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피나무 잎 활용 상품 개발을 위한 추출 조건별 특성 분석

        임도연(Im, Do Youn),두영택(Doo, Young-Taek)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점차 증가되고 있는 커피나무 잎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에탄올 농도별 커피나무 잎 추출물과 가열 시간별 커피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기본적인 항산화 활성과 활성 성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에탄올 농도별 커피나무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20%에탄올 추출물이 DPPH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추출 시간별 커피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는 100℃도달 이후 추출시간이 증가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모두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열수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커피나무 잎 추출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가열 추출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농도별 커피나무 잎 추출물의 활성 성분 분석 결과, caffeine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lorogenic acid는 20~40%에탄올 농도에서 높은 수준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neo-chlorogenic acid는 10~20%에탄올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냈다. 가열 시간별 커피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활성 성분 분석 결과에서 caffeine의 함량은 가열 시간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hlorogenic acid와 neo-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가열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함량도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커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 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neo-chlorogenic acid의 함량 결과와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으며, 추출 용매에 따른 기본적인 특성을 추가로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coffee tree leaf extract by ethanol concentration and hot water extract of coffee tree by heating time were prepared and analyzed for basic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e compounds as a basic data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offee tree leaves, which have begun to be cultivated in Korea and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ffee tree leaf extract by ethanol concentration, 20%ethanol extract showed the b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bo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hot water extract of coffee tree leaves by extraction time, it was confirmed that both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after reaching 100°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ctive compounds of the coffee tree leaf extract by ethanol concentration, caffeine was found to have a higher content as the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d. Chlorogenic acid showed a high content at 20-40% ethanol concentration, and neo-chlorogenic acid showed a relatively high content at 10-20% ethanol concentr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ctive compounds analysis of the hot water extract of coffee tree leaves by heating time, itwas confirmed that caffeine content slightly decreasedwith heating time, and the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and neo-chlorogenic acid increasedwith increasing heating time.

      • KCI등재후보

        차 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적 요소의 활용

        임도연(Im, Do-Youn),김지흔(Kim, Ji H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차 산업은 생산, 가공, 관광 및 문화가 융합된 6차 산업으로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며, 차는 웰빙(well being)문화에 적합한 산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차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커피가 대중음료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에 비해 걸음마 단계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며, 최근에는 그 성장세가 다소 낮아진 상황이다. 하지만 미래에 차 전문시장의 확대 가능성의 지표가 계속 발표되고 차 문화의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에서 마셔온 차와 그 독특한 소재를 발굴하여 이의 기능성을 밝히고 상품화할 수 있다면 확장 가능성은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차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산업체, 지자체 등의 차 관련 전문 인력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현장애로 해결 및 다양한 컨설팅, 교육 및 워크샵, 수요창출을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 및 연구, 마케팅 전략 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 문화적인 요소의 활용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차 문화의 개념에 관광이나 광고 매체 등 현대적인 요소와 환경을 반영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는 차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켜나감으로써 국내 차 산업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The tea industry is a suitable industry for well being culture and 6"th industry through the blending of production, manufacturing, tourismand culture. So that is promising area in industry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tea industry of Korea has piled up in last few years. To industrial growing, in need a various consulting, education,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strategy with a organic cooperation in tea industry related institutes. Moreover, it need to harness our cultural factors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Such cultural factors are tourism, exhibition,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systemand so on. 차 산업은 생산, 가공, 관광 및 문화가 융합된 6차 산업으로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며, 차는 웰빙(well being)문화에 적합한 산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차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커피가 대중음료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에 비해 걸음마 단계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며, 최근에는 그 성장세가 다소 낮아진 상황이다. 하지만 미래에 차 전문시장의 확대 가능성의 지표가 계속 발표되고 차 문화의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에서 마셔온 차와 그 독특한 소재를 발굴하여 이의 기능성을 밝히고 상품화할 수 있다면 확장 가능성은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차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산업체, 지자체 등의 차 관련 전문 인력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현장애로 해결 및 다양한 컨설팅, 교육 및 워크샵, 수요창출을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 및 연구, 마케팅 전략 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 문화적인 요소의 활용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차 문화의 개념에 관광이나 광고 매체 등 현대적인 요소와 환경을 반영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는 차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켜나감으로써 국내 차 산업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The tea industry is a suitable industry for well being culture and 6"th industry through the blending of production, manufacturing, tourismand culture. So that is promising area in industry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tea industry of Korea has piled up in last few years. To industrial growing, in need a various consulting, education,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strategy with a organic cooperation in tea industry related institutes. Moreover, it need to harness our cultural factors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Such cultural factors are tourism, exhibition,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systemand so 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구논문 : 흰 민들레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연구

        임도연 ( Do Youn Im ),김선형 ( Sun Hyung Kim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2

        In this study, we estimated a possibility that the white dandelion extract may be a functional material for cosmetic. Commonl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white dandelion was higher when extracted with ethanol than when extracted with hot wat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hot water extract was 0.94 mg/mL and 2.26 mg/mL, respectively, on the SC50 basis. SOD-like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e hot water extract. The SOD-like activity of 6.25 mg/mL of the ethanol extract was about 43%. 10 mg/mL of the ethanol extract inhibited about 54% of NO generation. In antibacterial activity by the disc diffusion assay against P. acnes and S. epidermidis, 20 mg/disc of the ethanol extract formed 16.40 mm and 14.53 mm of clear zone. Howe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hot water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thanol extract. 2.5 mg/mL of the hot water extract inhibited 63.1% of tyrosinase activity. In the cytotoxicity measurement by MTT assay, each extract of white dandelion was exhibited viabilities of 110.5~147.8% as nontoxic result in every tested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white dandelion extract that has antibacterial, antioxidation, and skin whitening activity was proved to be a valuable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

      • KCI등재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항산화효능에 관한 비교연구

        임도연 ( Do Youn Im ),김선형 ( Sun Hyung Kim ),허정록 ( Jeong Rok Hor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to compare the cosmetic materials with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from white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and western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hot water extract of white dandelion was found to be 76.31±1.83 mg/g as the highest content. Flavonoid content of ethanol extract of western dandelion was found to be 39.66±4.37 mg/g as the highest content. Ascorbic acid contents in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 of white dandelion were 0.83±0.43 mg/g and 0.89±0.16 mg/g, respectively.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thanol extract of western dandelion was higher than other extracts. SC50 of the ethanol extract of western dandelion was 0.789 mg/mL as the highest activity. However, in the SOD like activity, the ethanol extract of white dandelion had the highest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in the 6.25 mg/mL concentration treatment, it had the SOD like activity of 42.916%. In conclusion, the ethanol extracts of white and western dandelion that has antioxidative activity was proved to be a valuable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

      • KCI등재후보

        한류문화 발전에 미치는 한국 메이크업 산업

        임도연(Im, Do-Yo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정보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된 산업 분야의 성장이 높은 편이다. IT 및 전자분야의 기술 발달로 HD(High definition) 방송 및 영상이 이미 어느 정도 대중화되었고 이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이 시작되기에 이르렀으며, 인터넷 기반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관련된 콘텐츠의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가 영상이나 그래픽에 관련된 것인데, 특히 한류문화의 대표적 영역인 드라마나 영화, K-pop 등은 이러한 콘텐츠의 종합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류 영역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메이크업 산업은 더욱 수준 높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pop 과 드라마 등 한류열풍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바로 메이크업을 포함한 뷰티 분야이다. 이와 같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큰 수혜를 받은 K-Beauty는 아직까지 한류문화의 종속적인 요소로서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한류문화는 문화 전반적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현지화 전략 등 다양한 환경에의 적응성도 중요해 질 것이다. 따라서 다분히 종속적인 요소로서의 메이크업 분야가 아닌 독자적이면서 주도적인 한류문화의 한 산업분야로서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으로 메이크업을 배우러 오는 외국학생들이 증가하고 국내 메이크업아티스트들의 해외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메이크업 산업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스타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관심 가질 수 있게 한국의 메이크업을 더 발전시키고 널리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s has allowed people to shar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s through internet 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roadcasting system. Moreover, Korean wave culture has been linked to growth of Make-up industry (K-Beauty)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K-Beauty on the Korean wave culture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Beauty.Meanwhile, the cosmetics industry includingMake-up products is growing yearly because of the KoreanWave. Above all,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for the purchasing of Korean cosmetics. Nowis the time for the major industry field in Korean Wave. in other words, it needs to play a proactive role for nex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New customers of the K-Beauty in the KoreanWavewant to diversify its contents and products.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정보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된 산업 분야의 성장이 높은 편이다. IT 및 전자분야의 기술 발달로 HD(High definition) 방송 및 영상이 이미 어느 정도 대중화되었고 이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이 시작되기에 이르렀으며, 인터넷 기반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관련된 콘텐츠의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가 영상이나 그래픽에 관련된 것인데, 특히 한류문화의 대표적 영역인 드라마나 영화, K-pop 등은 이러한 콘텐츠의 종합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류 영역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메이크업 산업은 더욱 수준 높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pop 과 드라마 등 한류열풍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바로 메이크업을 포함한 뷰티 분야이다. 이와 같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큰 수혜를 받은 K-Beauty는 아직까지 한류문화의 종속적인 요소로서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한류문화는 문화 전반적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현지화 전략 등 다양한 환경에의 적응성도 중요해 질 것이다. 따라서 다분히 종속적인 요소로서의 메이크업 분야가 아닌 독자적이면서 주도적인 한류문화의 한 산업분야로서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으로 메이크업을 배우러 오는 외국학생들이 증가하고 국내 메이크업아티스트들의 해외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메이크업 산업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스타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관심 가질 수 있게 한국의 메이크업을 더 발전시키고 널리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s has allowed people to shar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s through internet 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roadcasting system. Moreover, Korean wave culture has been linked to growth of Make-up industry (K-Beauty)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K-Beauty on the Korean wave culture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Beauty.Meanwhile, the cosmetics industry includingMake-up products is growing yearly because of the KoreanWave. Above all,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for the purchasing of Korean cosmetics. Nowis the time for the major industry field in Korean Wave. in other words, it needs to play a proactive role for nex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New customers of the K-Beauty in the KoreanWavewant to diversify its contents and products.

      • KCI등재

        신규 향수 제품 개발을 위한 기존 제품의 성분 프로파일 분석 연구

        임도연(Im, Do-Yo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새로운 향수 상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향수 상품 중 선호도가 높은 향수의 주요 성분 분석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향수 제품별로 26~63종의 향기 성분이 확인되었다. 시료별 성분의 피크 면적이 시료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5% 이상인 주요 성분으로서 향수 제품별로 benzeneethanol, 1-methyl-5,8-dimethoxy-1,2,3,4-tetrahydro-1,4-iminonaphthalene, E-2-octadecadecen-1-ol, 5-methoxy-1,3-dimethyl-2-indolinone, lilial, ethylene brassylate, linalool, nerol, methyl dihydrojasmonate, galoxolide, isopropyl myristate 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주요 향기 성분들 중 2종 이상의 향수 시료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 5-methoxy-1,3-dimethyl-2-indolinone, ethylene brassylate, nerol, methyl dihydrojasmonate, galoxolide 등 5종의 향기 성분의 경우 개별 향수 제품의 선호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향수 관련 제품 개발 단계에서 해당 성분과 유사한 향기 성분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use it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new perfume products, analysis of major compounds of perfumes with high preference among perfume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 was conducted to review data on distribution patterns of individual fragrance compounds as factors that influence pre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compound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26 to 63 types of fragrance compounds were identified for each perfume product to be studied. As the main componunds whose peak area of each compound is 5% or more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sample, benzeneethanol, 1-methyl-5,8-dimethoxy-1,2,3,4-tetrahydro-1,4-iminonaphthalene, E-2-octadecadecen-1-ol, 5-methoxy-1,3-dimethyl-2-indolinone, lilial, ethylene brassylate, linalool, nerol, methyl dihydrojasmonate, galoxolide, isopropyl myristate were identified for each perfume product. Among these major fragrance compounds, five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in two or more perfume samples, including 5-methoxy-1,3-dimethyl-2-indolinone, ethylene brassylate, nerol, methyl dihydrojasmonate, and galoxolide. These fragrance compounds could be estimat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individual perfume products, and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ew fragrance compounds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mpounds in the development stage of perfume-related produc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