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PS 마커를 이용한 국내 개발 양송이 품종 구분

        이화용,안혜진,오연이,장갑열,정종욱,Lee, Hwa-Yong,An, Hyejin,Oh, Youn-Lee,Jang, Kab-Yeul,Chung, Jong-Wook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4

        The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uses a restriction enzyme recognition site resulting from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insertions and deletions on the DNA sequence.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expensive equipment, the process is simple, and clear results can be obtained reliably. In this study, Agaricus bisporus cultivars SaeA, SaeDo, SaeHan, SaeYeon, SaeJeong, Dodam, Seolgang, Dahyang, Hogam, and Hadam developed in Korea were discriminated using four CAPS markers. Our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ten cultivars and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among them.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국내에서 개발된 10개의 양송이 품종을 CAPS 마커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An 등(2021)이 개발한 CAPS 마커 AB-gCAPs-017, AB-gCAPs-047, AB-gCAPs-055, AB-gCAPs-071을 이용하여 새아, 새도, 새한, 새연, 새정, 도담, 설강, 다향, 호감, 하담을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개발 양송이 품종에 대하여 품종간의 구별성과 유전적 다양성을 부여하여 품종보호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thuringiensis C25,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for sclerotia-forming fungal phytopathogens

        이화용,원경호,김윤경,조민,김강민,류호진,Lee, Hwa-Yong,Won, Kyungho,Kim, Yoon-Kyeong,Cho, Min,Kim, Kangmin,Ryu, Hoji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3

        생물학적방제 효과가 뛰어난 Bacillus thuringiensis C25 균주의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균주는 5,308,062 bp, G+C 비율 35.32%의 염색체와 308,946 bp, 32.23% G+C 함량이 포함된 plasmid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색체와 plasmid DNA에 예측된 유전자의 총 수는 5,683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와 107개 tRNA 그리고 42개의 rRNA였다. We here provide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thuringiensis C25, the strain showing antagonistic effects on fungal phytopathogens. The genome comprised of 5,308,062 bp with 35.32% G+C content of a circular chromosome and a plasmid containing 308,946 bp with 32.23% G+C content. The chromosome and plasmid genome included 5,683 protein coding DNA sequences, 107 tRNA and 42 rRNA genes.

      • KCI등재
      • KCI등재

        교회와 주권, 보편성(universitas):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이화용 ( Hwa Yong Lee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02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10

        The conciliar movement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marked an assault on the papal claim of `plenitude of power` (`plenitudeo potestatis`) or papal monarchy. In order to settle the Great Western Schism, the movement adopted the idea of conciliarism, which had been suggested by Marsilius of Padua in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theorization of conciliarism in Marsilius`s thought and its implicatons. According to Marsilius, the pope is the real disturber of peace and order in this world, because even though priests in general cannot have coercive jurisdiction, the pope claims to possess and exercise it. Marsilius`s assertion of the priest`s lack of jurisdictional power extends his denial of the hierarchical order in which the pope is the head of the church. Moreover, Marsilius maintains that historically speaking, papal authority was granted by the emperor. This argument is backed up by Marsilisu`s explanations about the `Donation of Constantine` and `Translatio Imperii`. In this way, Marsilius`s understanding of conciliarism is shown in his opposition to the exercise of the pope`s power within and outside the church. However, the core of Marsilius`s idea of conciliarism does not lie in restraining the pope`s power nor in enhancing the emperor`s authority but in edmonstrating that the sovereign power of the church is held by the whole body of the beliebers. It is further manifested in Marsilius`s idea of the general council, which is composed of all Christians and makes decisions with regard to church matters. In sum, Marsilius`s idea of conciliarism implies that the whole body of believers is right and therefore more powerful than any other persons in the ecclesiastical domain.

      • KCI등재
      • KCI등재

        유엔과 민주주의: 유엔 개혁을 중심으로

        이화용 ( Hwa-yong Lee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4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0 No.2

        근자들어 국제기구의 민주화 문제가 관심을 갖고 논의되고 있다. 지구화로 인해 다양한 지구적 문제가 부상하면서, 영향력 있는 주요 결정들을 하는 국제기구의 민주적 거버넌스와 운영 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창설 초기부터 여러 비판을 받아온 유엔 역시 이러한 논의에서 예외가 되지 못한다. 지속적인 개혁안들을 통해 유엔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유엔은 민주적 결핍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였고 개혁의 시도도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유엔 개혁에 초점을 맞추어 유엔이 새롭게 거듭나고 평화 유지라는 본래의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 유엔이 민주주의 원리에 주목할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유엔의 민주화란 책무성과 대표성의 실현을 의미함을 밝히고 유엔에서 이런 의미의 민주주의가 필요한 근거와 타당성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유엔 민주화를 위해 강대국 중심의 국가체제 정치에서 벗어나 정책 결정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감시 역할을 제도화하는 책무성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그러나 한편 시민사회가 이러한 역할을 맡기 위해서는 시민사회 스스로 대표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역량과 가치를 갖추고 있어야 함도 잊지 않아야 한다. The issue of democratiz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s received attention recently. As globalization has caused global problems, democratic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s required. It is especially so in the UN, a core of global governance. There have been constant efforts to reform the UN, but the UN has been criticised in many respects. In this paper, I intend to suggest democracy as the principle for making the UN reforms. To this end, I elaborate on the normative explanation about the necessity and rationale of democratization of the UN. I argue that for the UN, a political space in which to make influential decisions in global level, to be accountable to them and hence to maintain legitimacy, democracy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many skeptics claim that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should be given priority in decision-making in the U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at lack accountability and ignore public good is less likely to contribute to peace and security. Suggesting that the UN seek various ways for making it representative and accountable, I intend to argue that civil society or NGOs may be a catalyst for the UN to be so. The civil society is to be more actively intervened in the UN`s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inspect it. To this end, the UN needs to have the accountability mechanism in which civil society has the initiative and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UN`s tasks. In this context, it may be expected that in the UN, political participation or decision-making would be no longer the exclusive province of high politics.

      • KCI우수등재

        마르실리우스(Marsilius of Padua)의 정치대표론

        이화용(Hwa-Yong Lee)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4

        본 논문은 14세기 이탈리아 사상가 마르실리우스의 정치대표 개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대의제의 이론화는 유럽의 근대 대의정치이론에 크게 의존하여 대의정치의 이론적 핵심을 피대표자와 대표자의 두 정치적 행위자 사이의 관계로 파악한다. 그러나 오늘날 두 정치 행위자들의 관계 설정에만 초점을 두는 대의정치는 단순히 특정 이해 혹은 정권을 효율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하나의 기제로 전락해 버린 경향이 있다. 본문에서 필자는 두 정치 행위자간의 관계 자체보다는 이 관계를 성립케 하는 ‘권력전이(the transfer of power)’ 에 주목하는 마르실리우스의 정치대표 개념을 통해 공적 행위체로 서의 대의제 이해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한 시각을 보여주고자 했다. 마르실리우스는 대표자의 설정, 대의정치의 함의는 정치 주권자(시민) 권력의 상실이 아닌 일시적 권력전이에 있으며 시민에 의한 지배는 언제든지 보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인민, 시민세력의 탈정치화와 비권위화를 거부하는 마르실리우스의 정치대표 개념이 줄 수 있는 현대적 의미를 짚어본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how the theory of political representation was articulated in Marsilius, a fourteenth-century Italian thinker. The theorization of political representation today sees political representation as a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Using this understanding, the main emphasi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today is narrowed to technical issues like effectively pursuing particular interests and election as a means of the allotting of power. In contrast, I argue that Marsilius provides us with a perspective from which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reconsider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political representation. That is, Marsilius's conception of political representation with a focus on the transfer of power demonstrates that appointing representatives does not mean the cancellation of the people's power but a temporary grant of power and that the political authority and power always remain in the people.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n modern democratic societies, in which the people's formal authority becomes increasingly notional, Marsilius's conception of political representation can in practice offer a coherent alternative approach to making political representation an effective scheme of public action on behalf of the whole people.

      • KCI등재후보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용(Hwa-Yong Lee),장영철(Young-Chul Cha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0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8 No.4

        21세기에 들어가면서 조직이 더욱 복잡하고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환경에 직면하면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기업이 유연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인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리더십과는 다른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을 추구하고 있다. 감성지능에 기반을 둔 감성리더십이 새로운 조류 리더십의 하나로 점차 주목을 받고 있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하겠다. Daniel Goleman의 "감성지능"이라는 베스트셀러의 출간을 계기로 감성지능이 사회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리더의 감성지능과 업무현장에서의 유효성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뒤따르고 있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최고 경영층의 뛰어난 업적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85% 이상이 감성능력이 좌우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감성지능은 학문적인 지식이나 소위 IQ로 측정되는 순수한 인지적 능력과는 구분되나 서로 보완적이라고 밝혀지고 있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통하여 이미 잘 알려진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다는 사실과 아울러 우리나라 기업 현장에서의 감성지능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배경을 근간으로 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소재한 외자계 기업과 국내기업에 근무하는 432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리더의 감성지능이 조직의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감성지능의 수준에 따른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조절변수로서의 리더의 감성지능의 상, 하 집단 수준에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가 인지하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 research shows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proved as key influential factor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emotion at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The total of 55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 companies and 432 questionnaire were analyzed out of 449 copies collected.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 of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re prove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is proved to be doing a different moderating role based on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 critical role in leadership effectiveness which is crucial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ough this study contributed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t has some limits; First, research tool for emotional intelligence is one of limitations. There is no official tool in Korea and direct use of foreign tool may have some bia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Secondly, assess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generally conducted either self assessment or multi rater feedback. Whereas this research assessment on EI was done by direct reports of the leader, which the perceived EI of leader can be different compared with leader's self assessment.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양식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안

        이화용(Hwa-Yong LEE),임태훈(Tai-Hun IM),강형구(Hyoung-Goo KANG),한병석(Byung-Suk HAN)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4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6 No.2

        Aquaculture is a very important growth industry that can provide us with stable food supply and overcome fish species depletion.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entered on technology development rather than on how to accurately categorize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provide it in economic term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the aquaculture industry, strategic fish species are selected and provided through the BCG Matrix method to clarify the economic aspects of vitalization of star fish species, expansion of cash cow fish species, challenges for the government to move star fish species such as fish species located in question marks, company case studies, accurate reporting obligations to reduce asymmetry of information on fish farmers, and support for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