 과정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여 노년층의 음성 관련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effects of aging on voice production have been well documented with regard to anatomical and functional changes in such voice production mechanism as respiratory and phonatory systems. In this review, we addressed the issues on age-related voice changes in the following several aspects: (1) perceptually, pitch, loudness and voice quality are altered with age, (2) acoustically, changes in fundamental frequency, jitter/shimmer and harmonic to noise ratio occur, (3) aerodynamically, performance on maximum phonation time, mean airflow rate and subglottal pressure are discussed. All of these changes may affect, on the whol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is review article lays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work on large epidemiological studies by which enable us to differentiate between normal aging voice and pathological voice. Furthermore, it would be expected that timely therapeutic management on age-related voice would ultimately increas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KCI등재

        Effects of Micro-Electrical Stimulation on Regulation of Behavior of Electro-Active Stem Cells

        임애리,김장호,기택,선우훈,조우재,정필훈,정종훈 한국농업기계학회 2013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8 No.2

        Purpose: Stem cells provide new opportunities in the regenerative medicine for human or animal tissue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report an efficient method for the modulating behaviors of electro-active stem cells by micro-electric current stimulation (mES) without using chemical agents, such as serum or induction chemicals. Methods: Dental pulp stem cells (DPSCs) were cultured on the tissue culture dish in the mES system. To find a suitable mES condition to promote the DPSC functions,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was used. Results: We found that a working micro-current of 38 μA showed higher DPSC proliferation compared with other working conditions. The mES altered the expression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roteins compared to those in unstimulated cells. The mES with 38 μA significantly increased osteogenesis of DPSCs compared with ones without mES.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mES may induce DPSC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sulting in applying to DPSCs-based human or animal tissue regeneration.

      • KCI등재

        마리보의『선의의 배우들 Les Acteurs de bonne foi』의 극중극에 관한 고찰

        임애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마리보는 말년의 작품『선의의 배우들』을 통해 자신의 이전 극들을 패러디하거나 기존의 전형적인 고전주의 희극들을 비틀어서 극중극의 형식으로 무대화한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자신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전주의 연극을 패러디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논쟁』에 이어 바로 마리보의 주요 관객인 상류사회의 관객들을 극중극의 관객으로서 편입시키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다.『논쟁』에서는 무대 위의 관객인 왕자와 에르미안느가 극중극을 통한 실험-‘여자와 남자 중 누가 먼저 변심하는가’에 대한 실험의 결과에 관해 논쟁을 하면서 무대 밖으로 나가자 그들의 논쟁의 장은 현실 세계로 연장된다. 마리보 작품의 실제 관객의 대부분은 왕자와 에르미안느와 마찬가지로 상류사회의 인사들인데, 작가는 왕자와 에르미안느를 극중극에서 관객의 위치에 놓음으로써 무대 위에 실제 관객의 모습을 투사하였다. 관객은 연극에 대한 무대 위의 관객의 반응과 논쟁을 바라보면서 무대 위에 비친 실제 객석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제 마리보는『선의의 배우들』에 이르러 실제 관객을 마담 아믈랭과 공모한 아라맹트와 마찬가지로 무대 위의 객석에 편입시킨다.『논쟁』과는 달리, 이 작품에서는 연출가와 관객인 두 배우가 직접 극중극에 참여하고 극중극을 이끌면서 무대 위의 관객의 역할을 보다 더 확대시킨다. 다시 말해서 무대라는 거짓 세계를 객석이라는 현실 세계로 확장시킨 것이다. 또한 관객은 무대 위의 ‘선의의 배우들’과 마찬가지로 무대 위의 관객이라는 역할을 통해 마리보의 주인공들처럼 자신도 이 세상의 연출가가 배분한 역할을 수행하는 현실 사회의 ‘선의의 배우’일 뿐이라는 진실에 마주하게 된다. 이제 연극을 통한 작가의 실험은 무대 위의 등장인물들에 한정되지 않고, 과연 실제 객석의 관객이 연극을 통해 이러한 진실에 도달하게 되는지를 실험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상과 같이『선의의 배우들』을 통하여 실제 관객이 극중극을 통하여 자신들이야말로 ‘선의의 배우들’이 아닌가하는 진실에 마주서도록 만들고자 하는 마리보의 의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 마리보의 후기 두 작품-『논쟁』과『선의의 배우들』을 중심으로 현실 사회에서 ‘선의의 배우들’로 살아가는 관객의 진실을 밝히고자 했던 마리보의 의도를 뒷받침해주고 있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세계관을 작가의 작품 세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urant les dernières années de sa vie, Marivaux, grand dramaturge français du XVIIIe siècle réécrit sous une forme de parodie ses pièces antérieurs dans Les Acteurs de bonne foi. A travers cette pièce, le dramaturge jette un regard général sur ses oeuvres principales. Les Acteurs de bonne foi est composée de deux parties : dans la premiere partie(sc.1-7), le valet Merlin charge d’inventer une petite comédie impromptue, interprétée par des valets et des domestiques. Mais la répétition s’achève en bagarre et en confusion. Parallèlement dans la deuxième partie(sc.8-13) Mme Amelin assume le rôle de metteur en scène pour son seul plaisir. Elle feint l’annulation du mariage pour s’amuser des réactions des autres protagonistes. Elle invente une histoire, met en scène le théâtre dans le théâtre et distribue des rôles à des personnages réels. La difference entre la première partie et la deuxième partie tient au fait que dans la première jouée par des valets, les acteurs savent qu'ils jouent comme des acteurs sur la scène. Mais dans le deuxième théâtre dans le théâtre, les acteurs excepté le metteur en scène, Mme Amelin et son assistante, Araminte ne s'aperçoivent même pas qu’ils jouent. Ainsi 'le théâtre dans le théâtre' souligné dans cette piece révèle l’importance de l’illusion théâtrale. Par ailleur, Mme. Amelin et Araminte agissent de connivence avec les spectateurs réels qui assistent à cette représentation. Pour les spectateurs, c’est une occasion de se regarder soi-même. Pour eux, la scène est un miroir dans lequel se reflètent les spectateurs réels. Elle fait en sorte que les spectateurs réels se voient dans les personnages théâtraux. Par l'expérience interne dans le théâtre, ils reconnaissent eux-même qu’ils sont les acteurs de bonne foi dans la société réelle. Ainsi les relations complexe entre le théâtre (la représentation théâtrale) et la société (le réel) sont de nouveau en question. Les acteurs de bonne foi est le théâtre expérimental dans le sens où il offre aux spectateurs de nouvelles façons d’assiter au spectacle et de nouvelles manières d’apercevoir les oeuvres théâtrales. Cette oeuvre théâtrale met en scene toutes les interrogations théâtrales de Marivaux et fait preuve de modérnité.

      • KCI등재후보

        마리보의 La Dispute(논쟁)에 나타난 극중극에 관한 고찰

        임애리(LIM Ae-L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7

        18세기 프랑스 극작가 마리보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대표적 특징은 등장인물들이 가장, 변장, 거짓말의 형태를 차용하여 극중 놀이를 벌인다는 것이다. 마리 보는 극중 놀이라는 연극 형태를 이용하여 일종의 극중극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 극중극은 단순한 극 형태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현실의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그의 연극에 반영된 현실이란 그의 연극과 다르지 않은데, 그에게 있어 현실도 그의 연극과 마찬가지로 외양들의 세계라는 것이다. 외양이란 인간 마음속에 존재하는 본질로서의 실재가 아니라 단지 주어진 이미지만을 옷처럼 걸치고 연기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마리보는 마지막 극작품들 중의 하나인 La Dispute(논쟁)를 통해 그가 보여주어 왔던 작품들의 특성을 패러디하는 동시에 무대 위로 현실의 관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즉 그는 극중극 형식을 이용하여 무대 바깥의 실제 관객으로 하여금 무대 위에 반사된 현실과 더불어 그 현실 속에 존재하는 관객 자신의 모습과 만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La Dispute에 나타난 극중극 형식을 통해 작가가 행한 실험의 결과를 점검해야할 차례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먼저 무대 위의 극중극과 극중 현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이 관계가 실제로 마리보의 연극 무대와 객석 공간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관계들을 통해 극중극이라는 극적 형태가 과연 이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무대 위에 반사된 현실의 관객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러한 극중극 형태를 통해 마리보가 자신의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ater in the theater’ that Marivaux, French dramatist in 18th century, used to adopt as dramaturgy in his plays. Marivaux expresses in his plays his characters are searching for ‘the Actual being’ through ‘the Appearances’. At the beginning of most of his plays, Marivaux’s young characters are just ‘the Appearances’created by their parents, family and societies . But through ‘the theater in the theater’ in the form of mask, disguise and lie, they recognize the truth of the actual being which exists under the social appearances. Therefore they begin to know the possibility which are able to change their appearances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being in their heart. ‘The theater in the theater’ of La Dispute looks like a summary of the subject that Marivaux search for. In La Dispute, the dramatist displays a spectator on his stage. Through this dramaturgy, he puts a question to his real spectator about the relation between a spectator and a play. But it is not important to enlighten a spectator’s attitude, but to reflect a spectator’s aspect on the stage of La Dispute. Consequently Marivaux suggests that his spectator meets the very oneself reflected on the stage in ‘the theater in the theater’ of La Dispute. But meeting oneself is a portion of a spectator.

      • KCI등재

        인공와우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건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말소리 지각

        임애리(Yim, Ae-Ri),김다히(Kim, Dahee),이석재(Rhee, Seok-Chae)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3

        Although it is well documented that patients with cochlear implant experience hearing difficulties when processing their first language, very little is known whether or not and to what extent cochlear implant patients recognize segments in a second language. This preliminary study examines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identify English segments in a normal hearing and cochlear implant simulation conditions. Participants heard English vowels and consonants in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normal hearing condition, 12-channel noise vocoding with 0mm spectral shift, and 12-channel noise vocoding with 3mm spectral shift. Results confirmed that nonnative listeners could also retrieve spectral information from vocoded speech signal, as they recognized vowel features fairly accurately despite the vocoding. In contrast, the intelligibility of manner and place features of consona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vocod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spectral shift affected listeners’ vowel recognition, probably because information regarding F1 is diminished by spectral shifting.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ochlear implant and normal hearing second language learners would experience different patterns of listening errors when processing their second langua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0대 초반 학생의 담화에서 나타난 구문 발달

        임애리(Ae-Ri Yim),박은숙(Eun-Sook Park),김향희(Hang-Hee Kim),서상규(Sang-Kyu Seo) 한국언어치료학회 2008 言語治療硏究 Vol.17 No.2

        This study examined grammatical structures of pre-teen students in written and spoken discourses of narrative and expository. The discourses were analyzed by grammatical complexity measures of: average T-unit length; embedded clauses per T-unit; subordinate clauses per T-unit; average clause length; and percentage of embedded clauses in subordinate clau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mmatical complexity of written language samples.   a. In written narratives, average T-unit length and subordinate clauses per T-uni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ge ten to age twelve, and embedded clauses per T-uni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ge ten to age fourteen.   b. In written expository, embedded clauses per T-uni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ge ten to age twelve and to age fourteen, and percentage of embedded clauses in subordinate clauses increased from age twelve to age fourteen.   2. Average T-unit length and average clause length discriminated age ten from age twelve. Embedded clauses per T-unit and percentage of embedded clause in subordinate clause discriminated age fourteen from age ten and from age twelve.   These results show that in evaluating pre-teens expressive lan- guage, it is appropriate to use expository and written discourses as language samples, and to analyse language samples by embedded clauses and number of words per T-unit and clause.   Further studies are called for with qualitative analyses of grammati- cal structures. Also, such subject variables as reading a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need t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