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산 물두꺼비(Bufo stejnegeri : 무미목 , 두꺼비과)염색체의 인형성부위에 대한 개체간 및 개체내 변이

        이혜영,박창신 한국유전학회 1989 Genes & Genomics Vol.11 No.3

        The distribution of the nucleolus organizer regions (NORs) on the chromosomes of 10 individuals of Bufo stejnegeri (Anura, Bufonidae) was investigated by conventional and NORs-staining analysis. 1. Seven individuals exhibit one pair of NORs on the long arm of the chromosome pair 6 (standard form). 2. The one individual had a pericentric inversion on chromosome bearing NORs, whereby a large part of the NORs translocated in an telomeric position on the short arm. Therefore, a trace of original NORs remained an original terminal position on the long arm. Only one of the largest homologues had additional small NORs in the interstitial region of short arm. The possible explanation is the mechanism of translocation and segmentation (or fragmentation) in the NORs cluster (varied form I). 3. The two individuals exhibit inter- and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number, position and size of the NORs. The mechanisms of these variation were explained by translocation and segmentation (or fragmentation) of NORs (varied form II).

      • KCI등재

        장자의 ‘물성생리(物成生理)’와 이이의 ‘기발리승(氣發理乘)’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

        이혜영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1 No.-

        본고는 장자(莊子)에서 나타나고 있는 ‘물성생리(物成生理)’와 이이의 ‘기발리승(氣發理乘)’이 각각 존재 생성에 대한 서술로서 공통점이 있음에 착안하여 각각에서 드러나는 사물의 본체와 작용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이다. 논자는 장자의‘물성생리’와 이이의 ‘기발리승’ 각각이 본체와 현상 간의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도가와 유가의 존재론적 사유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본다. 즉 장자와 이이는 만물의존재에 대한 생성론적 관점으로서 ‘물성생리’와 ‘기발리승’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유는 보편적이고 초월적인 본체와 개별적이고 특수한 현상이 서로를 포괄하고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사유는 존재의 궁극적인 지향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심재(心齋)’와 ‘신독(愼 獨)’으로 대별되는 수양론적 특질에서 확인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장자가 추구하는도는 ‘제물(齊物)’의 상태를 가리킨다는 측면에서 이는 자연주의적 존재론에 기반한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발리승’의 사유는 심신의 단속을 통해 도덕 본체를 외재화하려는 노력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무위자연으로 드러나는 도의 경향성은 자연주의로 귀결되고, 기질을 극복하고 순선한 리를 획득하려는 노력은 도덕 수양론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각 사유에서 드러나는 본체와 작용의 결합 양상을 살펴본 후, 이들사유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사유에서 드러나는 존재론의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 논문의 주제어를 통한 학술연구분야 관계분석

        이혜영,곽승진,Lee, Hye-Young,Kwak, Seung-J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인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학문분야의 상호관계성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로 연구동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술논문을 이용한 계량적 연구는 주로 논문의 초록, 자동추출 키워드, 논문의 풀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는 실험대상 학술논문의 저자가 제시한 주제어에 초점을 두었다. 실험대상 자료는 2009년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80종으로 학술논문 7,616건, 주제어 58,143건이다. 자료 분석결과 공학, 농수해양, 복합학, 사회, 예술체육, 의약학, 인문, 자연과학 등의 8개 각 연구분야는 주제어 사용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공학분야의 주제어가 다른 연구 분야에서도 주제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주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분야를 클러스터링 한 결과, 3개 클러스터를 얻을 수 있었다. 클러스터A는 '공학', '자연과학', '사회', '복합학', '인문', 클러스터B는 '의약학', '예술체육', 클러스터C는 '농수해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among research areas based on domestic journal papers, achievements of korea researchers. Generally, the content of papers is appeared through abstracts, subjects, full-text and so on. This paper is focused on subject terms of Domestic journal papers. The experimental data are 80 domestic journals, 7,616 papers and 58,143 subject terms and papers published in 2009. As the result, it was different to use subject terms on each research area: Engineering, Agriculture & Oceanography, Interdisciplinary Science, Social Science, Arts & Physical Education, Medicine & Pharmacology,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Subject terms of Engineering have used the most in the other research areas in aspect of term co-occurrence. The 8 research areas were grouped in 3 clusters: C1(Engineering,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Interdisciplinary Science, Humanities), C2(Medicine & Pharmacology, Arts & Physical Education), and C3(Agriculture & Oceanography).

      • KCI등재

        제인 오스틴 소설을 통해서 본 19세기 영국 성직자의 모습

        이혜영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과 『맨스필드 장원』의 성직자 인물들을 중심으로 19세기 초반 영국 성직자의 모습과 종교적 분위기를 살펴보 고자 한다.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성직자의 전형인 『오만과 편견』의 윌리엄 콜린즈 목사에 대한 풍자를 통해 작가는 도덕적 해이에 빠져 세속화된 목사들의 타락상을 비판하고 교회의 도덕적 각성을 요구하고 있다. 『맨스필드 장원』에서 오스틴은 도덕성과 소명의식, 사회적 책임감을 갖춘 에드먼드 버트람이라는 바람직한 성직자 상을 형상화함으로써 복음주의 운동으로 불붙여진 성직 쇄신과 교회의 정화에 대한 당대의 사회적 요구를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아울러 작가는 두 성직자 인물들의 대조적인 가정생활의 성격을 통하여 성직자로서의 자질과 사적 영역인 가정생활의 행복 간의 밀접한 관계에 대하여서도 깊은 관심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image of the clergyman and the religious atmospher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ain as reflected in Jane Austen’s novels. In Pride and Prejudice, Rev. Collins represents a self-serving and irresponsible clergyman of the ‘age of spiritual negligence.’ Through the satire of this false clergyman, Austen calls for the moral awakening of the Church. Mansfield Park reflects the strong social demand for the reformation of the clergy and the church at Austen’s time. For instance, Edmund Bertram embodies the best clerical figure in Austen’s novels, with qualities like high morality, a strong sense of vocation, and a strict work ethic. In these two novels, Austen also explor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a clergyman in the public realm and the happiness of his private domestic life.

      • SCOPUSKCI등재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염색체의 인형부위(NORs)다양성에 관하여

        이혜영,차선호 한국유전학회 1995 Genes & Genomics Vol.17 No.2

        The chromosome constitutions of 106 individuals of Hynobius Ieechii collected from 17 localities in Korea were analyzed by Giemsa and Ag-NOR staining methods. The chromosome number of most of the individuals was 56 with AN number of 94. The size of NORs was homomorphic or heteromorphic pair at the tip of centromere of No. 23 chromosomes in 59 out of 106 individuals. The rest exhibited a high level of variation in number and site of NORs, but there was no intra-individual variation. All specimens from 4 (Hadong, Kurye, Chisan, Yangpyong) out of 17 populations had NORs on No. 23 chromosome, while many specimens from the rest of the populations had NORs variations with the rate of 44%. The mechanisms of NORs variation were explained by translocation and pericentric inversion of the parts of NORs, insertion of amplified 18S+28S rRNA gene segment and Ag-NOR staining effect that stain only real NORs in a species. Especially, all the specimens from Yangsan showed that the site of NORs was located at a little below the centromere on No. 23 chromosome, which caused by pericentric inversion.

      • SCIESCOPUSKCI등재

        포리포리파제 D 의 정제 및 활성화 부위 특성연구

        이혜영,최명언,고은희 ( Hay Young Lee,Myung Un Choi,Eun Hie Koh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9 BMB Reports Vol.22 No.4

        Phospholipase D has been partially purified from an acetone powder of savoy cabbage in an overall yield of 10%. The purification involves gel filtration on Sephadex G-200, 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and hydrophobic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γ-aminopropane agarose gel. The purity of about 80% and molecular weight of 89,000 were estimated on the basis of gel electrophoresis.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partially purified enzyme was 428 μmole/min/㎎ protein in MES buffer, pH 6.3, containing 4 mM phosphatidylcholine, 2 mM SDS and 10 mM CaCl₂ at 37℃. Calcium ion is essential to the enzyme activity but is not involved in the heat stability of the enzyme. To characterize the active site of the enzyme, the following chemicals were examined; N-ethylmaleimide, p-chloromercuribenzoate, p-bromophenacylbromide, and diethylpyrocarbonate. The enzymatic activity was lost completely by cysteine group modifying reage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t least one histidine group in the active site.

      • KCI등재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 기반 이미지 태깅 시스템 구축 연구

        이혜영,장윤금,Lee, Hyeyoung,Chang, Yunkeum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접근 및 검색을 향상시키고, 이미지에 대한 설명 제공 도구로서의 태그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태그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인 휴먼 태깅과 머신 태깅의 특징을 조사하고 휴먼 태그와 머신 태그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머신 태그는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특정적 속성과 시각적 요소는 일부 나타났고, 추상적 속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휴먼 태그도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나 휴먼 태그 생성자가 명칭을 알 수 있는 객체 및 장면에 대해서는 특정적 속성의 비중이 높았으며, 감정과 정서, 추상적 개념의 주제뿐 아니라 사건, 장소, 시간, 관계 등이 다양한 태그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태그 집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세트를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access and retrieval of images and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generate tags as a tool for providing explanation of images.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human tagging and machine tagging, and compare and analyze them. Machine tags had the highest general attributes, some specific attributes and visual elements, and few abstract attributes. The general attribute of the human tag was the highest, but the specific attribute was high for the object and scene where the human tag constructor can recognize the name. In addition, sentiments and emotions, as well as subjects of abstract concepts, events, places, time, and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by various tags. The tag set gener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training data set to improv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