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임선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9

        A convergence study of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knowledge fact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on 216 students agreed from April 1 to June 14, 2019. S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The oral health beliefs were 3.87 and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measured by 5-point, oral health interest and oral health status are 11.9, 1.50, 2.36, 2.67 respectively. The need for constant oral health education so that changes in oral health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ability can be improv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융합연구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동의한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유익성이 3.87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 11.9점, 5점척도인 구강건강중요성 1.50점, 구강건강관심 2.36점, 구강건강상태는 2.67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지식(r=0.294, p<0.01)과 구강건강상태(r=0.406, p<0.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의 변화와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하며,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학생들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자가 되는 경로에서 교사의 차단적 역할 검증

        임선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ttitude toward violence affect students who experienced bullying victim in their role in making peer-to-peer violence deepen, and how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bullying victim react to show aggression, and the aggression is blocked by teacher’s attitude toward violence, resulting in decrease of doing the bystander’s negative behavior. By conducing this study,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ensure that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violence is very important in preventing peer bullying in the classroom. To achieve this aim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82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40 classes at 10 elementary schools and limited only 365 of the respondents who reported experiencing peer bullying victim. This study utili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lower the bystander’s negative behavior in victims who experienced peer bullying, and the lower the responsive aggression reacted from the peer bullying, when the teacher shows an unacceptable attitude toward viol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violence also appears to affect peer bystander’s negative behavior by mediating peer bullying victim’s reactive aggression, indicating that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classroom violence may reduce the aggression of students from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nd consequently prevent the classroom from becoming more leprosy by reducing peer bullying.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또래괴롭힘이 심화되도록 하는 주변인 역할 행동을 하는데 있어 교사의 폭력에 대한 태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또래괴롭힘 피해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이 교사의 폭력 허용도의 영향을 받아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방관 및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또래괴롭힘 현상이 교실 내에서 심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0개 초등학교 40개 반의 4, 5, 6학년 학생 8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응답자 중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학생들 365명의 설문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의 폭력 허용도가 낮을수록 또래괴롭힘 피해학생의 동조행동과 방관행동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교사가 폭력에 대해 허용치 않는 태도를 보일 때 또래괴롭힘 피해학생들의 반응적 공격성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폭력허용도는 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을 매개하여 또래괴롭힘 가해 동조행동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실 내 폭력에 대해 허용하지 않는 담임교사의 태도가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 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방관 및 동조행동을 낮춤으로써, 교실 내 또래괴롭힘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진로정체감이 성취목표, 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경로분석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

        Assessing the responses of career ident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from 455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a model of the pattern of influences through which career identity acting in concert with achievement goal-orientati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urrently. Path analysis supported a model in career identity was accompanied by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directly and by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rectly. Mastery -approach goal impacted cognitive learning flow directly. Achievement goal-orientation essentially operated mediationally through the academic motivation rather than directly on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learning flow functioned as a contributor to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whereas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did no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을 때 이 진로정체감이 청소년들의 향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경로모형을 가정하였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권에 위치한 5개 고등학교 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숙달접근 목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과 학업성취에는 간접적인 효과를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보였으며 수행접근목표는 인지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나 감성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성취지향목표의 어떠한 유형도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숙달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몰입, 감성몰입,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 몰입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매개효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 학습동기와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진로정체감을 획득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휴대전화사용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검증

        임선아,정윤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사용하는 휴대전화의 사용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Youth Panel Survey)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6차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 LCA)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은 휴대전화 사용 빈도와 용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6가지 기능(친구통화, 친구문자, 게임오락, 사진촬영, 동영상감상, 음악감상)을 모두 자주 이용하는 ‘모두사용형’이었으며, 게임오락, 동영상 감상, 음악감상, 사진촬영과 같은 개인활동을 주로 하는 ‘개인활동형’이 그 다음 비율을 차지하였다.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게임과 오락을 주로 사용하는 ‘게임오락형’이었으며, 다음은 친구와의 통화나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통화문자형’으로 나타났다. ‘모두사용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하여 교우관계나 교사와의 관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활동형’은 학교적응이 다른 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문자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한 집단으로 특히 학습활동에 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게임오락형’은 학교적응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 특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수치의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특성들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lassical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mong profile group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three-year data that was collected when respondents were attending middle school, draw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and applied to latent class analysis to derive latent classes to categorize types of participants based on the adolescents’ responses. The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four distinc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were identified; users for using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users for gaming, and users for communicating. Users for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other three groups. Users for communicating also showed higher levels in school adjustment, specially in learning activitie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showed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the others. Lastly, users for gaming showed the lowest level in school adju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cell phone usage in each class were maintained, though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rate of classe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정서문제, 사회관계,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임선아,이순아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3

        Recently, the use of smartphone is increasing and expanding to the younger age group in the non-face-to face era caused by COVID-19.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xcessive use of smartphon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thusiasm.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thusiasm, mediated by study time, emotional problems (i.e., attention and withdrawal), and social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longitudinall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2,134 data from the 1st (2018 data) to the 3rd (2020 data) survey data of the 4 elementary schools among from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pendence on smartphon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nthusiasm. Second, smartphone 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tudy time, emotional problems, and soci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smartphone dependence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problems such as distraction and withdrawal,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study time,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found to affect academic enthusiasm by mediating study time, emotional problems (distraction and withdrawal),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areful observation and guidance from elementary education to prevent a decrease in academic enthusiasm due to the dysfunction of smartphone dependence.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스마트폰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저연령층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이 정서문제와 사회관계, 학습시간,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주의력과 위축의 정서문제, 교우관계와 교사애착의 사회적 관계 및 학습 시간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이하 KCYPS 2018) 자료 중, 초등 4학년 패널 1차(2018년 자료)부터 3차(2020년 자료) 조사에 응답한 2,134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 고학년의 스마트폰 의존은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은 학습시간, 정서문제, 사회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의존은 산만과 위축 등의 정서문제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학습시간과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의존이 학습시간, 정서문제(산만과 위축), 사회관계 중 교사와의 애착을 매개하여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의존의 역기능으로 학업열의가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초등교육에서부터 세심한 관찰과 지도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Evidence for Direct Inhibition of MHC-Restricted Antigen Processing by Dexamethasone

        임선아,Turmunkh Gerelchuluun,이종길 대한면역학회 2014 Immune Network Vol.14 No.6

        Dexamethasone (Dex) was shown to inhibit the differentiation,maturation, and antigen-presenting function ofdendritic cells (DC) when added during DC generation ormaturation stages. Here,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Dex on MHC-restricted antigen processing. Macrophageswere incubated with microencapsulated ovalbumin (OVA) in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ex for 2 h, andthe efficacy of OVA peptide presentation was evaluated usingOVA-specific CD8 and CD4 T cells. Dex inhibited bothclass I- and class II-restricted presentation of OVA to T cells;this inhibitory effect on antigen presentation was much morepotent in immature macrophages than in mature macrophages. The presentation of the exogenously added OVApeptide SIINFEKL was not blocked by Dex. In addition,short-term treatment of macrophages with Dex had no discernibleeffects on the phagocytic activity, total expressionlevels of MHC molecules or co-stimulatory molecules. Theseresults demonstrate that Dex inhibits intracellular processingevents of phagocytosed antigens in macrophages

      • KCI등재

        Activation of Macrophages by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MK1 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임선아,이종길,이영남,Wenxia Wang 대한면역학회 2010 Immune Network Vol.10 No.6

        Background: The MK1 strain, a novel bacterial isolate from soft-rotten tissue of the Neungee mushroom, produces copious amounts of exopolysaccharide (EPS) in a dextrose minimal medium. This study examine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MK1 EPS. Methods: The EPS in the culture supernatant was purified by cold ethanol precipitation, and characterized by SDS- PAGE/silver staining and Bio-HPLC.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 EPS were examined using the mouse monocytic cell line, RAW 264.7 cells. Results: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urified EPS were rather heterogeneous, ranging from 10.6 to 55 kDa. The EPS was composed of glucose, rhamn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amine at an approximate molar ratio of 1.00:0.8:0.71:0.29:0.21. EPS activated the RAW cells to produce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1β, and nitric oxide (NO). EPS also induced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such as B7-1, B7-2 and ICAM-1, and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The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of EPS was not due to endotoxin contamination because the treatment of EPS with polymyin B did not reduce the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Conclusion: The EPS produced from the MK1 strain exerts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