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커리어 크래프팅 측정도구(K-CCA) 타당화 연구

        임수원,장운민,송영주,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미국에서 개발된 커리어 크래프팅 측정도구(CCA)를 우리나라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타당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번역-역번역법으로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예비조사 349명, 본조사 35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어 크래프팅 측정도구 문항을 번역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4개 요인 15개의 문항을 확인하였고, 국내 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 5개의문항을 추가로 개발하였다. 둘째,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커리어크래프팅 측정도구(K-CCA)는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고, 모형 적합도도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경력태도 및 행동 변인인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와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력만족, 경력몰입, 고용가능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K-CCA가 국내 근로자의 경력개발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도구임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한계점과 제언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인과모형 : 운동장 유무 조절효과 중심으로

        임수원,이혁기,한윤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운동장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 136명, 운동장이 있는 학교 학생 140명, 총 293명을 표집하였다.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관여도는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관여도는 친구관계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관계 질은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과모형에 대한 운동장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에서 운동장 있는 학교 집단이 운동장 없는 학교 집단보다 스포츠관여도와 사회성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 더 높은 경로계수가 나타났다.

      • KCI등재

        Fabrication and Operation Testing of a Dual Resonance Pulse Transformer for PFL Pulse Charging

        임수원,조주현,류홍제,김종수,근희,진윤식 한국물리학회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9 No.61

        A high voltage oil-submerged helical strip/wire type pulse transformer has been fabricated for charging of a Blumlein pulse forming line. As a primary coil, copper strip of 25 mm width was wound helically around a MC nylon cylinder. For a secondary coil, copper enamelled wire of 1 mm diameter was wound around half-conical cylinder in order to provide insulation between two windings. The device has a coupling coefficient of 0.76, and a tuning inductor of 2.5 μH was inserted in the primary circuit to operate in dual resonance condition. Maximum energy transfer efficiency and gain were measured to be 50% and 18.3, respectively. The transformer could charge the Blumlein PFL up to 370 kV.

      • KCI등재

        성공사례기법을 적용한 경력단절여성 대상 커리어 코칭 사례연구

        임수원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피코치(참여자) 중 성공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코치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코칭 경험 전 – 코칭 중 - 코칭 후의 경험과 코칭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력단절여성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갖고 우연한 기회에 코칭에 참여하였다. 코칭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에 대한 마인드 셋이 변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코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게 된 경험을 발견하였다. 또한 코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치의 전문성, 신뢰,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도울 수 있는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확대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the coachees (participants) i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held at the Saeil Center in Area G, Seou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achees, and the analysis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ach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oachi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itially joined the coaching program by chance, oft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unease. Through the coaching experience,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dentity, underwent a mindset shift concerning work, and ultimately regained confidence in job-seeking activities.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the coach helped them establish a sense of direction in their careers and take on new career challeng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ach's expertise, trust, and social support were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coach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career coaching programs that can assist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re-entering the job market.

      • KCI등재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

        임수원,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1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대기업 여성 근로자의 경력개발 및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차원의 접근 제고를 위하여 대기업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대기업에 근무하며, 경력 3년 이상인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내부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외부 고용가능성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내부 고용가능성과 외부 고용가능성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내부 고용가능성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지속가능한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강화시키고, 일터에서 잡 크래프팅을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들의 조직 내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높이는 동시에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이 외에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job crafting,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n pursuance of the study purpose, data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who had at least thre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t large companies in the list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inally, 267 cases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employability, bu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ternal employability;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dditionally,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respectively. Finally, job craft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and the empirical research evidence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romote job crafting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for the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lso presen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한국 스포츠사회학회지 게재 논문의 질적 연구방법 분석

        임수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17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30 qualitative researches were analyzed. Most of qualitative researches in sociology of sport includes a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and the procedure such as research participants, sampling method, participants selecting reason, consent form, data selecting method, data analyzing method, and trustworthiness of date. These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crete techniques and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Spradely, Wolcott, Denzin, and Lincoln & Guba, who are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echniques described included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Also all qualitative researches had applied various techniques to the data analysis. The techniques were content analysis, deductive analysis, text analysis, cognitive mapping and so on. All qualitative researches tried to enhanc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utiliz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triangulation, member checks, peer-debriefing, and progressive subjectivity. But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of sport comes under a rudimentary level.

      • KCI등재

        축구심판들의 아비투스와 문화재생산

        임수원,권기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3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habitus of soccer-referees who were ex-soccer players through Bourdieu's viewpoint, and to examine how the referees continue their own group structure as well as how they reproduce their culture in the field of soccer refere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were selected 7 soccer’s referee registered in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referees who were ex-soccer players reveal congeniality habitus through their experiences based on homologie between field for soccer and soccer-referees. Second, people believed that ex-soccer referees better judge a game than others and it formed a trust because referees who were ex- soccer players showed legitimacy by homologie in the field of place for soccer-referees. Hence, the developed trust derived that ex-soccer referees were misrecognition like as they have privilege. Ultimately, soccer-referees who were ex-soccer players build their own group by identifying they have some valuable specialty and similar habitus. These group structure justify their culture capital in the field for soccer-referees, and it perdure their organization that were composed of ex-soccer players through censorship of players' positioning 본 연구의 목적은 Bourdieu의 이론적 관점을 통해 선수출신 축구심판들의 아비투스를 파악하고, 나아가 축구심판의 장에서 어떻게 그들만의 집단적 구조로 존속하고 강화하며 그러한 문화를 재생산해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1급심판자격을 소지한 선수출신 축구심판 7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출신 심판들은 문화자본으로서 게임의 감각, 문화 및 사회자본으로서 선수경력을 통한 친화성을 가지며 아비투스를 드러내고 있었다. 둘째, 축구심판의 장에서는 장 간의 상동성으로 인해 정통성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선수출신 심판들이 ‘경기를 잘 볼 것이다’라는 신뢰를 형성하여 그것이 그들만이 가진 특권처럼 오인되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선수출신 심판들은 선수경력이라는 문화자본이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가치재로 특권의식을 갖게 되고 동일한 아비투스를 지녔음을 확인함으로써 결속력을 높여 그들만의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집단적 구조는 장에서 제도화되는 문화자본을 통해 정당화되며, 이 과정에서 경기배정이라는 장의 검열을 통해 선수출신들만의 구조를 존속해나가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