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ennial emergent macrophytes as the main determinant of Hydrochara affinis inhabitation

        임세혁,이보은,이황구,배연재,김재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2 No.4

        Due to the increasing mosquito activity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m, mosquito control has become a global issue. In particular, biological control using the natural enemies of mosquitoes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Hydrochara affinis, an aquatic beetle,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mosquito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ts natural habitats for successful mosquito control. Therefore, we survey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ts natural habitats (dwelling sites, DS), former habitats (former dwelling sites, FDS), and non-habitats located near its natural habitats or with a similar landscape (non-dwelling sites, NDS). Perennial emergent macrophytes accounted for 85.5% of the total plant cover in the DS, while they accounted for 44.2% and 43.0% in FDS and NDS, respectivel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tion concentration of the water, in the 3 categories (DS, FDS, and N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anges of these values in the DS were wid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perennial emergent macrophyte communities can be a determinant for H. affinis habitat select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maintain a proper environment in which macrophyte communities, that can serve as habitats for H. affinis, can proliferate.

      • KCI등재

        대중음악의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임세혁,한가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4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미디어를 통한 의사소통 플랫폼이 다양해지면서 문화예술산업의 진 입과 방식의 방법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문화예술계는 창작 작품의 제작을 위한 재원조성의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하고 있으나 대부분 순수예술과 순수예술교육 지원에 그쳐 대중음악의 재원조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라 온라인을 활용한 크라우드 펀딩의 재원조성은 창작자들과 후원자들에게 새로운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가치공유’를 형성하고 예술의 가치를 함께 이 루어내고 있다. 그러나 예산 편성을 위한 재원조성보다는 소액의 홍보용 수단으로 쓰이고 있어 그 방식 과 시스템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음악의 창작을 위한 재원조성으로서의 크라우드 펀 딩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타 예술 분야 중 연극과 뮤지컬 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의 사례를 살펴보고,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와 대중음악 현장에서 10년 이상 창작 및 교육 활동을 한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설문 조사를 2023년 05월 30일부터 06월 10일까지 인식 조사 내용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재원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식과 제도가 필요하며, 크라우드 펀딩의 활용을 위한 제도적 마련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과 음악 제작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인정하고 인식 개선과 홍보를 통해 적극적인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여러 장르의 음악을 대중과 소통하기 위하여 재원조 성의 목적과 계획을 명확히 하고 그에 따른 전략 개발과 크라우드 펀딩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보상방식 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중음악 창작자들은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과 음악 제작의 밀접한 상관 관계에 있다는 인식을 인지하고 다양한 활용 방안이 모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시도가 필요하 다. 이러한 노력으로 대중음악에서 크라우드 펀딩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platforms through online media have diversified, Institutional preparation and system construction are necessary for the use of de-fund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ccess of crowdfunding and music production, and actively seek ways to utilize it through awareness improvement and publicity. Third, in order to communicate various genres of music with the public,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and plan of financing, develop strategies accordingly, and materialize various compens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s of crowdfunding.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For more than 10 years in the field of popular music , creating and teaching.I 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engaged in meat activities were conducted as a survey method to conduct a perception survey as follows. s. First, various methods and systems are needed to raise financial resource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platforms through online media have diversified, Institutional preparation and system construction are necessary for the use of de-fund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ccess of crowdfunding and music production, and actively seek ways to utilize itthrough awareness improvement and publicity. Third, in order to communicate various genres of music with the public,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and plan of financing, develop strategies accordingly, and materialize various compens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s of crowdfunding. Therefore, crowdfunding is active In order to become a global leader, various methods of crowdfunding and compensation The formula should be specific, and i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ccess of crowdfunding and music production,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so that awareness can be improved through active publicity and various utilization methods can be explored suggest.

      • KCI등재

        척수강내에 발생한 경막 내외층 사이의 비외상성 혈종 - 증례 보고 -

        임세혁,양보규,이승림,안영준,정홍준,남석우,김현세,김성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recapping laminoplasty for the treatment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several causes for a spinal hematoma. The occurrence of spinal hematoma is rare; in particular, the ones arising atraumaticaly are considered extremely rare.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a 33 year old male patient without any known risk factor. Magnetic resonance image has revealed an intraspinal epidural cyst compressing on the spinal nerve. After performing recapping laminoplasty, followed by partial excision of dura mater and resection of hematoma, we were able to observe another layer of dura mater, confirming the location of hematoma within two epidural layers, i.e., an interdural hematoma. Results: Performing recapping laminoplasty is a more effective and less invasive procedure for removing cyst than conventionally used laminectomy. Patients were found to have synostosis after three months post-op, and they have exhibited neither lumbosacral pain nor lower limb motor weakness after six months follow-up. There were no recurrences or complications reported on our study. Conclusion: There are a few reported cases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Our study shows that performing pars osteotomy with recapping laminoplasty yield good clinical outcome for the treatment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비외상성 척수강내 혈종에서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한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수강내 혈종은 여러 원인에 되어 발생하나 빈도가 많지 않으며, 특히 비외상성으로발생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대상 및 방법: 위험인자가 전혀 없는 33세 남자에서 MRI상 발견된 경막외 낭종이 척수신경을 압박하고 있었다.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해 혈종을 제거하고 전방에 또다른 경막을 관찰하여 경막내외층 사이에 발생한 혈종임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증례에서 시행한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은 고식적으로 시행되었던 추궁판 절제술에 비해 낭종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고, 덜 침습적이다. 수술 후 3개월 추시에서 골유합 소견 관찰되었으며 6개월 추시에서 하요추부 통증 및 하지 위약감 소실되었고 혈종의 재발이나 합병증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극히 드물게 보고된 경막 내외층 사이에서 발생한 비외상성 척수강내 혈종에 대해 Pars절골술과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한 수술적 치료를시행하였고 좋은 결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