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忠淸西海岸地域의 粘土帶土器文化 流入과 文化接變

        이형원 호서고고학회 2016 호서고고학 Vol.0 No.34

        본고는 충청서해안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재지문화와 외래문화 사이에 나타난 문화접변 양상에 대해서 검토한 것이다. 이 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문화는 송국리유형과 수석리유형의 물질문화로 구성된다. 중국 요령지역에 계보를 갖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남하를 계기로 후기문화가 성립되면서 중기부터 이어져 온 송국리유형과 외래기원의 수석리유형은 공존하게 되었다. 송국리유형의 재지집단과 수석리유형의 외래집단은 계통을 달리하는 문화집단이다. 이와 관련하여 보령 및 서천지역의 취락들을 검토한 결과 異문화 집단들 사이에 문화접변 현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집단의 정체성과 성격을 반영하는 토기와 주거의 존재양태를 통해서 볼 때, 이 지역의 재지 선주민집단과 외래 이주민집단은 초기의 갈등·대립 관계를 벗어나 서로 우호적인 친연 관계를 형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 가운데 하나가 혼인관계의 성립이며, 이는 모방 혹은 절충토기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도 관련된다. 또한 취락(집단)마다 공동체의 운영 원리 또는 성향에 따라서 외부 집단과의 대응방식이 달랐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외래집단과 상호작용하는 재지집단의 주체 세력이 보령과 서천지역의 취락에 따라 위상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충청서해안지역 내에서의 소지역성을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취락 별 성격 차이를 말해주는 것인지는 앞으로의 검토대상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nflux between a local culture and a foreign culture in West Coastal region in Chungcheongnam-do. The clay–band rim pottery culture originated from Liaoning area of China had formed the lat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the southern area and this created the local culture which has been pre-existing with the foreign culture. The relics from settlement areas in the Boryeong and Seocheon areas suggests a wide range of cultural acculturation between the different cultural groups. The aspects of pottery and settlements reflecting cultural identities suggest that former inhabitants and immigrants had favorable relations born out of a conflict in an early period. Marital relations was one of these interactions between those two cultural groups. This is related to the social implication which imitation pottery has. It is estimated that each settlement had its own principles and tendencies in the community and had different measures for out-groups. Depending on the settlement, the main body of a local group interacting with an out-group had different status.

      • KCI등재

        김정기의 선사시대 수혈주거 연구와 쟁점

        이형원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0

        Changsan, Kim Jeong-gi(1930∼2015) is one of the greatest outstanding academic figures from a wide range of areas in archeological history of Korea. He had made a concrete academic foundation for prehistoric pit-dwelling research. His representative academic papers were published in an academic journal titled 『Archeology』 Vol.1 and Vol.3 in the year 1968 and 1974. Those articles were about pit-dwelling which had been built in Neolithic age and Bronze age. His articles are highly evaluated as the beginning of pit-dwelling research in Neolithic age and Bronze age. He also wrote a couple of other academic articles on pit-dwelling in 1980s and 1990s. Kim Jeong-gi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houses, types of ground, types of floor finishing, interior facilities, the number of residents by the size and disposal types of houses at pit-dwelling. He also examined various matters on excavation methods related to dwelling, interpretation of archeological materials and their records. The controversial issues from his academic research on pit-dwelling still remain today and those issues are related to the partition which makes space separation inside of the house, the estimation of size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dwelling. His academic heritage in pit-dwelling research has influenced with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eology. 창산 김정기(1930∼2015)는 한국 고고학의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낸 인물이며, 특히 선사시대 수혈주거 연구의 학문적 기초를 세운 연구자이다. 그의 대표 논문으로는 1968년도에 『고고학』 제1집에 실린 「한국 수혈주거지고(一)」와 1974년도에 『고고학』 제3집에 실린 「한국수혈주거지고(二」)를 들 수 있다. 이 두 편의 논문은 각각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수혈주거 연구의 효시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수혈주거와 관련한 다수의 연구 논문을 집필하였다. 김정기는 선사시대 수혈주거와 관련하여 가옥의 위치를 비롯해서 평면형태, 규모, 바닥의 처리방식, 내부 시설물, 주거면적에 따른 거주 인원의 수, 가옥의 폐기 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주거지 발굴과 관련하여 발굴 방법상의 문제, 고고학 자료의 해석상의 문제, 기록상의 문제도 다루었다. 김정기의 수혈주거 연구 가운데에서 가옥 내부의 공간분할과 관련한 칸막이 시설의 존재 유무를 비롯해서 송국리식(휴암리식)주거의 화덕 시설 여부, 수혈주거의 규모와 거주인원의 수 추정 등은 현재도 학계의 쟁점 사항에 해당한다. 김정기의 선사시대 수혈주거 연구는 발굴조사와 학술적 측면에서 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고고학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한편 그의 논문들에 대한 평가에서 부정적인 측면은 편년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고고학 연구가 시간과 공간, 그리고 형태에 대한 정교한 조합을 토대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볼 때, 그의 학문적 유산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