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ntamidine Inhibits Titanium Particle-Induced Osteolysis In Vivo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Vitro

        인혜정,김기령,Hye-Sung Cho,박의균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16 No.3

        BACKGROUND: Wear debris-induced osteolysis leads to periprosthetic loosening and subsequent prosthetic failure. Since excessive osteoclast formation is closely implicated in periprosthetic osteolysis, identification of agents to suppress osteoclast formation and/or function is crucial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wear particle-induced bone destruc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tential effect of pentamidine treatment on titanium (Ti) particle-induced osteolysis,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j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METHODS: The effect of pentamidine treatment on bone destruction was examined in Ti particle-induced osteolysis mouse model. Ti particles were implanted onto mouse calvaria, and vehicle or pentamidine was administered for 10 days. Then, calvarial bone tissue was analyz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y. We performed in vitro osteoclastogenesis assay using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ntamidine on osteoclast formation. BMMs were treated with 20 ng/mL RANKL and 10 ng/mL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ntamidine.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stain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RESULTS: Pentamidine administration decreased Ti particle-induced osteoclast formation significantly and prevented bone destruction compared to the Ti particle group in vivo. Pentamidine also suppress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actin ring formation markedly,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 c1 and osteoclast-specific genes in vitro. Additionally, pentamidine also attenuated RANKL-mediated phosphorylation of IjBa in BMM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ntamidine is effective in inhibiting osteoclast formation and significantly attenuates wear debris-induced bone loss in mi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uppressive effects of (-)-tubaic acid o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임수민,인혜정,김주앙,김정은,배용철,신홍인,김태훈,박의균 한국통합생물학회 2023 Animal cells and systems Vol.27 No.1

        Regulation of osteoclastogenesis and bone-resorbing activity can be an efficacious strategy fortreating bone loss diseases because excessive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leads to thedevelopment of such diseases. He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ubaic acid, a thermaldegradation product of rotenone, in osteoclast formation and function in an attempt to identifyalternative natural compounds. (-)-Tubaic acid significantly inhibited receptor activator of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t both the early and latestages, suggesting that (-)-tubaic acid affects the commitment an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progenitors as well as the cell-cell fusion of mononuclear osteoclasts. (-)-Tubaic acid attenuated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ofactivated T-cells cytoplasmic 1 (NFATc1) and its target genes in response to RANKL. Furthermore, a pit-formation assay revealed that (-)-tubaic acid significantly impaired the boneresorbingactivity of osteoclast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ubaic acid exhibits antiosteoclastogenicand anti-resorptive effects, indicating its therapeutic potential in themanagement of osteoclast-related bone disea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아래턱 어금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쪽 식립 방향

        박찬우(PARK Chan Woo),박광범(PARK Kwang Bum),박국필(PARK Kuk Pil),인혜정(IHN Hye Jung),박매자(PARK Mae Ja),김희진(KIM Hee Jin),배용철(BAE Yong Chul)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1

        아래턱 어금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쭉 식립 방향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해부학적 형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54개의 아래턱뼈를 한전 인상재로 음형 복제를 한 후, 각 큰어금니의 치아뿌리부에서 교합평면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아래턱뼈몸체, 치아머리 장축의 경사도, 턱목뿔근선의 위쪽 이를 및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경사도, 길이 및 비율 그리고 턱밑샘오목의 깊이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아래턱뼈몸체, 치아머리 장축의 경사도, 턱목뿔근선의 위쪽 이틀 및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경사도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강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치아머리 장죽과 아래턱뼈몸체의 경사도에 대한 상관관계는 99% 신뢰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r_O 793), 치아 머리 장축이 아래턱뼈봉제 경사도에 비해서 첫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6 2 。’ 둘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7 6 。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3 턱목뿔근선 위쪽 이틀의 길이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길이는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위쪽 이틀에 대한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비용은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증가 하였다. 4 턱밑샘요목의 깊이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오목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래턱 큰 어긍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쪽 식립 방향은 발치 후 이틀의 흡수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치유된 발치와인 경우에는 납형 제작원 치아머리 장축에 비해 첫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6 2 。들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7 6 。 정도 혀쪽으로 기울여야 혀쪽 천공이 없이 파노라마 사진에서 설정된 임프란트의 길이 대로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