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구연발표 : 건강의학센터를 내원한 여성의 HPV 양성률

        임문섭,이종찬,권혁철,우희숙,마상철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 Human Papilloma Virus)는 약 8,000여개의 염기쌍을 지닌 2중 나선형 바이러스로써 약 100여종 이상의 유전형이 발견되었으며, 자궁경부, 자궁목, 회음부, 상기도, 결막 및 식도 등에 감염되어 양성 또는 악성종양으로 진화된다.( de Villiers et al,1994)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성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종류에 따라 크게 고위험군(HIGH TYPE) 과 저위험군(LOW TYPE)으로 나누어 진다. (Nubia et al 2003) 자궁 경부암을 일으키지 않는 저위험군 HPV (예 : 6, 11, 34, 40, 42, 43, 44, 70형)의 종류들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 소실되거나 외음부와 항문 주위에 사마귀를 만들지만, 고위험군(예 : 16, 18, 31, 33, 35, 39, 45, 51, 52,53, 54, 58, 59, 66, 68형)은 자궁경부세포 내에서 지속적인 감염상태를 유지하여 자궁 경부암을 유발시킨다.(김복만 2003) 본 연구에서는 2008년 1월 ~8월까지 본원 건강의학센터에 내원한 여성 중에서 HPV 검사를 의뢰한 7101건을 HPV DNA Chip 검사방법으로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HPV 양성 현황을 보고자 한다. 방법: 1.유전자 추출: 자궁경부 세포진으로부터 HPV유전자의 추출. 추출용액과 함께 20분간 반응 후 상층액을 사용 2.유전자 증폭(PCR): 자궁경부 세포진으로부터 얻어진 HPV 유전자 형광물질(Cy5)이 표지된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증폭(PCR) 3.전기영동: Beta globin과 1st PCR, 2nd PCR 전기영동 4.교잡결합(hybridization) 형광물질로 표지된 HPV 유전자 증폭산물과 교잡결합용액의 혼합 (5X SSC, 1mg/ml sperm DNA, 0.1% SDS) 혼합용액을 MyHPV chip의 교잡결합용 well에 넣고 43도에서 1-3시간동안 반응 5.세척: 교잡 결합용 hybridization seal을 벗기고 Washing Buffer로 5회 칩 세척 6.건조 7.결과 분석: 스캐너를 이용하여 형광발광여부를 측정 결과: 2008년 1월~8월까지 시행한 HPV검사 7101건 중에서 1,394명(약19.6%)이 양성 TYPE으로 보고되었으며 1394명에서 중복 감염을 type 별로 포함시킨 1.503건 중에서 고위험군이 824건, 저위험군이 223건, Atypical Type이 456건으로 나타났다. 고찰: 정부에서도 암 퇴치를 위한 여러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고 국민들도 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건강 건진을 한 정상 여성 군을 대상으로 HPV 양성률이 13.2%는 조기 자궁암 진단과 치료에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제는 HPV검사가 일반화 되면서 검사 건수 더욱 증가하고 있어 분자병리 검사실에서는 정확하고 신뢰성 data 뿐만 아니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는 방법과 System 구축을 위해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된다.

      • 열분해 생성 타르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분해 특성

        임문섭,송희관,전영남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열분해와 가스화 기술은 유기성 폐자원 또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 생산된 생성가스는 연소기, 가스터빈, 엔진 등의 화석 대체연료, 연료전지 연료, 메탄올과 탄화수소의 생산, 수소 및 합성천연가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열분해 및 가스화 시 발생되는 가스에는 중질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타르를 포함하고 있다. 타르는 생성가스를 이용하는 후속공정에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가스 터빈 및 내연기관에 사용하기 전에 압축 과정을 필요한데 이 과정 중 생성가스에 포함된 타르 성분은 응축되어 관로의 막힘이나 엔진 및 터빈 내부의 손상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타르의 제거는 열분해/가스화 공정에서 필요한 가스 처리기술이다. 타르의 촉매 크래킹과 개질에 의한 생성가스 전환과 같은 고온 청정가스 기술은 가스화 공정에서 타르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귀금속 촉매는 촉매 활성이 상당히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고 탄화물 참착(coke deposition)에 의한 탈활성화(deactivation)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대체 방안으로 활성탄, 석탄 촤, 바이오매스 촤 등의 탄화물이 타르 크래킹이나 개질 촉매 또는 그 지지체 적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활성탄을 마이크로웨이브 탄소 수용체로 하여 벤젠 전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크래킹 분해와 이산화탄소-수증기 혼합 또는 각각에 대한 개질 전환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탄소 수용체의 촉매 담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활성탄에 니켈과 철을 함침 코팅한 후 건조하여 만들어진 탄소 수용체 촉매에 대한 타르전환과 생성가스 특성을 파악하였다. 벤젠 전환은 크래킹만 하였을 경우 99%로 가장 크고 이산화탄소만 공급된 경우 98.5% 그 다음이고 이어서 이산화탄소-수증기가 동시에 공급된 경우 95-97% 그리고 수증기만 공급된 경우 94%의 순으로 작은 값을 가졌다. 촉매 탄소 수용체의 벤젠 전환은 이산화탄소 개질의 경우 니켈과 철 촉매 모드 미세하게 증가되었으며 H2/CO비는 감소되었으나 발열량은 증가되었다. 반면 수증기 개질의 경우 두 촉매 모두 벤젠 전환율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H2/CO비와 발열량이 증가되었다.

      • 하수슬러지 폐기물 마이크로웨이브 이산화탄소 가스화

        임문섭,송희관,전영남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중 대부분은 화석연료에 의해 충족되고 있다. 하지만 화석연료의 한계성과 온실가스 발생 등의 환경문제로 인해 새로운 대체 에너지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크다. 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이 가능한 친환경적 재생에너지 이다. 특히,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처리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하수 슬러지 폐기물은 청정에너지와 자원으로 전환이 가능한 바이오매스이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폐기물의 전환기술 중 현재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하수 슬러지를 열분해 또는 가스화 해서 바이오 가스, 바이오 오일, 슬러지 촤(sludge char)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에 의한 바이오매스 열적처리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은 기존의 외부 열풍가열 방식과 달리 마이크로파가 직접 바이오 셀 내부로 침투해 물질분자와 원자 등을 진동시켜 직접 열을 발생시키는 유전체 가열이 진행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가열방식에 비해 가열효율(heating efficiency)과 가열 율(heating rate)이 높고 이로 인해 가열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폐기물을 바이오매스-CCS 기술(biomass-CCS technology)적용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마이크로웨이브 열적처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유전체가열 특성을 활용하여 탈수 슬러지를 건조-가스화 연속 일체형으로 진행하는 에너지 전환 특성을 파악하였다. 가스화 실험의 경우는 연소 전 포집 기술의 이산화탄소 분리공정에서 포집된 것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이산화탄소 가스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 가스화 시 생성물은 가스, 촤, 타르인데 그 중 가스가 가장 많이 생성되고 잔류 탄화물인 슬러지 촤(sludge char) 그리고 중질 탄화수소인 타르의 순으로 생성되었다. 가연성 생성가스(producer gas)는 주로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생성되었고 일부 메탄과 탄화수소(THCs: C2H4,C2H6,C3H8)포함되었다.

      • KCI등재후보
      • 슬러지 탄화물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개질 특성

        임문섭,정벼리,김병문,김현주,전영남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바이오매스 열분해・가스화 가스, 바이오 가스의 주성분인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는 온실가스로 이러한 가스를 양질의 연료로 전환하고 아울러 온실가스문제도 해결하고자하는 개질기술(reforming technology)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질과정에서는 고온반응 조건이 되거나 적당한 촉매의 도움이 필요하며, 최근 다양한 종류의 탄소물질(carbon material)을 이용한 CH4-CO2개질에 대한 연구가 수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된 탈수 슬러지를 열분해 처리하여 생성된 슬러지 촤를 마이크로웨이브 탄소 수용체(MCR; Microwave Carbon Receptor)로 하여 개질특성을 파악하였고, 개질 대상가스 가스성상, 수용체 탄화물 종류, 개질온도와 체류시간변화에 따른 개질가스 전환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탄소 수용체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개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각각 공급한 경우와 두 가스를 혼합하여 개질을 진행하였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탄소침착에 의해 전환율의 감소가 생기는 단독가스 개질실험과 달리 이산화탄소-메탄개질의 경우 메탄의 열적 분해 개질에 의해 클리닝이 되어 지속적으로 일정한 개질 전환이 유지 되었다. 활성탄을 비교 수용체로 하여 개질을 진행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촉매활성으로 수소와 일산화탄소 생성량이 슬러지 촤 탄소 수용체보다 작아 생성가스 발열량이 낮았다. 개질온도와 체류시간의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배드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탄소 수용체에서 발생되는 국부 마이크로플라즈마(Microplasma) 증가로 인해 전환율과 생성가스 농도도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