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기반 가족수학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이형주 ( Hyeungju Lee ),진명화 ( Myunghwa Jin ),강지혜 ( Jihye K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공감기반 가족수학 수업 설계를 위한 개념모형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Richey와 Klein(2014)의 수업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본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기반 가족수학에 대한 개관을 설명하는 개념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념모형은 공감기반 가족수학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한다. 둘째, 공감기반 가족수학의 공감 요인 및 요소를 반영하여 상세모형을 제시하였다. 공감기반 가족수학은 수학공감, 세대공감, 문화공감의 세 요인과 각 공감 요인별 인지적, 정의적, 의사소통적 요소로 구성된다. 이에 상세모형에서는 요인 및 요소를 기반으로 학습자 대상, 수업요인 등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모형은 15개 프로그램 중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3가지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수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모듈형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각 모듈별로 적합한 학습자 대상, 내용, 구성, 소요시간 및 회기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공감기반 가족수학을 운영하는 절차에 따라 교수자와 가족학습자의 역할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교과교육의 한 형태로 가족 간의 수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family mathematics based on empathy.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structional model from Ricky & Klein(20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ceptual model was presented to introduce family mathematics based on empathy. The conceptual model inclu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family mathematics based on empathy. Second, the detailed model was presented with the components of family mathematics based on empathy. Family mathematics based on empath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mathematical empathy, generational empathy and cultural empathy. Also, each empathetic component consists of three factors: cognitive factor, affective factor and communicative factor. The detailed model was presented as a modular program so that three programs among the 15 programs c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detailed model included a guidance for each module to appropriate learners, contents, time, and session, and presented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in each ste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n instructional model to enable a family involvement class as a form of empathy-based education.

      • KCI등재

        스마트 기기 활용 시니어 수학 자료 개발 연구

        고호경 ( Ko Ho Kyoung ),이형주 ( Lee Hyeungju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논문집 Vol.30 No.3

        본 고는 노인학습자 대상의 사용자 중심 설계에 바탕을 둔 앱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시니어 수학 앱 개발 연구이다. 시니어 수학 앱에서 제공된 수학 콘텐츠는 ‘수리문해(Numeracy)’에 초점을 두었으며 노인 세대에 친숙한 소재와 활동적 요소를 도입하여 구성하였다. 수학 앱 개발을 위한 수학 콘텐츠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정하기 위하여 9명의 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수 실험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CIPP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목표’, ‘요구분석’, ‘교육환경’, ‘커리큘럼’, ‘학습내용’, ‘학습 소재’, ‘상호작용’, ‘프로그램 관리’, ‘지원환경’, ‘만족도’, ‘학습 결과’, ‘학습의 지속가능성’ 등의 요인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에 따라 시니어 수학 앱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is part of app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user centered design which targets silver generation learners. The mathematical contents provided by Senior math application focus on Numeracy issues. In order to finalize the user interface and the mathematical contents which i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 application, teac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rough 9 senior learners. Also CIPP program evaluation model was used for monitoring the result of this teaching experiment. Factors such as ``educational objectives`` ``requirement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learning content`` ``learning matter`` ``interaction`` ``program administration`` ``supporting environment`` ``satisfaction`` ``study result`` ``substantiality of learning`` were checked and as a result the Senior Mathematic applic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se feedbacks.

      • KCI등재

        초ㆍ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이형주 ( Lee¸ Hyeung Ju ),김형식 ( Kim¸ Hyeongsik ),고호경 ( Ko¸ Ho K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3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학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부모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교육 및 자녀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초등학생 학부모 133명, 중·고등학생 학부모 411명에 따른 학부모의 응답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학부모가 수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도 긍정적이고, 학부모의 수학 관련 교육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지는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초등학생 학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초등학생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미래 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및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전문가들이 향후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로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학교육의 확대, 미래 수학학습을 위한 수학 학습 환경의 조성, 수학교육 관련하여 다양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ntent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tended to deduc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child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more positively the parents perceived the value of the mathematics learning, the more positively the child perceived, and the higher the parent's participation rate in mathematics-related education was. In terms of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t showed that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was lower for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arents have perceived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or data analysis skill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children's math teacher's class preparedness. Parents perceived positively to how pragmatic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nd provided answers to what they wish in specific mathematics classes in learning methods and future mathematics learning. As this is for educational experts to consider much in-depth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diverse parents’ education related to mathematics including the expansion of mathematics education with parents’ participation, the creation of a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or future mathematics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