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임부연(Lim Boo Yeun),전경미(Jeon, Kyeong-mi),김성숙(Kim, Sung-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 아봄으로써 예술교육의 본래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현직유아교사 11명을 반구조적 면담을 실시 하고, 이를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예술 및 예술적 경 험을 자주 접하지만 낯선 느낌을 가졌으며, 또한 예술 및 예술적 경험은 삶에 활기를 불어넣는 에너지 이며 유아의 마음과 가장 밀착된 감성체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하여 유아교사들은 예 술과 예술교육에 대하여 달리 인식하고 있었고, 창의적 표현기법과 사회적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매개 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예술교육의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생각을 통해 유아예술교육 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애를 드러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예술과 예술교육의 가치 가 폭넓게 해석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arts and arts education. Their related experiences were examined in an attempt to reach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genuine meaning and value of arts education in these early childhood settings. 11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at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term “the arts” to be elusive and unfamiliar, though they were in contact with the arts in their daily routine life. The teachers mostly considered “the arts” a medium to teach creative expression and increase socialization. Finally the teachers’ interview about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and its overcome expressed an educational love for arts educ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 탐구

        임부연(Lim Boo-Yeun),김성숙(Kim Seong-Sou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유아교실은 교사와 유아가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만들어진 풍부한 언어세계 그 자체이다. 교사는 상상과 은유를 통해 유아와 가까이 호흡하면서 즐겁고 활기찬 교실을 만들어 간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사의 발화를 중심으로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한 언어의 특성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반 3학급의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풍부한 상상과 은유가 있는 교사의 발화는 성인과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와 호흡하는 유아의 정신세계를 잘 이해하고 존중해 주는 동시에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 교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The worlds of languag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re always fresh and exciting, reflecting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from young children.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re responsible for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of using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m in rich way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and meaning of imagination and metaphor used in oral speech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eachers' talk.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different sites. It takes about 10 weeks to collect data involving direc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This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riously utilized the function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their speech in order to keep the classroom order, making it softer and more joyful. The teachers were also like to use language involved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in closer manner. Despite teachers' efforts to using imaginative power in their talk, they still had doubts and tensions to use the imaginative function of language, particularly the metaphor, because of their strong belief that knowledge of fact and logic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imaginative thinking during early childhood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essential meaning and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early childhood, so the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more attentive and active to use them.

      • KCI등재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임부연(Lim Boo-Yeun),김성숙(Kim Sung-Sou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유아교실은 교사의 잘 짜인 일과표에 따라 기계처럼 움직이는 정적인 교실공간이 아닌 아이들이 웃고 울고 속삭이고 떠들고 살아가는 생명의 ‘터’로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 간다. 본 연구는 최근 교실문화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교육학적 노력에 부응하여 유아교실의 다양한 문화적 양태들을 있는 그대로의 문화현상으로 밀착 관찰하였으며, 각기 상이한 교육철학을 가진 3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반을 각각 선정하여 총 30회기동안 비 참여 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학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세 개의 유아교실은 매우 독특한 문화현상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규칙과 질서, 관계와 소통, 그리고 앎과 배움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들의 자기 조직적인 창조적 질서에 의해 끊임없이 반복하고 변화하는 의미 있는 교실문화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ttempted an enthnographic study on 'classroom culture' in thre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hich have different pedagogy and philosophy such as national curriculum, Waldorf approach and Cooperative Child Care approach. Three 4-year-old classroom was selected from each institution for unanticipated observation for three months at each classroom. Data included videos, fieldnotes,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ch classroom has formed unique culture which is implici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tuned out that the different classroom culture was gained from each different teacher's belief and values. This study has focused particularly on the order and rule in space of classroom, and the speech and communication style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and the learning and teach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role and belief on play and teaching played very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classroom culture. Conclusively it needs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classroom culture which moves and makes progress everyday in rhythm of 'Chaos'.

      • KCI등재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un),송진영(Song, J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아 교실 공간에서의 유아들의 활동에 대한 비참여 관찰과 유아 면담 그리고 교사 면담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교실공간은 유아들로 하여금 교실 공간에 적합한 몸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둘째,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있어 기억의 저장소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셋째, 교실공간은 유아가 스스로 교실의 주체임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무엇이든지 될 수 있는 무한한 변형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유아교실 공간이 단순한 물리적 영역을 넘어서 다층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서 의미를 생성해내는 구체적인 삶의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실 공간 내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주체의 하나로 유아를 재인식함으로써 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전환이 요청되며, 다양한 미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교실 공간의 심미적 특성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s a phenomenological study, it aimed to understand the empirical meanings of classroom space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earcher observed children’s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space,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space performed roles in making children’s bodies appropriate for them. Secon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saving children’s memories. Thir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making children recognize themselves as the owner of the space. Fourth, the classroom space provided infinite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infants into anything.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pace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physical areas, classrooms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is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s of life to create meanings. Moreover, this study demanded teachers to change their awareness towards infant classrooms and propo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of aesthetic properties of infant classrooms including a variety of aesthetic elements, by re-understanding infants as subjects who live their lives in the classroom space.

      • KCI등재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임부연(Lim Boo-Yeun),오정희(Oh J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생명의식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이자 독특한 내적 의식을 보여주는 본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생명의식의 성장과 발현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한 교사와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생명의식의 특성을 현상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수집된 자료를 해석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B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담임교사면담, 연구자일지, 그리고 담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생명의식은 유아들의 독특한 생명인식 능력과 감수성을 이해하려는 교사의 깊은 고민과 노력 속에서 발현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보여 지는 생명과의 즐거운 교감이 유아들의 성장하는 생명의식을 나타내주는 한편 동료 교사들의 관심과 배려 속에서 그 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life'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hildren and teacher's efforts and practice of their ways of understanding of 'life' in real world. A concept of life has been understood as in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because of its ambiguity. The teacher who believes its existence throughout children's mind, however, showed strong evidence that children are able to find, feel, and practice the concept of life in their minds. This study attem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 concept of life by the 20, 4-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the teacher's journ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are very confident about feeling and practic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daily activities, which often surprised the teachers even surprise and awe to their sense of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young children's and the teacher's sense of life grow out in a learning community which is only constructed with support and acknowledgements from each other and their peers.

      • KCI등재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임부연 ( Boo Yeun Lim ),정문옥 ( Moon Ok Jung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내용도 균형 있게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 여전히 높은 어려움과 요구도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참고자료의 한계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학부모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예술경험 영역을 운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예술경험을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체험 중심의 교사연수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as well. To collect the data, 217 teachers were surveyed and 10 from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ed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s daily routine activities generally and practiced the detailed contents of ‘Art Experience field’ variously. Nevertheles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and needs in implementing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activities due to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limitative references and parents’ misunderstanding art experience. In order to implement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e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ocial networking and experience oriented teacher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s the practical plans that can accomplish the intrinsic meaning of ‘Art Experience field’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부연(Lim Boo-Yeun),손은경(Son Eun-Kyun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예술과 과학은 화해하기 어려운 상반된 세계가 아닌 서로 간섭하고 빌려오는 상호보완적 세계임을 강조하는 이론들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예술과 과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의 4가지 과학적 주제에 따른 실험활동을 음악과 미술, 문학과 동작 등의 예술과 통합하여 총 8주 16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를 만 5세 25명의 실험집단과 25명의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디오촬영 및 관찰일지, 담임교사 면담 및 유아들의 작품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독특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표현이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실에서 보다 즐겁고 유의미한 과학활동의 운영을 위하여 다양한 예술장르가 매개된 통합활동의 가능성과 긍정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arts must be effective for scientific thinking, this study attempted to effectiveness of science activities with arts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Extracted from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 overarching scientific topics were selected and then a program in 16 times of activities for 8weeks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which of each is 25 i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5 in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re-creative tes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ost-creative test. In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also showed that children demonstrated interesting and a variety of scientific thinking which are expanded, imaginative, and aesthetic, involving the unique scientific thinking that are excercise in daily lif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ness of arts-science integrated progra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유아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유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임부연(Lim Boo Yeun),오정희(Oh J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유아의 놀이에서 보여 지는 언어는 성인에 비해 모자라거나 미완성이 아닌 그 자체로 독창성을 가지고 향유되는 유희의 세계로써 유아의 의식을 이해하는 본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과 유희성을 현상학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수집된 자료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유치원 만 5세반에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화 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놀이 속에서 언어를 변형하거나 재구성함으로써 서로 공유하고 소통하는 독창성과 또한 자신이 알고 있는 앎의 세계를 언어를 통해 충분히 활용하고 게임처럼 즐기는 지적 유희성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Young children's world of language is filled with fresh and joyful sign. Pla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ext to reveal children's joyful language. Children deconstruct and reconstruct meanings of language by using their imaginative and metaphoric consciousness.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skills to observe 30 children's distinctive ability of using joyful language during free play time in 5 year-old clas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P city area. The data collected through 30 times observations, observation notes, in-depth interviews with classroom teachers, and researchers's field notes. The result shows that young children are very confident to use and produce language in their play time as they are very intelligent to enjoy and create rules of play. The children knew what the rule of sign in social system is, but were also able to deconstruct and reconstruct those signs by using imagination and metaphor which are the most powerful symbol of consciousness in early childhood period. They were also intelligent to create their own language, which also provided adults to enjoy, infer and awe their own joyful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more careful to listen and respect children's own language which is not a sign of 'deficiency' but confidence of joyful and intelligent consciousness.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과정의 미학: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비평과 지평 넓히기

        임부연(Lim, Boo Yeu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6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논의하는 다양한 시선에서 ‘탈구조주의’관점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을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구조주의 이론의 핵심인 ‘언어의 구조’를 교육과정 분석과 연결시켜 보았 다. 구조주의는 인간의 세계를 구성하는 근원에는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인간의 사고체계를 구성하는 기본구조로 ‘언어’를 지목하여 언어가 어떻게 세계를 구성하고 지배하는지를 분석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탈구조주의는 현대사회가 가지는 다양한 문제에서 언어가 지배하는 획일적 사고에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언어의 해체, 혹은 언어의 재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탈구조주의 시각을 교육과정에 접목시켜 볼 때 교육과정을 지배하는 언어구조는 더 다양화 되어야 하고, 특히 유아교육에서는 교실과 교육과정의 언어가 더 다채롭고 유연하게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를 가지는데,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대안적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교실의 언어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유아와 교사들의 사고와 대화, 그리고 관계의 유연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his study attempted to view ‘curriculum’ in school from a perspective of ‘post-structuralism’ which particularly focuses on the problem of language structure embedded on the curriculum. Post-structural perspective tries to reveal how the language roles and limits man’s thinking as the one must use language to think and say. As applying this post-structural perspective to school curriculum, it must discuss how linguistic structure in curriculum takes a role in define curriculum. Namely, teachers must take the road of language embedded on curriculum to communicate with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came into the conclusion that curriculum for students, particularity young children, must de-construct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re-structure it into more diverse and delimited, as suggesting ‘narrative’ as a way of alternatives. Narrative curriculum as one of ways that post-structural scholars point ou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ructural authority in curriculum, so it surely make the classroom language more diverse and softened thus the thinking of students and teachers as do.

      • KCI등재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손은경 ( Eun Kyung Son ),김성숙 ( Sung Sou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과학이란 예술이 내포하는 감각과 감성, 상상과 창의성, 심미성이 분리되지 않은 채 개념과 물리적 변화, 우주의 질서가 함께 통섭하고 융합되어 체험되는 매우 폭넓은 의미의 지식활동임에 근거하여, 다양한 예술적 특성이 가미된 유아과학 활동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에 기초한 각 4개의 과학 활동 주제를 선정하여 유아과학 활동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8명에게 시범 적용하여, 비디오촬영 및 관찰노트, 담임교사 면담 및 유아들의 작품 등을 자료로 수집하고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개발된 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들은 예술적 접근을 통한 과학 활동을 재미있고 즐겁게 경험하면서 과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향상시켰고, 이전의 지루하고 단조로웠던 과학 활동시간이 기다려지고 기대되는 시간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어, 예술적 접근을 통한 과학 활동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Science is the wide-ranging activity of knowledge in which one experiences physical changes and the order of the universe; which is not separated from elements of art - including senses, emotional sensibility, imagination, creativ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 but is integrated and fused with them. In this vein,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se artistic elements, and children`s responses to it will be studied. In order to the data included video, field notes, and interview with the classroom teacher.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children showed joy and playfulness in science activities more then they ever did, because the arts activities provided them with imagination, feeling, and aesthetic sense which more likely provoke children`s inner interests.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science activities through artistic approach are originally experienced together in human mind so they will be more likely be together when the teacher develop scienc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