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세구조물 금형가공을 위한 총형공구에 관한 연구

        이희관,김연술,김도형,노상흡,양균의,Lee, Hi-Koan,Kim, Yeun-Sul,Kim, Do-Hyung,Roh, Sang-Heup,Yang, Gyun-Eui 한국기계가공학회 2003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 No.4

        This paper presents the formed tool to machine a milli-structure mold. The formed tool is used to machine the geometrical shape of bearing rubber seal for precision machining. The bearing rubber seal has milli-sized complex geometry.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chine the unique shape exactly by the conventional tool, the formed tool is used in machining die of the bearing seal. In this paper, it is performed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the formed tool; tool wear, cutting force and machined surface roughness. Tool wear increases rapidly with clearance angle Increase. Thus, the dimension accuracy is affected by the clearance angle.

      • KCI등재후보

        高麗前期 靑磁에 있어서 蒲柳水禽文의 流行과 그 背景

        이희관 국립중앙박물관 2001 미술자료 Vol.- No.67

        In the following essay, 1 will discuss about a few significant elements to lead the popularity of the reed and duck design in the early Goryeo celadons.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at the reed and duck design was profoundly relevant to the Buddhism, particularlyto Avalokitesvara(觀音善薩) and Cheontae Sects(天台宗). Based on the thematic and stylistic similarity between the bird and flower design of a Heungwang-sa bronze celadon with inlaid silver from the Heam Collection and the reed and duck design, the reed and duck design seemed to be particularly related to the Avalokitesvara sect. Probably, the people of the Goryeo period believed that the water side depicted in this design was Potalaka, the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Since this design was not found in contemporary Chinese Buddhist celadons, the reed and duck design seem to be a unique expression of Goryeo Buddhist celadons. Since Avalokitesvara sect found its main doctrine in the Lotus Sutra, it is possible that the reed and duck design had been inspired by the Lotus Sutra A Japanese copy of the Lotus sutra embellished with the reed and duck design from the Heian period confirms the above discussed argument. The Lotus sutra was also the main Buddhist script of Cheontae Sect that was increasingly popularized in the early Goryeo religious society. In fact, Cheontae sect had a intimate religious connection with Avalokitesvara sect. The advent of Cheontae Sect in the Goryeo period must have brought about the popularity of the reed and duck design as a decorative element for celadons. However, the high ranking aristocracy in the Goryeo period did not favor this design because they perceived the province modelled for the pictorial model of the reed and duck design as political, economic, social decadence for them. I believe that in such a circumstance, the reed and duck design was only incised in Buddhist celadons, rather than those for daily use.

      • KCI등재후보

        송대관요 연구 서설 : 『坦齋筆衡』과 『負暄雜錄』 “窯器” 관련 기록의 사료적 검토

        이희관 국립중앙박물관 2015 미술자료 Vol.- No.88

        송대관요와 관련된 가장 풍부한 내용을 전하는 기록은 남송시기에 찬술된 葉 의 『坦齋筆衡』과 顧文薦의 『負暄雜錄』의 “窯器” 관련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탄재필형』과 『부훤잡록』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두 문헌의 “窯器” 관련 기록은 각각 元末에 陶宗儀가 찬한 『南村輟耕錄』과 『說郛』에 실려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두 기록은 동일한 계통의것으로서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초록한 것이다. 연구자들 가운데 한 부류는 고문천이 섭치의 기록을 초록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탄재필형』의 “窯器” 관련 기록이 原文이라는 이야기가 되는 셈이다. 하지만 다른 한 부류의 연구자들은 도종의의 『남촌철경록』에 인용된 “窯器” 관련 기록이 사실은 『부훤잡록』에서 옮긴 것이라고 주장 한다. 이 경우에는 『부훤잡록』의 “窯器” 관련 기록이 원문이라는 이야기가 되는 셈이다. 그런데 문제의 “窯器” 관련 기록처럼 상호 초록 관계에 있는 고대 문헌기록의 경우, 초록의 대상이 된 쪽과 초록한 쪽을 비교해보면, 字句上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있는 경우를 흔히 발견할 수 있는데, 양자의 차이를 면밀하게 분석해 보면 경우에 따라 어느 쪽이 초록의 대상(原文)이고 어느 쪽이 그것을 초록한 쪽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두 기록의 차이를 분석할 경우, 고문천이 섭치의 기록을 초록하였을 가능성이 지극히 높다. 게다가 그는 초록 과정에서 원문을 훼손하는 잘못을 범하기까지 하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때, 『탄재필형』의 “窯器” 관련 기록은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반면, 『부훤잡록』의 그것은 사료적 가치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송대관요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중시해야 할 사료가 전자라는 것은 다시 말할 나위조차 없다. It is known that the records that provide the most abundant contents related to the Guan kilns and wares of the Song dynasty are those of “Yaoqi” in Yezhi(葉寘)'s Tan Zhai Bi Heng and Guwenjian(顧文薦)'s Fu Xuan Za Lu compiled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Unfortunately, however, the originals of Tan Zhai Bi Heng and Fu Xuan Za Lu have not been passed down. Records of "Yaoqi" in the two documents have been passed down until today in Nan Cun Chuo Geng Lu (『南村輟耕錄』) and Shuo Fu(『說郛』) compiled by Taozongyi(陶宗儀) in the late Yuan dynasty. The two records are in the same line, with one of them copied from the other. Some researchers claim that Guwenjian copied from Yezhi's record. In this case, the record of “Yaoqi” in Tan Zhai Bi Heng is the original. However, other researchers claim that the record of “Yaoqi” cited in Taozongyi's Nan Cun Chuo Geng Lu is in fact copied from Fu Xuan Za Lu. In this case, the record of “Yaoqi” in Fu Xuan Za Lu is the original. But in the case of ancient records mutually copied like the records of “Yaoqi”, the copied text and the original text frequently show small and big differences in terms of word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y discover a clue that can distinguish which one is the copied text and which one is the original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If the differences of the two records are analyzed in this perspective, it is highly likely that Guwenjian may have copied Yezhi's records. Moreover, it seems that he may have damaged the original in the copying process. In this perspective, record of “Yaoqi” in Tan Zhai Bi Heng has high historical value, while that of Fu Xuan Za Lu do not. Needless to say, the former is the historical source that we must value in studying the Guan kilns and wares of the Song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唐宋時期 越窯 가마의 구조와 그 특징 : 고려시기 청자 가마 구조의 파악을 위한 전제

        이희관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본고에서는 당송시기의 월요 가마 가운데 대표적인 몇 기의 가마의 구조를 살펴보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이 시기 월요 가마의 규모와 경사도 그리고 排煙室의 구조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의를 통하여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당송시기에 월요에서 청자를 소성한 가마는 모두 龍窯로서, 일반적으로 그 길이는 40m대이고, 폭은 2m대였다. 그 이전 시기의 용요와 비교하여 폭은 거의 동일한 반면, 길이는 크게 길어졌다. 월요에서는 이렇게 규모가 큰 용요를 운용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화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한 가마에서 여러 요업 관련 경영단위의 기물을 소성하여 가마의 가동률을 높였다. 이 시기의 용요의 경사도는 그 이전 시기의 그것보다 낮아졌다. 그것은 경사도가 낮아진 만큼 용요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연소실과 배연구의 고도차가 커짐으로서 청자를 燒成하기에 충분한 화염의 抽引力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용요는 소성실의 꼬리부분의 경사도가 중간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였는데, 그것은 환원소성 단계에서 화염을 더 오랜 시간 가마 안에 머물게 하고 아울러 가마 안의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담청록색의 純精한 秘色瓷는 이러한 환원소성 단계를 거쳐 생산되었다. 이제까지 고대의 용요는 자기를 소성하는 데 있어서 연소실과 배연구의 고도차에 따른 자연 추인력을 이용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근래 용요의 경우도, 북방지역의 馬蹄形窯와 마찬가지로, 연통을 설치하여 그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인력을 이용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그 논리적·고고학적 근거 등을 자세히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까지 알려진 당송시기의 용요에서 연통이 설치되었음이 확인된 실례는 전혀 찾을 수 없다. 이는 이 시기의 용요에 연통이 설치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한다. 한편, 다 아는 바와 같이, 고려청자 가마의 뿌리는 월요의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월요의 가마 구조에 대한 이해는 고려청자 가마의 구조적 특징 및 전개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전제가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some of the representative kilns of Wue Zhou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on that basis, reviewed the size, slope and structure of the chimney (排煙室) of those kilns. The discussion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kilns that fired celadon in Wue Zhou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ere all dragon-shaped kilns (龍窯), generally having a length between 40 and 50m and a width between 2 and 3m. Compared to the dragon-shaped kilns in the previous period, the width remained almost the same but the l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peration of such large dragon-shaped kilns in Wue Zhou made mass production of celadon possible and increased the thermal power efficiency. In addition, a single kiln fired the pottery items made by several different ceramics industrial management units,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kiln. During this period, the slope of the dragon-shaped kilns declined than the previous periods. As the length of the dragon-shaped kilns, which was extended as the slope was lowered, there was a growing gap in height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ole of the chimney. Therefore, it was able to get enough pulling capacity of the flame to fire celadon. The slope of the tail part of the firing chamber in the dragon-shaped kilns in this period was relatively gentler than that of the middle part, which aimed to keep the flame longer at the reduction firing step and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s. The pure Mise wares (秘色瓷) of light blue-green color were created through this reduction firing step.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ncient dragon-shaped kilns used natural pulling capacity depending o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ole of the chimney to fire celadon. However, a new opinion has been raised that the dragon-shaped kilns would use the pulling capacity created by smokestacks, which might be installed like the horse,s hoof shaped kilns (馬蹄形窯) in the northern region. However, the opinion is concluded to have a low validit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logical and archeological grounds. There are absolutely no examples confirming that smokestacks were installed in the identified dragon-shaped kilns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is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vidence that shows that smokestacks were not installed in the dragon-shaped kilns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汝窯와 이른바 汝官窯 - 여요의 성격과 관련된 논의의 역정

        이희관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2

        The Ru ware is a representative and renowned Chinese porcelain. Some people call this Ru ware Ruguan ware. The Ruguan ware probably means the official ware made in Ruzhou (汝州). It was Percival David who originally presented the view that Ru ware had the nature of an official ware. His assertion was suggested in his thesis, “A Commentary on Ju Ware” published in 1937. What he presented as core base material was a roundshaped test piece (輪形火照)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大觀元年).” However, he did not call the Ru ware Ruguan ware. It wan was Koyama Fujio (小山富士夫) who made the name of Ruguan ware. Koyama Fujio perceived Northern celadon as Ru ware, but he admitted that he was wrong after he read the thesis of Percival David. Nonetheless, instead of discarding his view, he gave the new name of “Ruguan ware” to the ware which Percival David had designated as Ru ware. However, the name of Ruguan ware lost the ground for its existence, as the roundshaped test piece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was revealed as an imitation. And thus, the name of Ruguan ware used until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discovered was just nominal. As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found in 1986, the theory of the official ware emerged again, centered on the view that the Ru kiln is Northern Song official kiln.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granting objective validity to the name of Ruguan ware. The reason is that many researchers hold an opposition to the theory of official ware. My basic view is that the emergence of the name of Ruguan ware rather have caused just some confusion to the research of Ru ware. Since the Ru kiln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Northern Song, the name of the kiln site was Ru kiln. After the name of Ruguan ware appeared with a doubtful reason in the 20th century, confusion surrounding the concept and name of the Ru ware began. I think there is a need to return the name of Ru ware, which is the original name, abolishing the name of Ruguan ware whose objective validity was not secured. 汝窯는 중국의 대표적인 名窯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여요를 가리켜汝官窯로 칭한다. 여관요는 汝州에 위치한 官窯라는 의미일 것이다. 여요가 관요의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견해를 처음 제출한 사람은 Percival David이다. 그의 주장은1937년에 발표된 논문 “A Commentary on Ju Ware”에 담겨 있다. 그가 핵심적인근거 자료로 제시한 것은 “大觀元年”銘輪形火照였다. 그렇지만 그는 여요를 여관요로칭하지 않았다. 여관요라는 명칭을 만들어낸 사람은 小山富士夫였다. 당시 그는 이른바北方靑瓷를 여요자기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Percival David의 논문을 접한 후 사실상자신의 견해가 틀렸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견해를 폐기하는 대신 Percival David가 여요자기로 지목한 자기에 여관요자기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그러나 그 후 “大觀元年”銘輪形火照가 위조품으로 밝혀짐으로써 사실상 “여관요”라는명칭은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부터 淸凉寺汝窯址가 발견될무렵까지 사용된 “여관요”라는 명칭은 사실상 形骸化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86년에청량사여요지가 발견되면서 여요가 곧 北宋官窯라는 견해를 중심으로 官窯說이다시 부상하였지만, 그것이 “여관요”라는 명칭에 객관적 타당성을 부여해 주었다고보기는 힘들다. 많은 연구자들이 관요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관요”라는 명칭의 출현이 오히려 여요 연구상에 혼란을 야기했을 뿐이라는 것이 필자의기본적인 생각이다. 북송말기에 여요가 성립되고부터 줄곧 이 窯場의 명칭은 “여요”였다. 20세기에접어들어 석연치 않은 계기로 “여관요”라는 명칭이 출현한 이후 여요의 개념과 명칭을둘러싼 혼란이 시작되었다. 이제 객관적 타당성이 담보되지 않은 “여관요”라는 명칭을버리고, 아울러 여요에게 본래의 명칭, 즉 “여요”라는 명칭을 되돌려줄 필요가 있다고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