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esign Criteria of a Heat Exchanger for Microwave Sterilization System

        임석원,전재근,정구민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4 산업 식품공학 Vol.8 No.4

        Continuous-flow microwave sterilization system consisting of cylindrical microwave cavity (CMC) was developed for sterilization of liquid food. Two types of helical coil heat exchangers were fabricated with glass tubing for CMC heating system (CMC-HS), and their performances were tested for water at various flow rates under control of magnetron duty. Heating rates of water in CMC-HS heat exchanger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flow rate of water, and diameter of helical coil did not affect outlet temperature at flow rates above 2.04 ml/sec. Duty ratio control of magnetron caused fluctuation of outlet temperature, and fluctuation gap was affected by diameter of helical coil and flow rate of water.

      • KCI등재

        선박충돌사고와 형사과실책임

        임석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3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t sea are few in comparison with traffic accidents on the road. However, there is no saying that traffic accidents at sea are few when we compare cars which are driven quickly on a narrow road with ships which make slow voyages over wide seas. It is possible for us to prevent ship accidents at sea if we take adequate notice of the radar, the gong , and the wireless installation of the ship. Nevertheless, the causes of ship accidents at sea are, firstly, making a voyage without enough attention, and, secondly, unskillfulness in the control of the ship. Taking this opportunity of this problems, went deep into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examination about a criminal liability in a ship accident of theories and cases in Japa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o admit a criminal liability, is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f the possibility of concrete foresight. It is impossible to shirk one's criminal responsibility about an illegal act, if the possibility of concrete foresight exists, and if we do not take complementary measures for evasion of a result, and if ship accidents at sea give rise to a violation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f it is so, we must not only search for a standard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concrete foresight, but also judge by the standard under a special feature of the ship which makes a voyage. This paper shows how we will decide a standard of criminal liability in a ship accident. Firstly, the existence of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s most important in the standard. Secondly, navigation from the maritime traffic law is also important. Thirdly, the existence of justification of circumstantial judgment from "The Daily Routine Work Act of seamen" is an important standard.

      • KCI등재

        어선의 충돌사고 발생 시 항법의 착오의 법률상 효과 -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와 관련된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태도를 중심으로 -

        임석원 한국해법학회 2020 韓國海法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어선의 충돌사고 발생 시에 조업 중(어로작업 중)임을 표시하는 규정된 등화와 형상물의 게시의무에 관하여 착오를 일으켰을 때에 그러한 항법의 착오에 관한 법률상의 효과와 올바른 해석의 방향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어선은 상선에 비하여 수도 많고 다양한 충돌사고의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 이유는 어선은 특성상 항해를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 아니고 항해를 수단으로 하여 해상에서의 조업이 목적인 선박이기 때문에 수없이 항해과정과 조업과정을 반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해 도중에도 조업목표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어군탐지기가 고기를 발견하면 바로 조업 중인 상태로 바뀐다. 바로 이러한 조업 중인 상태를 외부의 선박에 표시하는 항법규정이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26조와 해사안전법 제84조에 의거한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이다. 이러한 어선은 위의 특성상 이러한 규정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의무위반여부와 관련하여 항법의 착오를 일으킬 확률도 높다. 그 이유는 이러한 규정된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로 인한 의사표시는 어선이 조업 중임을 표시하면서 어선으로 하여금 범선을 포함한 일반동력선에 비하여 항법상의 우선권을 인정해 주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시에 추후 충돌사고 발생 시에 관련 해기사의 징계 및 과실비율의 산정을 비롯하여 추후 전개될 가능성이 있는 민사 및 형사소송에서도 중요한 근거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의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은 이러한 규정된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의무위반에 관하여 착오가 발생한 경우에 너무 쉽게 ‘선원의 상무’ 규정을 근거로 하여 상대선박인 일반동력선의 주의의무 위반인 과실을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함께 일반동력선의 과실과 충돌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까지 추정해 버리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이는 반대로 해석하면 규정 등화와 형상물의 게시의무위반에 관하여 법률의 착오를 일으킨 어선에 대하여는 이러한 게시의무위반에 대해서는 거의 무과실 혹은 극히 적은 과실비율만을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심이 재결서에서 보여준 과실비율산정에서 이러한 경향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경향에 대하여 규정된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의무를 위반한 어선에 대해서는 이러한 위반여부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가 있었는가를 엄격하게 판단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논리를 가장 중요시하는 법리의 해석상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일단 규정된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의무를 위반한 어선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유무판단에 대한 명확하고 논리적인 법리해석을 행한 후에 그 결과가 불확실하다면 그 때 가서 상대선박에 대해서 선원의 상무규정을 적용해도 늦지 않다. 이러한 “정당한 이유”의 유무에 관한 구체적 판단 기준은 관습(관행) → 숙고의무 → 조회의무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선박충돌사고 발생 시에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일반항법의 위반여부를 분석하고 관련된 항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음으로는 항법위반에 대한 논리적인 법리해석이 행하여져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 단계에서 선원의 상무가 검토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legal effect and direction of correct interpretation of navigation’s mistake in relation to posting duty of lights and shapes, which means fishing vessel is whether working or not, on fishing vessels collision accident. Fishing vessels are faced with many different collision cases than commercial ships and are more numerous than commercial ship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ishing vessels are not mainly intended to be sailed, but are intended to catch a fish at sea by means of navigation. Therefore, fishing vessels have characters, which are to continue both sailing and fishing. Even though the fishing vessel is sailing, as soon as the fish finding machine of fishing vessel discover fishes the state of fishing vessel changes to catching a fish from sailing. The navigation regulations that express such intentions to external ships, which means that the fishing vessel is catching a fish, are posting of lights and shapes under Article 26 of COLREGs, 1972 and Article 84 of Korean Maritime safety Act. Such fishing vessels are more likely to cause navigation’s mistake in relation to the violation of the above rules. Because these declaration of intention due to posting designated lights and shapes is a sign that the fishing vessel is working to catch fish and has navigation priority compared to general ships including sailing boats. Also, these designated signal rules serve as important grounds not only in disciplinary of the related ship officer and counting negligence rate but also civil and criminal procedures which may later take ac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However,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has judgement tendency that is to decide too easily negligence of general ships which is opponent ships of fishing vessels on the basis of practice of seamanship in case of navigation’s mistake in relation to posting duty of lights and shapes. In addition,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easily decides causation between collision accident and negligence of general ship. This means that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dmit fishing vessel which produce mistake of law about violation of posting duty of lights and shapes has almost no negligence or a very low rate of negligence. This is able to be verified by the rate of negligence which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show in judgement papers. I think that we should strictly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justifiable reason” for such fishing vessels’s violations of posting duty of lights and shapes due to mistake. This is a natural resul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which places logic most importantly. Once a clear and logical judgement for justifiable reason of mistake has been performed, if there is any doubt as to the interpretations, then go on to apply the practice of seamanship to the opponent ship. This principal of application is not too late. The specific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such a “justifiable reason” can be judged on the basis of custom (practice) → obligation of consideration → obligation of inquiry. When analyzing the cause of an marine accident in the event of a ship colli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analyze the violation of navigation. Next step is logical interpretation of law on the violation of navigation. At the final stage, the practice of seamanship will be reviewed and applied.

      • KCI등재

        무역항 항로 내에서의 선박충돌사고 발생 시의 적용항법에 관한 연구 -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임석원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6

        This study is on application navigation to ship collision at a trade port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judgment. The seaway of a trade port is a narrow concept if compared to a waterway, but includes a passageway, therefore all ships including preferred Give-Way vessels can pass the seaway of a trade port. If there are Korean ship collision accidents including fishing boats in the seaway of a trade port,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must be applied preferentially, in terms of navigation, obviously, COLREGs and the maritime safety act can be applied the next. Under this principle, I am reviewing and applying the results of interpretations that came from the study of three written judgment analyses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The exact interpretation’s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 trade port and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paragraph 2 of article 10 and paragraph 1 of article 12 preferred give-way vessels including small fishing boats can use the seaway of a trade port. Second, towboat vessels are preferred give–way vessels according to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due to their good control ability. Therefore, the towboat vessels must perform an obligation of both preferred give-way and ban on-course interference. However, if these towboat vessels meet special requirements, these vessels can be vessels restricted in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COLREGs and the maritime safety act. In other words, in case of special requirements towboat vessels have both positions which conflict with each other, which are two positions one is vessels restricted in control ability with recognition of navigation priority according to COLREGs and the maritime safety act, and the other is preferred give–way vessels according to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It needs unification of legislation. It might happen to collide with ships one is the preferred give-way vessel on sail and the other is a fishing boat severely restricted in control ability each other, which creates two–a step conflict of obligation. These are that both light ships must avoid heavy ships between preferred give-way vessels and if the light ship is the ship severely restricted in control ability, the heavy ship must avoid the light ship. I think it is the best solution for light ship (fishing boat) which is a ship severely restricted in control ability in the seaway of a trade port to be given priority in navigation in case of this conflicts of obligation according to present maritime law. Lastly, in terms of the navigation position of two ships that are preferred give-way vessels in sailing on the seaway of trade port and general ships which make an improper entry into the other seaway, first,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violation of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and in the absence of the application articles, we can applicate COLREGs, maritime safety act and the practice of seamen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violation of navigation. Also, once entering into the seaway of a trade port is permitted it is should be prohibited to presume negligence without ground in spite of no violation of navigation of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etc. of ships. 무역항의 항로는 수로보다는 좁은 개념이지만 통항로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므로, 선박입출항법의 해석상 우선피항선을 포함한 모든 선박이 무역항의 항로를 드나들 수 있다. 이러한 무역항의 항로에서 어선을 포함한 대한민국 국적의 선박 상호 간의 충돌사고 발생 시에는 항법 적용 시에 선박입출항법이 최우선으로 적용되고, 해사안전법과 국제규칙이 그 다음 순서로 적용된다. 이러한 원칙하에 무역항의 항로에서 선박충돌사고 발생 시에 적용되는 항법에 대하여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 3개를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각각의 재결에 관련된 해석의 결과를 적용하고 검토해 보았다. 올바른 해석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소형어선을 포함한 우선피항선도 무역항의 항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무역항의 개념과 선박입출항법 제10조 제2항과 제12조 제1항의 해석의 결과이다. 다음으로 예인선열은 조종성능이 우월한 선박으로 간주되어 선박입출항법상 우선피항선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의 항로에서 우선피항의무와 진로방해금지의무가 부과된다. 다만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해사안전법과 국제규칙상 조종제한선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일정한 요건 충족 시 해사안전법에서 조종제한선에 해당할 수 있는 예인선열이 선박입출항법에서는 조종성능이 우수한 선박으로 간주되어 우선피항선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논리적 모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입법의 통일성이 요구된다. 무역항의 항로 내에서 쌍방 우선피항선인 항행선과 조종불능선인 어선의 충돌은 2단계의 의무의 충돌상황이 발생한다. 우선피항선 상호 간의 가벼운 선박이 무거운 선박을 피하여야 하는 의무와 조종불능선이자 정류선이 가벼운 선박인 경우에는 무거운 선박이 가벼운 선박을 피하여야 하는 충돌상황이 그것이다. 이러한 의무의 충돌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존하는 법규의 해석에 따라서 조종불능선이자 무역항의 항로 내에 정박하고 있는 가벼운 선박(어선)인 정류선에게 항법상 최우선권을 인정하는 것이 옳다. 마지막으로 무역항의 항로를 따라서 항행 중인 우선피항선과 부적절하게 항로로 진입한 일반동력선의 항법상 지위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선박입출항법상의 항법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후에 해당규정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해사안전법 및 국제규칙 마지막으로 선원의 상무에 의거하여 항법위반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무역항의 항로 내에 진입이 허용된 이상은 선박입출항법상의 항법위반에 대한 과실책임이 없음에도 근거 없이 과실을 추정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2000년 이후 독일의 새로운 자기정체성 담론의 전개와 과제 – 독일어권 출판서적들의 ‘무엇이 독일적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임석원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3

        Zu Beginn des 21. Jahrhunderts werden in Deutschland ständig Bücher veröffentlicht, die Fragen zum Thema „Was ist Deutsch?“ stellen und versuchen, diese Frage der Identität zu beantworten. Dieser aktuelle Stand des deutschen Buchmarktes, der heute den neuen deutschen Identitätsdiskurs abbildet, unterscheidet sich von der Situation des späten 20. Jahrhunderts. Dieser Artikel untersucht und analysiert die Hauptinhalte und Tendenzen des neuen deutschen Identitätsdiskurses und konzentriert sich dabei auf die in den letzten zwei Jahrzehnten veröffentlichten deutschsprachigen Bücher. Wie beantworten Deutsche heute Fragen zur eigenen Identität? Relevante Veröffentlichungen werden in drei Typen unterteilt: Erstens behaupten die Autoren, die das aktuelle Erscheinungsbild der Deutschen beleuchten wollen, dass dieses sich von bestehenden Stereotypen unterscheidet. Dies deutet darauf hin, dass die Deutschen von dem historischen Gewicht abweichen, das die Frage der Selbstidentität zuvor auferlegt hatte. Zweitens versuchen die Autoren, die die ursprünglichen Traditionen der deutschen Identität wiederentdecken und in Erinnerung rufen wollen, einen positiven Bezug zum Deutschen herzustellen, ohne wie in der NS-Vergangenheit in einen rechtsextremen Nationalismus zu verfallen. Dazu betonen sie eine kulturelle Identität des Deutschen. Drittens bestätigen die Autoren, die die Entstehung neuer Deutscher vorhersagen, dass Fragen der eigenen Identität in Deutschland in letzter Zeit ganz oben auf der politischen Agenda stehen, anders als im späten 20. Jahrhundert, als es schwierig war, die deutsche Identität als politisches Thema zu behandeln. 21세기가 시작하면서 ‘무엇이 독일적인가’에 대한 질문을 적극적으로 제기하면서 이 자기정체성 질문에 진지하게 답하고자 하는 책들이 독일 내에서 꾸준히 출판된다. 이처럼 오늘날 독일의 새로운 자기정체성 담론을 형성하는 독일 내 출판시장의 현재 모습은 20세기 후반의 경우와는 확연히 구별된다. 이에 본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에 출판된 독일어권의 관련 서적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독일적 자기정체성 담론의 주요내용과 경향들을 살펴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20세기 후반까지 ‘무엇이 독일적인가?’라는 질문에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던 독일인들이 오늘날 자기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어떻게 대답할까? 관련 출판물들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구분지어질 것이다. 첫째, 기존 고정관념과 다른 독일인의 현재 모습을 조명하고자 하는 저자들의 시도는 독일인들이 자기정체성 질문이 부과하는 역사적 중압감으로부터 벗어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둘째, 독일적 정체성의 근원적 전통을 재발견하고 상기시키고자 하는 일군의 저자들은 나치 과거처럼 극우적 민족주의에 빠져들지 않으면서 독일적인 것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무엇보다도 독일적인 것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한다. 셋째, ‘새로운’ 독일인의 등장을 예고하는 또 다른 일군의 저자들은 독일적 정체성 문제를 정치적 이슈로 다루기 힘들었던 지난 20세기 후반과는 달리, 최근 몇 년 사이에 자기정체성 문제가 독일 내 ‘정치적’ 아젠다에 포함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

      • KCI등재

        한국 경마장의 변천과 사회적 관계

        임석원,안진규,조문기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시대별 사건 배열순 시기 구분에서 일보하여, 경마장 각각의 외부적 요인에 따른 시기 구분에 있다. 연구대상은 근대기 이후 한반도에 존재했던 주요 경마장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를 전개하여 도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반도 근대 경마장 시설에 기인하여 크게 가·시설 경마장 시기, 과도적 경마장 시기, 상·시설 경마장 시기로 구분하였고, 이를 다시 한일합방 전후와 한국전쟁 전후로 구분하여, 한반도에서 한민족과 일제가 주도한 경마장 상황을 각각 분리해 내었다. 둘째, 한반도에서 경마는 대단히 많은 관람객을 불러온 경기였기에 그 장소에 선정에 있어 당시 경마를 주도하는 세력은 매우 심혈을 기울였으며, ①넓은 장소, ②편리한 교통편, ③수해(水害) 안전의 순으로 그 장소를 선정하여 이동시키었다. 셋째, 한반도에서 경마가 진행되었던 주요 장소의 순서는 대한제국군 훈련원, 용산 일본군주둔지, 여의도 아라이목장, 이촌동 인도교 부근 한강백사장, 군산경마장, 신설동경마장, 뚝섬경마장, 과천경마장 등의 순서로 변경 및 이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