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계특허통일화 과정에서 지역간·양자간 특허협력의 의미

        임근영 세창출판사 2004 창작과 권리 Vol.- No.37

        The idea of obtaining the same patent right for one invention worldwide was firstly conceived in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Paris Convention) in 1883, and the practical measure on procedural harmonization was taken with the sign of Patent Cooperation Treaty(PCT) in 1970. The multilateral approach to world patent harmonization has been specified in the consultation on PCT reform and Substantive Patent Law Treaty(SPLT) within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WIPO) since 2000. Recently the regional and bilateral patent cooperation among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USPTO), Japan Patent Office(JPO), and European Patent Office(EPO) has been intensified. For example, the trilateral cooperation, which was embarked on to reduce the informationization cost in 1983, has been developed focusing on the exchange of database, search method, and examiners, to build up confidence on the search and examination results. And USPTO and JPO also initiated a joint pilot project for the practical exploitation of search and examination results in 2003, which was evaluat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examination workload. In this context, this study throws a question on why the multilateral discussion on world patent harmonization has recently been heated up, and on why the regional and bilateral patent cooperation among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Japan, and Europe, has ever been enhanced beyond the multilateral level. In order to answer it, this paper explains the brief history of multilateral patent cooperation, the background of and the movement towards world patent harmonization within WIPO. And it also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recent aspects of regional and bilateral patent cooperat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process of world patent harmonization.

      • KCI등재

        실감기술을 활용한 연극의 경계 미학적 가치에 대한 상호매체성 연구

        임근영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4 유라시아연구 Vol.21 No.1

        한국의 연극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고 나서 VR, AR, MR, XR, HR과 같은 실감기술을대거 활용하는 콘텐츠로 변모하였다. 언어예술이면서 동시에 표현예술인 연극은 약 3년 이상의 비대면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실시간 온라인 공연의 단계를 거쳐 이제는 일반적인 극장에서도 실감기술장비를 활용해 관객에게 색다른 보는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이 현상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매체의 탈경계화로 정의하고, 원격공연 또는 이머시브 연극과 같은 새로운 장르를 소개하는 등 연극계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정하는 경향이다. 하지만, 연극에 실감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발생한 변화의 미학적 가치를 상호매체성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논해야 한다. 왜냐하면, 실감기술을 활용한 연출이 관객의 실존적 존재감을 대신할 수 없고, 연극이 진지한 예술 장르로 계속 인정받기 위해서 시각 미디어가 희곡의 언어 예술성과의 경계에서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은 미학적 균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 이후에 연극 장르가 실감기술을 대거 활용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연극과 시각 미디어 간 균형적인 매체 융복합상태를 경계 미학으로 정의하고, 그것의 타당한 기준과 효과를 상호매체성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논한다. 이를 위해서 코로나19 팬데믹을 전후하여 연극계가 실감기술을 활용해온 양상을 소개하고, 그 가운데 발생한 매체 융복합 과정에서 드러난 언어 매체와 일반적인 디지털시각 미디어 매체의 특징을 비교하고, 이후에 등장한 실감기술의 몰입 효과를 설명한다. 이어서 배우와 관객의 극적 수행성 공유를 연극의 경계미학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보고, 극적 공감대 형성이 그효과라고 주장한다. 선행연구와 다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실감기술이 일반적인 디지털 시각 미디어 매체보다 배우와 관객의 극적 수행성을 강화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질적인 언어 매체성과 공연장에서의 라이브니스 감동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새롭게 개별화된 인식과 감동을 제공하고, 그 효과로서 극적 공감대를 극대화하여야 하고, 시각 이미지로 변한 텍스트는 반드시 인간의 실제 삶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을 역설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연극과 시각 미디어 사이에 매체 간 적절한 경계를 유지하는 것이 상호작용과라이브니스 등 전통적인 언어예술성을 항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RF 스퍼터링 ZnO 박막 증착 프로세스 모델링

        임근영,이상극,박춘배,Lim, Keun-Young,Lee, Sang-Keuk,Park, Choon-B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9 No.7

        ZnO deposition parameters are not independent and have a nonlinear and complex property. To propose a method that could verify and predict the relations of process variables, neural network was used. At first, ZnO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process with various conditions. Si, GaAs, and Glass were used as substrates. The temperature, work pressure, and RF power of the substrate were $50\sim500^{\circ}C$, 15 mTorr, and $180\sim210W$, respectively : the purity of the target was ZnO 4 N. Structur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were estimated by using XRD (0002) peak intensity. The structure of neural network was a form of 4-7-1 that have one hidden layer. In training a network, learning rate and momentum were selected as 0.2, 0.6 respectively. A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were performed with XRD (0002) peak data. After training a network, the temperature of substrate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by sensitivity analysis and response surface. As a result, neural network could capture nonlinear and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parameters and predict structur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with a limited set of experiments.

      • KCI등재

        임의 차원 데이터 대응 Dynamic RNN-CNN 멀웨어 분류기

        임근영,조영복,Lim, Geun-Young,Cho, Young-B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5

        본 연구는 본 연구는 Microsoft Malware Classification Challenge 데이터 셋을 사용해 임의의 길이 입력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는 멀웨어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기존 연구의 멜웨어 데이터를 이미지화 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 모델은 멀웨어 데이터가 큰 경우는 많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작은 데이터는 적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미지를 시계열 데이터로 Dynamic RNN으로 학습시킨다. RNN의 출력 값은 Attention 기법을 응용해 가장 가중치가 높은 출력만 사용하고, RNN 출력값을 다시 Residual CNN으로 학습시켜 최종적으로 멀웨어를 분류한다. 제안모델을 실험한 결과 검증 데이터 셋에서 Micro-average F1 score 92%를 기록하였다. 실험 결과 특별한 특징 추출 및 차원 축소 없이 임의 길이의 데이터를 학습 및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oposes a malware classification model that can handle arbitrary length input data using the Microsoft Malware Classification Challenge dataset. We are based on imaging existing data from malware. The proposed model generates a lot of images when malware data is large, and generates a small image of small data. The generated image is learned as time series data by Dynamic RNN. The output value of the RNN is classified into malware by using only the highest weighted output by applying the Attention technique, and learning the RNN output value by Residual CNN again. Experiments on the proposed model showed a Micro-average F1 score of 92% in the validation data se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a model capable of learning and classifying arbitrary length data can be verified without special feature extraction and dimension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