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 의미변별척도의 적용

        임경원,김하종,김삼섭,박은영,강민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의미변별척도를 이용하여 교사들 스스로가 생각하는 자아상을 알아보기 위해, 특수학교 자아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성경력학교과정근무지근무학교 설립형태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 자아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해석이 가능한 5개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요인의 이름은 활동, 평가, 능력, 자질, 역할로 각각 명명하였다. 특수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과 근무지역, 근무학교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평가 요인에서 5년 미만 집단과 20년 이상의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5), 평가 요인에서 20년 이상의 집단이 5년 미만의 집단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과정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질 요인에서 유치부와 중등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5), 자질 요인에 있어 유치부 교사가 중등부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웹 기반 「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 개발연구(Ⅰ): 예비 문항분석

        임경원,김삼섭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P>이 연구는 「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1차 연구의 성격을 지니며, 평가원리의 제시, 직업적성요인의 선정, 요인별 문항구성과 문항개발, 예비검사를 통한 예비문항 분석 등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P><P> 「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는 규준참조검사, 잠재적 기능측정, 카페테리아 방식의 평가원리를 적용하였다. 적성요인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일반직업적성검사(GATB)의 11개 요인 중 8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검사는 웹상에서 실시할 수 있는 8개 하위검사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검사소요 시간은 21.4분이다. 문항분석을 위해 정신지체인 10명을 대상으로 한 1차 예비검사와 116명을 대상으로 한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 결과 「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의 문항들은 그 신뢰도, 난이도, 변별도 등이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P> 이 연구에 이어 2차 연구에서 적성직군 준거선정, 적성직군 준거개발, 적성직군 결정절차 및 검사결과의 제시 등의 개발과정이 진행될 예정이며, 3차 연구를 통해 본 검사 실시 및 도구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 한 후 검사실시 요강 제작 및 웹 프로그램 개발을 최종 완성할 계획이다.</P>

      • KCI등재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활성화를 위한 일본 특례자회사의 실태 및 성공 사례 고찰

        임경원,고등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if the system of th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has been succeeded and needs to be analyzed its structure and present status to apply to the system of subsidiary companies in Korea . To analyze the successful cases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and present status, I chose and studied 10 selective articles, relevant materials and documents of relevant organizations. To promote the Korean subsidiary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system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it is needed that first, revision of the related law, second, enforcement on group related system, third, double count of the employment rates of the severely disabled. After observing the excellent cases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it appears that first, there is a rise in employment rates of disabled people, second, perform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 third, there is an increase in client reliability and company's image, and fourth, job security of the handicapped and diversification of job opportunity. From now on, it is proposed that first, diversification of available occupation, second,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of the subsidiary companies, third, seeking for diverse working hours and securing employee benefits, and fourth, improvement in handicapped people’s vocational ability and job settlement rates. The following research would be required concrete survey on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and related public agenc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특례자회사 제도의 실태와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제도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시사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본 내 관련기관의 자료와 연구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특례자회사 성공사례를 보고한 1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일본 특례자회사 제도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특례자회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관련 법률의 개정, 둘째, 그룹 적용제도의 시행, 셋째, 중증장애인의 고용율 중복계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특례자회사 성공사례를 살펴본 결과, 특례자회사의 성과는 첫째, 장애인 고용율의 상승,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셋째, 고객의 신뢰도와 기업의 이미지 상승, 넷째, 장애인의 일자리 확보와 직업영역확대로 나타났다. 향후 과제는 첫째, 직업영역 확대, 둘째, 자회사의 경영합리화, 셋째, 다양한 근무형태의 모색과 복리후생 확보, 넷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 향상과 직장 정착율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일본 특례자회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연구와 일본 특례자회사 관련 기관 및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 고찰

        임경원,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1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의 훈련 직종, 취업 직종, 직업흥미에 기초한 적성직종, 그리고 직업적성검사 결과 나타난 적성직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ㆍ분석하여, 그들이 원만하게 수행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적성직종들을 중분류와 소분류ㆍ세분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 관련 국내 선행연구 및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훈련직종, 취업직종, 직업흥미, 직업적성을 고려하여 적성직종을 알아본 연구들에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은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중분류 기준으로 모두 15개의 직군이 선정되었다. 또한, 15개의 중분류 직군에 해당하는 소분류 30개와 49개의 세분류를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직업을 예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신지체학교의 직업교육과정 운영 및 훈련 직종 선정 등의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밖에 장애인 직업재활기관에서도 같은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t out to put together and analyze aptitude jobs based on training jobs, employed jobs and vocational interest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s well as the previous studies on aptitude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vocational aptitude tests. It also aimed to classify the aptitude jobs that would be performed by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no problems into the middle, small and detailed category. For those purposes, previous studies on aptitude job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 Korea were gathered and analyzed along with the related data. The studies were confined to those ones that took into account training jobs, employed jobs, vocational interests and vocational aptitude. As a result, the aptitude job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cluded total 15 groups of the middle category in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15 groups of the middle category contained 30 small categories and 49 detailed categories, for each of which examples were given. It'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able to serve as basic data in running vocational training courses or selecting training jobs at a sch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Othe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ill also be able to benefit from the results for the same purposes

      •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해외진출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임경원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08 專門經營人硏究 Vol.11 No.2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 is faced with difficult problem, that is, stagnation of growth. One of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s developing foreign marke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strategic location selection of the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s foreign investment. In this study, the qualified countries for investment were evaluated by using two methods - Grid method and Market Portfolio method. Each country is evaluated by two factor: The Country attractive factor, and The Possibility of Success. The Country Attractive factor included size of GDP, growth rate of GDP and credit risk ect. The Possibility of Success factor included the present state of competitor, supporting systems of foreign investment, ect. And than,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were added According to this study, we selected 20 countries including China, U.S., Russia, Indonesia and so on and made precedence order for investment.

      • KCI등재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재활 관련 요인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

        임경원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factors about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the way to improve by finding for aspects of experts who have many years of experienc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through phenomenalistic approach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people including majoring course teacher i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emotional disability, chief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m of disability welfare center, teacher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researcher of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professor of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etc. As a result of doing taxonomy analyzing the data we collect through in-depth interview using NVivo 9, 51 basic nodes and 20 superordinate categories, 6 total categories had been produced. The aspects of the experts had been deducted in 6 categories including 'the vocational feature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making jobs that individuals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can do better', 'vocational educations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s: having vocational enjoyment with expert from a kid', 'support and participant of parents: awaken parents, assistive parents', 'atmosphere of a company and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company like a family that has understandings and considerations', 'connections among employment agencies: grow out of KEAD's performance-based perspective, the main character of connections is practitioners', 'improvement of policies about employment supports: job coach, the employment quota systems of the autistic spectrums'. In following stud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ore concrete and practical demands and aspe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s through expanding participants including the parents of the autistic spectrums, employer and coworkers and the autistic spectrums, etc. 이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교육 및 직업재활 서비스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축적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알아봄으로써, 자폐성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한 관련 요인과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정서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센터장, 직업능력개발원 교사, 고용개발원 연구원, 특수교육과 교수 등 8인이며,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Nvivo 9를 이용하여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51개의 기초노드, 20개 상위 범주, 최종 6개의 범주를 생성하였다. 전문가들의 견해는 ‘자폐인의 직업적 특성: 자폐인이 더 잘할 수 있는 일자리 만들기’, ‘자폐인을 위한 직업교육: 어려서부터 일의 즐거움을, 전문가와 함께’, ‘부모의 지원 및 참여: 깨어있는 부모, 함께 돕는 부모’, ‘동료관계와 회사의 분위기: 이해와 배려가 있는 가족 같은 회사’, ‘고용관련 기관 간 연계: 공단은 탈(脫)실적, 연계의 주인공은 실무자’, ‘고용지원 관련 정책의 개선: 직무지도원, 자폐인 고용할당제’의 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인의 부모, 고용주나 동료, 자폐성 장애인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직업재활을 위한 요구와 견해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요인

        임경원,곽승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personal trait, domestic environment, job environment and job retention. 42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who have been retain over 6 months with or without job turnover, 42 parents, 42 peers, 8 follow-up specialist, 18 employers and managers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4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mployment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individual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s of job retention factors which influence employers' satisfactions which were reasons to judge of job retention are level of functioning, level of domestic functioning, level of work functioning, valuing of work of parents, support of peers and employers, and valuing of work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in order. The explanatory estimator of job retention depending upon sub-factors of personal traits, domestic environments, job environments showed 12.2% in level of function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employers' satisfactions which were reasons to judge of job retention. Employer's satisfactio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nly level of functioning factor(r = .379, p < .01). The probability when the higher level of function, the higher satisfactions of the employer was 62.4%. For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in job retention,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mployment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individuals with emotional disorder emphasized level of function, successful performance with family support and high family function, and importance of support with peers and employers. In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인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및 작업환경의 하위 요인과 직업유지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다. 18세 이상의 직업유지 자폐성 장애인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양적 연구 대상은 부모 42명, 직장동료 42명, 사후지도 담당자 8명, 고용주나 노무관리자 18명이었고, 질적 연구 대상은 정서장애학교의 취업담당교사 4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유지의 판단근거인 고용주 만족도에 대한 직업유지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일반적 기능수준, 가족기능, 작업 기능수준, 부모의 일에 대한 가치, 고용주 및 동료의 지지, 일에 대한 가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인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및 작업환경 하위 요인들의 직업유지에 대한 설명량을 알아본 결과, 일반적 기능수준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그 설명량은 12.2%였다. 셋째, 고용주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요인은 일반적 기능수준(r = .379, p < .01)이었으며, 일반적 기능수준이 높은 자폐성 장애인이 고용주 만족도도 높을 확률이 62.4%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장애학교 취업담당 교사들은 일반적 기능수준 요인, 가족의 지원, 고용주 및 동료의 지지가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천적 시사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의 견해

        임경원,최상배,김연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이 연구에서는 단위학교의 통합교육 지원과 지역사회중심의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네 그룹 3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의 견해는 5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 59개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상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의 확대와 다양한 방식의 참여형 활동 운영, 둘째,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사들의 역량강화와 학교 재구조화, 셋째, 학교평가지표의 활용 및 학내 구성원 역량강화 지원,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력보강 및 재구조화, 지역네트워크의 단위학교 통합교육 지원체제 구축, 다섯째,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및 통합교육 실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중심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교사 지원의 필요성과 교사 지원을 위해서 온ㆍ오프라인의 다양한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