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시니어 여행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시니어 여행교육 모델 적용

        이혜린,박근수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6

        최근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는 개별자유여행이 증가하고 있다. 시니어들도 자기주도적인 자유여행을 열망하고 있지만, 실제 자유여행을 실행하는 시니어는 소수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니어의 자유여행을 돕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여행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나, 이론적인 체계와 종합적인 논의 없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배경하에 자기결정이론과 여가교육 모델을 기반으로 시니어 여행교육 모델 정립 연구(이혜린, 박근수, 2020)가 시도되었다. 이 논문은 시니어 여행교육 모델 정립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연구1은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시니어 여행교육 모델에 기초하여 시니어 여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고, 연구2는 통제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해 여행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1에서는 전문가 패널 10인을 대상으로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등에 대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와 자문 결과를 종합하여 8주 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2에서는 시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3명을 선정 후, 6주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여행인식, 여행기술, 여행자신감, 행동적 여행태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여행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전-사후 차이가 큰 항목은 여행기술 요인이었으며, 여행인식, 여행자신감, 행동적 여행태도 순이었다. 이론적 체계와 효과성을 갖춘 시니어 여행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 DSM-5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혜린,곽경화,이유경,한수완,김율리,Lee, Hye Rin,Kwag, Kyung Hwa,Lee, You Kyung,Han, Soo Wan,Kim, Youl-Ri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섭식장애 진단척도 DSM-5 (Korean version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K-EDDS)를 웹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 법 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38명)와 대학생(81명)을 포함하여 총 119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지필 섭식장애 스크리닝 검사인 Sick, Control, One, Fat, Food (SCOFF) 후 별도의 사이트에서 웹 기반 K-EDDS,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naire, EDE-Q), 임상손상평가(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를 작성했다. SCOFF 점수가 2점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ED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 후 2주 이내에 웹 기반 K-EDDS, EDE-Q, CIA를 재실시하였다. 결 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체불만족, 폭식행동, 폭식빈도, 보상행동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총 분산의 82.4%를 설명하였다. 웹 기반 K-EDDS의 4개 하위요인은 EDE-Q의 4개 하위요인과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수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Cronbach's alpha=0.93). 웹 기반 K-EDDS와 EDE의 진단 일치도는 96.83%, 웹 기반 K-EDDS의 검사-재검사 진단 일치도는 92.86%로 우수하였다. 웹 기반 K-EDDS와 CIA에서 환자군과 정상군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본 척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K-EDDS는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DSM-5를 기반으로 한 섭식장애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erify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is Scale DSM-5 (K-EDDS) as a web-based diagnostic system, which enables rapid diagnosis of patients for early intervention. Methods : A total of 119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38) and college students (n=81). Along with the paper-and-pencil SCOFF,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web-based K-EDDS,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aire (EDE-Q), and the 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EDE)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with two or more SCOFF scores. Within two weeks, the web-based K-EDDS, the EDE-Q, and the CIA were re-tested. Results :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 body dissatisfaction, binge behaviors, binge frequency and compensatory behaviors. The four subscales of the web-based K-EDD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f the four subscales of the EDE-Q.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web-based K-EDDS was highly satisfactory (Cronbach's alpha=0.93).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the web-based K-EDDS and the EDE was excellent (96.83%), and the web-based K-EDDS's test-retest diagnostic agreement was fairly good (92.86%). The web-based K-EDDS and the CIA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general population, supporting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web-based K-EDDS is a valid tool for assisting diagnosis of eating disorders based on DSM-5 in clinical and research fields.

      • 한국무용의 세계화를 위한 무용오디션 프로그램 제안

        이혜린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2016년 5월 ~ 12월 아리랑TV에서 방영되었던 ‘K-culture elite'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무용오디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12가지 미션을 해결하는 방식의 12회차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단지 한국무용의 세계화를 위한 방법의 일환만이 아닌 한국무용의 세계화를 위하여 고려해야할 범주를 제시함으로써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상해 한인의 국적문제와 일본·중국·프랑스의 대응: 1933~1934년 김석(金晳)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린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50

        일제 시기 해외로 이주한 한인들은 생활의 안정과 자유로운 정치·경제적 활동을 위해 거주국의 국적을 취득하기도 했다. 그런데 일본 국적법이 조선에 적용되지 않아, 한인은 국적 이탈이 불가능하였다. 한인들은 일본 국적과 거주국 의 국적을 동시에 갖는 이중국적자가 되어 국적법에서 말하는 ‘국적 저촉’ 상황 에 놓이게 되었다. 상해는 공공 조계와 프랑스 조계가 있어서 서구 열강의 이해 관계가 얽혀있는 곳이었다. 따라서 상해 한인의 국적문제는 ‘출신국’인 일본과 거주국인 중국과의 외교관계 및 국적제도의 차이는 물론, 한인들이 주로 거주했던 프랑스 조계 당국의 존재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1933~1934년에 일어난 ‘김석 사건’, 즉 중국 국적을 가진 김석의 체포 인도 과정에서 그의 국적을 판단하는 주체인 중국, 일본, 그리고 프랑스 조계 당국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재상해 한인 국적문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1930년대 상해 한인사회의 한 측면을 보다 풍성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ual nationality predicament encountered by Korean political refugees in Shangha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ns who migrated abroad adopted the nationality of their country of domicile to pursue stability and engage in political and economic activities freely. However, as the Japanese Nationality Law did not extend to Korea, Koreans could not renounce their nationality, resulting in them holding both Japanese nationality and their country of domicile’s nationality simultaneously. Consequently, Koreans found themselves as dual nationals, entangled in a ‘Conflict of nationality’ under the Nationality Law. The issue of nationality for Koreans in Shanghai was notably shaped by the disparities in diplomatic relations and nationality regulations between Japan and China, along with the policies of the French Concession authorities towards Koreans. This study delves into the events leading to Kim Seok’s arrest and extradition between 1933 and 1934, examining how Chinese, Japanese, and French concession authorities responded to the nationality status of Koreans who had acquired Chinese naturalization.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offer insights into a facet of the history of Koreans in Shanghai during the 1930s.

      • KCI등재

        앤디 워홀의 <Time Capsule> 작업이 갖는기록학적 특성과 가치

        이혜린,박주석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5

        Andy Warhol’s “Time Capsule” is an individual’s daily record, but it can also be evaluated as an artwork. Andy Warhol kept most of his items in boxes until his death in 1974. Warhol’s personal records contained receipts, invitations, memos, letters, voice tapes, newspapers, magazines, fan letters, mails, and exhibit materials. Andy Warhol’s act of collecting items was continuous and repetitive, giving others a deeper insight into the artist’s life. Warhol constantly recorded daily repetitive behaviors such as the people he met, a list of books he bought, and movies he had watched as a record producer. In addition, occasionally, he was in the position of an archivist, collecting and organizing others’ records. As such, he expressed his passion for recording his surroundings. His intentionally produced or collected records contain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of himself but also of the people surrounding him. His personal records show that it is the material that enables peopl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his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artists, as well as the artist’s education and the conditions during his time. 본 논문은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1987)의 작품 <Time Capsule> 시리즈를 통해 예술가의 개인기록 집적이 갖는 기록학적 특성과 가치에관한 연구이다. 앤디 워홀의 <Time Capsule>은 개인의 일상기록인 동시에예술작품으로도 평가할 수 있어 연구할 가치가 높다. 앤디 워홀은 1974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자신이 생산하거나 수집한 물건 대부분을 상자에 넣어 보관하였다. 워홀은 개인적인 기록부터 물건 구매 영수증, 초대장, 메모, 편지, 목소리가 녹음된 테이프, 신문, 잡지, 팬레터, 우편물, 전시 도록등을 상자에 넣었고, 시간이 지나면 테이프로 봉인한 뒤 날짜를 표기하는행위를 반복하였다. 앤디 워홀의 수집 행위는 작가의 삶을 관통해 반복적으로 지속되었다. 때로는 기록 생산자로서 자신이 만났던 사람들이나 구입한 책의 목록, 관람한 영화 등 일상에서 무수히 반복되는 행위를 끊임없이 기록하였고, 때로는 아키비스트의 자세로 타인의 기록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모습을보였다. 이처럼 앤디 워홀은 다른 사람에게는 가치가 없는 행위와 정보도 특별히 여겨 자신은 물론 주변을 기록하는 데 집착하고 애정을 드러내었다. 앤디 워홀이 의도적으로 생산하거나 수집한 기록은 작가 개인뿐 아니라주변인, 나아가 사회 전반을 파악하는 정보를 지니기에 매우 중요한 정보적, 증거적 가치를 갖고 있으며, 동시에 작품으로 승화되었다. 이처럼 여러 가치를 지닌 기록물은 다층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 기록의 행위와 결과가 기록이라는 결과물로만 존재하는 것이아니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작품으로도 평가받을 수 있다는 점을 잘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능형 가상비서의 매력성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음성쇼핑 이용자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린,이상우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1 No.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consumers are utilizing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IPA) through a variety of platform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voice shopping market. The voice shopping market is expected to be the most stable and growing profit model using an IPA. In voice shopping, an IPA is an important shopping medium that serves as an informant who deliver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consumers want to explore or purchase, as well as a salesperson who helps with the overall shopping process, such as browsing, payment and confirmation of delivery. IPA cannot deliver information from many products at once because they have to communicate information only by voice. Thus, unlike traditional shopping environments in which consumers can actively explore a variety of products, voice shopping is likely to have a passive product search process centered on information about two to three products delivered by IPA.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due to the nature of this shopping environment, IPA will have a greater influence on consumer decision making than the mediums in the traditional shopp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pp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alesperson to the IPA,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the virtual secretary on para-social interaction. We also want to look at the impact of interactions between IPA and consumers on consumers' shopping behavior in voice shopping, just as relationships between sellers and consumers in traditional shopping environments affect consumers' shopping behavior. Generally, people with high social attractiveness like to talk and tend to entertain the surroundings, while those with high task attractiveness are those who gain trust from many because they have a good problem-solving ability in performing any task.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IPA's task attractiveness and social attractiveness on para-social interaction. Considering the function of IPA, the task appeal can be perceived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clear functions such as device loading functions and web information retrieval, and social appeal can appear when talking to people and telling jok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ttractiveness of IPA in terms of social attractiveness and task attractiveness, and analyzed the effect of IPA's attractiveness 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product attitud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 when the attractiveness of IPA affects product attitudes. Figure 1 shows the model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Figure 1]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239 people collected through Embrain, an online survey specialist agency, for a total of three days from November 27, 2019 to November 29, 2019. Among them, 14 respondents who were found to have been insincere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25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ing of social and task appeal explained 57.9%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product attitude was 33.5% explained by prior factors. Social attractiveness (β=0.408,p<0.001) and task attractiveness (β=0.445, p<0.001)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hypotheses 1 and 2 were supported. Next, in terms of social attractiveness and task attractiveness's impact on product attitude, social attractiveness was shown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3 was rejected), while task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hypothesis 4 was adopted). Next, para-social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so hypothesis 5 was also adopted. In addition, social attractiveness was shown to affect product attitudes only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s (β=0.107,p<0.05). Also, para-social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ask attract... 본 연구는 음성쇼핑의 쇼핑 매개체인 지능형 가상비서(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가 소비자의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가상비서의 매력성(사회적 매력/과업적 매력)이 지능형 가상비서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능형 가상비서의 매력성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음성쇼핑 이용자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225명의 응답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지능형 가상비서의 사회적 매력과 과업적 매력을 높게 인지할 때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업적 매력은 제품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매력은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지능형 가상비서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게 형성될수록 지능형 가상비서가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지능형 가상비서의 과업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온 카와라(On Kawara) 작품에 나타난 개인의 일상기록 연구

        이혜린,박주석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9

        On Kawara’s works are not only artworks but are also his personal daily records. He produced many artworks whose theme centered on his everyday life, a plan that he had precisely made. He selected several specific themes from his daily life: when and where he met someone, what he read, and where he traveled. Kawara constantly recorded his daily life using various types of unconventional medium: maps, postcards, and telegrams. Although he was occupied with recording his everyday life, he was also active in forming public opinions on various issues through social media. Kawara’s works, which exhibit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himself, could be classified as individual records because it includes an individual’s daily life and selected issues. His artworks express concern for or expose the irrationality of his society, which encourages ordinary people to let their voices be heard and take part in public affairs. Thus, his works function not just as art but also as precious historical records. 본 논문은 개념미술가 온 카와라(On Kawara, 1932~2014)의 작품 분석을 통해 추론한 개인의 일상기록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온 카와라의 작품은 예술작업의 결과인 동시에 개인의 일상기록으로 기록학적 가치가 아주 높다. 회화나 사진 또는 설치의 형태로 개인의 삶을 이야기한 많은 예술가들과는 달리 온 카와라는 일기 형식으로 자신의 삶을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작가는 주도면밀한 기록 생산 전략을 갖고 수없이 반복되는 일상 중 자신이 언제 어디에서 일어나 누구를 만났고, 무엇을 읽었으며, 어디를 다녀왔는지 등 몇 가지 주제를 선택해 기록했다. 온 카와라는 기록의 생산자인 동시에 관리자로서 직접 기록물을 생산하고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신문과 지도, 엽서, 전보 등의 매체를 이용해 자신의 일상과 관련된 타인과 사회적 사건까지도 지속해서 기록했다. 작품에 담긴 내용은 작가 개인뿐 아니라 주변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에 기록의 핵심 가치인 정보적, 증거적 가치를 담보하고 있다.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와 여러 사건들에 관심과 연민을 갖고 다양한 양상의 부조리 등을 함께 제시하는 방법으로 역사를 향한 세계관을 드러내기도 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온 카와라의 작품은 미술가가 자신의 일상을 작품으로 기록한 특수한 사례이지만, 개인의 일상기록이 역사적 기록물로 전환되면 시대상이 드러나게 되고 이를 통해 당대를 재구성하고 연구할 수 있는 사료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나아가 사회가 발전하고 소통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공론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음도 알게 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