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세기 대둔사 학승들의 유교경전 이해

        이희재,조윤호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28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조후기 해남 대둔사를 중심으로 전개된 유교와 불교 지식인들의 교류양태 및 대둔사 승려들의 유교 이해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변화상황에서 지식인들의 대응방식과 정신세계의 변천양상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조선조후기의 불교계는 사상연구의 쇠퇴 및 이에 따른 사회적 영향력의 약화와 내적 폐단이 심화되어, 불교 내부의 근본적 개혁을 통한 활로 개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암, 초의, 범해를 비롯한 대둔사 승려들은 교선융합적 사상을 전개하고, 나아가 불교라는 사상적 틀을 뛰어 넘어 유학자들과의 광범위한 교류를 시도였다. 전통적 성리학 중심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학문체계를 수용한 다산, 추사 등과의 교류가 그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승려들은 실학적 사고의 도입 내지 실학정신의 불교적 수용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되며, 역법, 음악, 성리학 등의 다양한 문헌에까지도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불교의 승려들은 절대적 도덕률이나 전통적 규범 중시의 태도를 부정하고, 부단히 정신적 자유의 확보에 노력하여 사유방식의 다양성을 추구하게 된다. 그들은 시대적 변화 속에서 초현실성을 탈피하여 경험세계를 중시하였으며, 종교적 권위와 전통적 상징의 절대화 내지 고정화에도 도전하였던 것이다. 또한 두 지식인 집단 간의 교류는 유교 지식인들의 정신세계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초래한다. 우리는 여기서 조선후기 지식인 사회의 역동성과 개방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전혀 이질적인 이념과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이들 두 지식인군의 만남이라는 사건과, 거기에 새롭게 발현되는 다양한 창조적 지성과 사유전통은 근대적 지성의 형성에 근간이 되었으며 한국지성사를 크게 살찌우고 있다. 이희재**攀 ** 광주대 교수.

      • KCI등재

        도교의 신비주의와 불교

        이희재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4 No.-

        How to influence to the Mysticism in Taoism into the Buddhism? Taoist have accepted and understand to Buddhism as an immortal hermit. Buddhism has been role the immortal hermit. They have interpreted Buddhism as a Neidan(internal alchemy, 內丹) practices, Zen Buddhism share the similar discipline about the skill of breathing. And also they have interpreted Buddhism as invoke a blessing. The Buddhism in the early China assimilated Taoism and have naturalized to East Asia. In the early Buddhism in China, Buddhism had harmonized with Taoism for the localization. Peoples believe that Buddha could blessings god such as an immortal hermit or a Heavenly god. People had prayed for the Agelessness and Good Fortune to Buddha. Buddha was not only Dharma and historical being but also Amitabha, eternal Buddha. The common people believe to two religions without distinction. In the 3rd and 4th century, famous Taoist monks interacted with Buddhist monks closely. Taoists understand on Buddhist canons and Buddhist monks read to Taoist books such as Chuangzu. Hwado meditation originated from Taoistic cheangdam(clear talking) that already the Taoists enjoyed Hwadu style in the nature free from moral and worldly life. Avalokitesvara, Guan yin(Bodhisattva associated with mercy), Mañjuśrī (Bodhisattva associated with transcendent wisdom)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associated with Buddhist practice) became important gods of Taoism. On the other hand, Buddhism accepted Taoist gods such as Shiwang(the ten heavenly kings), Zhaowang(the god of stove), Qixing(the god of Bip Dipper), Shan shen(the god of mountain). The mystic element in Taoism influence to the localization of Buddhism in East Asia, but two Ideas are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Buddhism accepted to mystic element and immortal idea of Taoism, but Buddhism regard highly to deliver from worldly existence. These elements are means that Buddhism never obsesses to immortal life. 도교의 신비주의가 불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도교의 입장에서 조명해 보자면, 그들은 신선사상으로서 불교를 수용하고 해석했으며 불교는 일정하게 신선사상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內丹수련사상으로서 불교를 해석하였고, 선불교는 호흡법 등에서 이러한 수련법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도교는 불교를 기복적 사상으로서 해석하기도 하였다. 중국에서 불교는 도교의 초자연적인 민간신앙을 흡수하여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불교는 전법의 초기에 중국에 뿌리내리기 위해서 도교적 신선사상과 조화하여 도교적 불교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불로장생이나 양재초복은 인간의 원초적 갈망인데, 우선 불교는 그러한 욕망을 받아들여서, 붓다는 불행을 물리치고 행복을 주는 신선과 같은 존재로 숭앙되거나 불로장생을 정해주는 天帝와 동일시되었던 것이다. 붓다는 초기불교에서처럼 단지 법이나 역사적 존재가 아니라,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존재하는 영원한 아미타불이며 이는 無量壽佛로 번역되었다. 붓다는 다시 말하자면 불로장생의 地仙이며 극락세계의 天仙의 존재와 같은 것이다. 서민들의 신앙에 있어서 불교와 도교는 사상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더 나아가 3-4세기의 유명한 도사들은 대개 불교의 승려들과 밀접히 교류하였다. 도사들은 불경에 정통해 있었고, 또 불교의 승려들도 도교의 저서, 특히『장자』와 같은 저술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양재초복의 면에서는 불교의 관음신앙이나 문수 보현보살이 도교에서도 주요한 신앙의 대상이 되었으며, 반대로 불교에서는 도교적인 十王, 竈王, 七星, 산신 등을 비롯한 민간의 신앙을 수용하였다. 도교신앙의 신비주의적인 요소는 불교의 토착화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두 사상이 동일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불교의 경우, 신비주의적인 요소나 구복적인 요소를 외면할 수는 없었지만, 수행을 통한 깨달음과 생사의 해탈을 중시하며, 궁극적으로 현세의 불로장생에 집착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한국공자학회의 회고와 전망

        이희재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8 No.-

        한국공자학회는 1980년 6월 정 종, 이을호(1910-1998), 유정동(1921-1984) 삼인의 만남을 통해 학회의 밑그림이 그려졌고, 발기인으로 성락서,이을호, 송지영, 유정동, 윤사순, 박세영, 배종호, 이남영 그리고 정종 등 9명이 참여하였으며 초대 회장은 성균관장을 역임한 성낙서 박사가 추대되고 1980년 11월 22일 창립되었다. 공자학회는 선진유학(先秦儒學)적 근본유학적 또는 수사학(洙泗學) 입장 일탈을 견제한 유학의 근본정신에로의 귀향을 추구함으로써 진로를 수정하고, 방향을 제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동양철학의 총체적인 발전에 꾸준히 이바지하게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했다. 공자학회가 이룬 성과와 가치는 지대한 것이며 후학들을 위한 동양철학연구 방법이나 연구주제에 관련하여 풍성한 토대를 구축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이루어 놓은 다섯 가지의 성과 곧, 공자학과 현대의 문제, 공자학과 신실학의 창조, 공자학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탐구, 공자사상연구방법론의 새로운 개발 그리고 현대한국에서의 동양철학을 개척한 선학에 대한 재조명 등은 차후의 과제이기도 하다. The Korean Society of Confucian Studies was established on the 22nd of November, 1981. In June 1981, Cheong Jong, Lee Eul-ho(1910~1993) and Yu Jeongdong(1921~1984) made a rough outline for the society and added promoters Sung Racsea, Song Jiyeong, Yoon Sasoon, Park Saeyeong, Bae Jongho and Lee Namyeong. The goal of the society was to seek out the original elements of Confucianism to provide a stable foundation upon which to build methodologies to address societal issues for future gener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promote Oriental philosophy in general. This society’s important areas of focus are as follows:First, researching issues in Confucian studies and modern societal problems. Second, survey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rd, developing methodologies in Confucian thought. Last, sheds new light on the scholars to study Confucianism  in modern Korea.

      • KCI등재

        17세기 조선후기 최석정의 훈민정음의 역학적 원리 연구

        이희재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6 No.-

        이 글은 최석정(1646-1715)의 훈민정음 연구서인 經世正韻의 역학적 원리를 연구한 것이 다. 이 책은 1678년(숙종 4년)에 저술했으며, 邵雍(1011-1077)의 皇極經世書에서의 역학을 훈민정음에 적용한 것이다. 최석정은 한글 초성이 오행의 원리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음, 설음, 순음, 치음 , 후음 은 다섯 가지의 음이면서 동시에 오행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는 이를 ‘17聲분배 초성도’로 재구 성하고 있다. 종성(끝소리)에 대하여는, 單終聲12와 이합종성 4를 합한 16종성을 주장하였다. 이 역시 오행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다. 그가 중시하여 참고한皇極經世書에 바탕을 두 고 기존의 오행설의 틀에 맞추어 한글의 오행적 의의를 해석한 것이다. 中聲에 있어서 한글모음 ‘兒’ 는 음양이 서로 교차하는 최초의 모음이며 여기에서 음양은 動으로서의 ‘ㅡ’와 靜으로서의 ‘ㅣ’로 나 뉘며 다시 動인 ‘ㅡ’가 ‘ㅏ.ㅑ.ㅓ.ㅕ’로 그리고 靜인 ‘ㅣ’는 ‘ㅗ.ㅛ. ㅜ.ㅠ’로 확대되어 중성(모음) 11개가 황극경세서의 역학에 바탕해서 해석되고 있다. 그는 황극경세서의 「경세연역도」의 틀을 중성 11자의 형성과정과 같은 틀로 적용했다. 또한 正聲과 正音으로 구분하여 正聲에는 日,月,星,辰의 범주에 맞추어 사성인 平,上,去,入을차례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8卦와 10干에 맞추어 一聲에서 八聲까지 분석하였다. 한편 正音에는水,火,土,石 의 범주에 맞추어 開,發,收,閉의 四音을 차례로 배치하였다. 聲은 청탁의 원리로 이어진다. 이것은 음양의 변화와 성이 청탁으로 구분되는 이치인데 우선 ‘一淸( 陽)+ 一淸(陽)= 二濁(陰)’이 되는데 이것이 한글의 조어원리에 적용된다. 예를 들자면‘ㄱ(양) + ㄱ(양) = ㄲ(음), ㄷ(양)+ ㄷ(양)=ㄸ(음)이 된다.’는 것이다. 주역의 乾,兌,離,震,巽,坎,艮,坤의 八卦와 자연의 소리인 金,石,絲,竹,匏,土,革,木의 八音을 대비하고 거기에 闢翕과 淸濁의 음양생성의 원리를 적용하면서 황극경세의 이론을 훈민정음의 구조를 분석하 고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시한다. 경세정운은 한글의 聲韻의 원리가 만물을 설명할 수 있는 음양의 원리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밝히 며, 기본적으로 하늘과 땅의 무궁한 변화를 설명하는 易學的바탕으로 해석했다. 闢翕은 音이 열리고 합치는 모습을 말한다. 한글의 모음인 11개의 중성은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열리고 닫히는 闢翕의 원리에 따라 “ㅏ , ㅘ , ㅗ , ㅐ , ㅙ , ㅚ , ㅑ, ㅒ, ㅓ , ㅝ , ㅔ , ㅞ , ㅕ , ㅖ” 등 다 양한 양상으로 조합된다. 그는 이것을 팔궤의 범주에 맞추어 자음 24개와 조합하여 한글의 聲韻원리 를 제시한다. Choi Seak-jung(1646-1715)'s book Kyengsae Jungwon(經世正韻, The Book of OrderingPrinciple in Othoepist) published in 1678. He studied on Shao Yong(1011-1077)'s the HuangjiJingshi(皇極經世, Book of supreme world ordering principles) and applied it to Korean alphabet. He accepted that Five Elements related to 17 consonants and he added final consonants inKorean alphabets also relate to Five Elements. Velar sound, Lingual sound, Lavial sound, Dentalsound, Guttural sound in Korean alphabets linked to Five Elements. He reconstructed to 'the chartof 17 sounds distribution on consonants'. He added 12 simple final consonants and 4 complexconsonants. This idea interpreted the meaning of Korean alphabet matching Five Elements. Korean vowel 'a' is the first vowel of mixing of Yin and Yang and 'a' devide into 'Euiㅡ' and'Yiㅣ'. 'Euiㅡ' expends to 'aㅏ, yaㅑ, eaㅓ, yeaㅕ' and 'Yiㅣ' expends to 'Oㅗ, yoㅛ, wooㅜ, yuㅠ'. This idea originated from the principle of Huangji Jingshi(皇極經世) by Shao Yong. He classified to Tone and Sound. The Tone classified to Even tone, Upper tone, Higher tone,Short tone. He arranged tones from first tone to 8th tone. While the Sound classified to Opensound, Exposing sound, Contracted sound, Closed sound. The Tone has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Thick. The variation of Yin and Yang apply to Koreanalphabet, for example, one clarity(Yang)+one clarity(Yang)=two thicks(Yin). This rule apply to "ㄱ(Yang) + ㄱ(Yang) = ㄲ(Yin) ㄷ(Yang)+ ㄷ(Yang)=ㄸ(Yin)". The Sound has the principle of Open and Join. The Korean alphabet 11 vowels expend tocombine vowels such as "aㅏ, wa ㅘ, o ㅗ, ae ㅐ, waei ㅙ, waeㅚ, yaㅑ, aeㅒ, eaㅓ, woaㅝ, eㅔ, waei ㅞ, yea ㅕ, aei ㅖ". Even though he apply to Chinese philosophy, he shows the superiority of Korean alphabets.

      • KCI등재
      • 조선시대 유교의 童蒙 교육

        이희재 한국공자학회 2009 공자학 Vol.16 No.-

        During the Chosun period, children older than six were expected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to begin reading the Confucian dogma. They used Chonjamoon千字文 the Thousand-Character Text and Ryuhab類合. After the age of ten, gender-specific schooling began; boys entered private schools and girls learned at home. The initial training used cramming and rote memory work. This required the children to have a very good attitude toward this intensive reading, writing, and memorization regime. The texts themselves contained the Confucian teachings on moral rules and the Five Human Relations. These relations covered master and servant, parent and child, husband and wife, siblings and friends. From these daily studies, the children learned correct propriety. It was extremely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model this conformity for the students. The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could then hope to move toward the Confucian ideal. Another important part of this training was performance of rituals. Some observances were performed at Confucian shrines to the sages, while other memorial ceremonies for ancestors were held at home. This process naturally inculcated Confucian manners and behaviors. As Korea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this Chosun-style education gave way to an educational system that has kept only the efforts to learn Chinese characters. The essential Confucian propriety is being lost in the 21st century. 동몽이란 어린이를 의미한다. 어린이에 대한 용어는 태어나 얼마 되지 않은 아이를 영아(嬰兒), 3세까지를 소아(小兒), 10세까지를 동자(童子), 15세까지를 성동(成童)이라 구분하였다. 동몽이란 3세 이상 15세까지를 이르는 것으로 아동과 같은 의미의 단어이다. 동몽(童蒙)교육의 가장 가까운 목표는 문자를 익히는 일이다. 문자교육용으로 천자문은 중국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한자교재이고, 『유합(類合)』은 한국의 실제 생활속에 쓰이는 한자교육 교재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최세진의 『훈몽자회(訓蒙字會)』나 정약용의 『아학편(兒學篇)』 등이 있지만 널리 보편적으로 보급된 것은 아니다. 문자교육이 어느 정도 달성되면 비로소 이 문자들을 활용해서 경전교육이나 예절교육 등의 과정으로 나아가게 했다. 동몽(童蒙)의 교육자료인 『소학』이나 『격몽요결』 혹은 『사소절』에 등장하는 교육내용은 세속적 명리를 추구하는 출세지향적인 내용은 거의 없다. 성인을 본 받아서 모든 행동거지가 예의에 입각해야 한다는 것으로 오늘의 입장에서 보자면 유교적 예절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공식적 학교인 향교에서는 공자를 위시한 중국의 유교 성인과 한국의 소위 동방 18현이 사범이 되었으나 학교에 입학하지 않은 동몽(童蒙)들에게는 그런 제사 참여는 면제되었다. 그러나 집안에서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기제사 등이야말로 부모를 존중하고 조상을 섬기는 하나의 살아있는 교육적 과정중의 하나가 되었다. 제사일이 다가오면 경건하게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음식과 술을 준비해서 어른 섬기는 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하도록 했던 것이다. 또한 효행등을 실천한 이상적인 인간을 소개하여 교육자료로 삼고 본 받도록 했다. 『삼강행실도』 나 『오륜행실도』에는 우리나라와 중국 서적에서 군신(君臣), 부자(父子), 부부(夫婦) 등 삼강과 오륜에 모범이 될 만한 인물들을 다시 말해서 충신, 효자, 열녀를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발간하여 이들을 칭송한 것이다. 이것은 동몽(童蒙)을 비롯해서 국민교육을 위한 윤리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Physiology and Growth of Transgenic Tobacco Plants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Protoporphyrinogen Oxidase Gene in Response to Oxyfluorfen Treatment

        이희재,국용인,정정성,이성범,최규환,한옥수,구자옥,Lee, J.J.,Kuk, Y.I.,Chung, J.S.,Lee, S.B.,Choi, K.W.,Han, O.S.,Guh, J.O. 한국잡초학회 1998 Weed&Turfgrass Science Vol.18 No.3

        Bacillus subtilis protoporphyrinogen oxidase 유전자를 Agrobacterium을 매개체로 이용하여 전이 시킨 후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하에서 발현케 한 형질전환 담배를 유기하였다. 이러한 형질전환 담배의 diphenyl ether계 제초제 oxfluorfen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여러 환경 조건에서의 생장 반응을 재배종 담배와 비교하였다. Oxyfluorfen의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세포내 구성물질의 누출과 지질과산화작용은 재배종 담배에서보다 형질전환 담배에서 더 작게 이루어졌다. 형질전환 담배의 생장을 여러 온도, 광도 및 수분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 저광도와 포화수분 조건에서의 생장이 재배종 담배에 비해 다소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을 뿐 기타 조건에서의 생장은 재배종 담배의 생장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B. subtilis protoporphyrinogen oxidase 유전자를 전이시켜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하에서 발현케 한 형질전환 담배는 oxyfluorfen에 대해 비교적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형질전환에 따른 생장 변화는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형질전환 담배의 oxyfluorfen에 대한 저항성 기작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transgenic tobacco (Nicotiana tabacum cv. Xanthi) plants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protoporphyrinogen oxidase gene with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 have recently been generated by using Agrobacterium-mediated gene transformation. The nontransgenic and the transgenic tobacco plant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responses to diphenyl ether herbicide oxyfluorfen and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Both cellular leakage and lipid peroxidation caused by oxyfluorfen were found to be less in the transgenic than in the nontransgenic plants. Growth responses of the transgenic plants under various temperature, light, and water condition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nontransgenic plants, although the transgenic plants exhibited slightly more retarded growth under low light or saturated water condit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nsgenic tobacco plants containing B. subtilis protoporphyrinogen oxidase gene under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 were relatively resistant to oxyfluorfen and exhibited normal growth pattern. Possible mechanism of resistance to oxyfluorfen in the transgenic plants is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