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강점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임그린,탁진국,김기년,김태은,광모,김거도,방준석,슬기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김기년과 탁진국(2013)의 청소년용 강점척도를 재 타당화 하기 위해 전국 규모의 표집을 통해 강점검사의 타당도, 특히 구성타당도를 재분석하여 동일한 20개 요인구조가 도출되는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요인구조가 전체 청소년, 성별(남/여), 학년(중학교/고등학교), 남자(중/고등학생), 여자(중/고등학생) 등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 33,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총 32,640명의 자료를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얻어진 20개 요인과 94개 문항을 각 집단에 적용하여 동일한 요인이 도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남자 고등학생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 즉 전체 응답 집단, 여학생 전체 집단, 남학생 전체 집단, 고등학생 전체 집단, 여자 고등학생 집단, 중학생 전체 집단, 남자 중학생 집단, 여자 중학생 집단에서 동일한 20개 요인이 도출되어, 20개 요인구조모형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인 20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0개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여 구성타당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한편 남자 고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에서는 예의와 배려 요인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여 19개 요인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4개 요인의 요인명이 변경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Kim & Tak, 2013). Data were obtained from 33,379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 whole data were divided into various subgroups to see if the same factor structure is consistently found for each subgroup. These subgroups are as follows: male and female students,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junior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female junior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same 20 factors emerged for the whole data as well as for each of the subgroups, except for the male high school students. 19 factors were found for the male high school group. Also, the names of four factors were changed. The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and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서중심 그룹코칭의 효과성 연구

        임그린,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관계성, 낙관성 등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4가지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정서를 표현하고 재구성하도록 구안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에 12명의 일반 여성들에게 예비연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예측하고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5명의 여성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외에 긍정성 향상을 위한 행복 그룹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15명을 비교집단으로 하고, 또 다른 무처치 15명을 통제집단으로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반면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행복 그룹코칭 프로그램보다 더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 1-1은 행복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점수가 향상되었으므로 지지되지 않았다.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을향상시키고 그 효과가 지속되었으므로 가설 2도 지지되었다. 정서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은부적정서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그 효과를 지속시킬 것이라는 가설 3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지속되는 경향성은 확인되었다.

      • KCI등재

        경력적응성 척도의 타당화 검증

        탁진국,임그린,이은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2)의 경력적응성 척도를 직장에서 근무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예비조사에서는 Savickas(2012)가 13개 국가와 공동으로 연구하여 도출된 경력적응성 척도의 4개요인, 24개 문항의 성인대상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된 경력적응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 18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경력관련 변인인 미래경력성공의 지각, 경력계획, 경력만족, 경력몰입을 준거변인으로 사용하여 경력적응성 및 4개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결과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4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구조 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경력적응성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경력적응성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준거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경력적응성 및 4개 요인 모두 미래경력성공에 대한 지각, 경력계획, 경력만족, 경력몰입 등의 준거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미래연구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탁진국,임그린,정재희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o enhance happiness. Participants were 12 college students, 6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6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across five times, pre, post, follow-up 1, follow-up 2, and follow-up 3. To measure overall happiness,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hope,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hope, confirming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Also, there were non significant effects of time interval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optimism, confirming the duration of the program effect across tim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긍정심리 기반의 그룹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그룹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추후 1, 추후 2, 추후 3 다섯 시점에 거쳐 행복감과 관련이 높은 생애만족, 정신건강, 희망, 낙관성,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희망을 제외한 생애만족, 정신건강, 낙관성, 주관적 행복감에서 시점과 집단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된 생애만족, 정신건강, 낙관성,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 후, 실시 후 1개월, 3개월, 6개월인 사후, 추후 1, 추후 2, 추후 3 시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을 제외한 생애만족, 정신건강, 주관적 행복감의 사후점수가 실시 후 1개월, 3개월, 6개월까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프로그램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경력고민척도 개발 및 타당화

        탁진국,이은혜,임그린,정일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직장인들이 자신의 경력과 관련해 현재 어떤 관심 또는 고민을 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성인용 경력고민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88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총 6회의 문항 분류 작업을 거친 후 19개 요인, 147개 문항을 선별하였다. 다음은 직장인 33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15개 문항으로 구성된 17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인경력고민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와 준거관련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1,0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조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표집 1, 546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표집 2, 545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성인경력고민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표집 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94개 문항으로 구성된 16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집 2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6-요인구조 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성인경력고민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성인경력고민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준거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16개 각 요인은 대부분의 준거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미래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원전 소방대원들의 심리적 직무특성 분석과 관할 소방공무원들의 국가직 전환이 직무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경화(Kyung-Hwa Choi),이상규(Sang-Kyu Lee),임그린(Green Lim),서경숙(Kyung-sook Seo)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5

        본 연구는 원전 담당 소방대원(자체 소방대원 65명, 초동 소방대원 184명, 관할 소방공무원 361명)을 대상으로 위험인식과 직무 만족,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 등 직무수행 관련 심리적 역량을 진단하고, 원전 관할 소방공무원의국가직 전환 이후 위험인식 및 관련 심리적 역량의 변화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원전 담당 소방대원들을대상으로 설문을 한 후, 수집된 자료를 SPSS 23.0을 사용하여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 및다중회귀분석을 하고,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소방대원이 속한 조직별로 직무수행 관련 심리적 역량들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직무 만족, 직무 스트레스, 위험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원전 관할 소방공무원들의 국가직전환에 대한 기대인식은 직무 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직몰입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조직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관리적 차원에서 필요한 정책적, 제도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sychological capabilit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such as risk perception, job satisfaction,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610 firefighters (65 own firefighters, 184 initial firefighters, and 361 localfirefighters) working at various nuclear power plant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risk and changes inthe psychological capabilities of fire officials under the jurisdi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was investigated. The data werecollected through a survey. We used SPSS 23.0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of study variables, and AMOS 23.0 to valid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study results show that psychological capabilit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for each organization towhich the firefighters belonged,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risk perception as variables that affect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 expectations of the transition to national posi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satisfaction, which in turn increa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ary policyimplications in terms of management to enhance the futur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