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PEC의 보고르 목표 달성과 역내 무역창출여부에 대한 실증분석
이현훈 ( Hyun Hoon Lee ),허정 ( Jung Hur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4 국제경제연구 Vol.2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trade creation effect within APEC from 1995 to 2010, in order toevaluate the APEC’s Bogor Goals in 2010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For this purpose,we utilize several gravity models for the 5 developed APEC member countries who committedto the Goals by 2010 and the 8 developing APEC member countries who “voluntarily”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for the achievment of the Goals by the same year. We foundthat not only the Bogor-5 developed countries and Bogor-8 countries but also the restdeveloping member countries showed trade creation effects within the APEC in manufacturedgoods imports. However, none of the three groups of APEC members showed any trade creationeffects in non-manufactured goods imports.
이현훈(Hyun-Hoon Lee) · 이영련(Young-Youn ) · 허현승(LeeHyeon-seung Huh) 한국경제발전학회 2008 經濟發展硏究 Vol.14 No.2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인구구조의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른바 부분조정모형(partial adjustment model)을 사용하여 1993년에서 2003년 동안 세계 77개국의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을 1993년의 인구 구조와 1993년부터 2003년까지의 인구 구조 변화를 나타내는 변수를 포함한 일련의 설명변수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절대적인 인구규모와 증가율은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율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인구의 연령구조와 그 변화는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생산가능인구(15세 - 64세)에 비하여 높은 유소년 인구(0-14세)와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인구구조적 부담(demographic burden)’으로 작용하여 경제성장을 억제하며, 특히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인구비율의 상대적 증가는 유소년 인구비율의 상대적 증가에 비해서 경제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욱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향후 수십 년 내에 고령인구 비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을 감안할 때, 이에 따른 성장잠재력의 감소에 대비하는 정책이 매우 절실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impact of demographic transition on economic growth. To accomplish this purpose, using the so-called partial adjustment model, we estimates the per capita GDP growth rates of 77 countries between 1993 and 2003 against a host of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he variables indicating the demographic structure in 1993 and its changes between 1993 and 2003.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and growth of the absolute size of the population neither restrict nor promote economic growth, but population age structure has influences on its economic performance. Specifically, a large size of the population of both children and the elderly relative to the working-age population constitutes a “demographic burden” and inhibits economic growth. But, an increasing relative size of the elderly in total population has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than an increasing relative size of the population of children. The result is very alarming, as only in the next few decades will any society witness a surge in the numbers of the elderly.
이현훈 ( Hyun Hoon Lee ),변형석 ( Hyung Suk Byun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국제경제연구 Vol.19 No.1
Using the US Treasury International Capital (TIC) data, this paper aims to assess whether the global imbalance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core cause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es, have gone through any fundamental changes since the outbreak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ses whether the major East Asian countries have changed their pattern of cross-border security investment in the U.S. financial market, in the form of equities, bonds and bank lend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the overall size of the global imbalances decreased in terms of U.S. current account deficit and capital account surplus, the relative share of East Asian countries in the global imbalances have increased since 2008. Specifically, the majo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Korea, Singapore, and Taiwan have intensified their relative ``excessive`` investment in the U.S., especially in the long-term bond investment since 2008.
서비스시장 개방이 경제성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현훈(Hyun-Hoon Lee) 한국경제발전학회 2007 經濟發展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서비스시장 개방이 경제성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1990년대 초의 서비스시장 개방정도와 이후 2000년대 초까지의 서비스시장 개방정도의 변화가 어떻게 경제성장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소위 부분조정모형을 이용한 횡국가분석(cross-country analysis) 을 통하여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서비스시장 개방은 대체로 경제성장과 노동생산성의 증가에 제한적으로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도국의 경우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시장의 급속한 개방은 오히려 성장과 생산성증가를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시장의 개방이 나라마다 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경제제도 및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미성숙 단계에서의 급속한 서비스시장 개방은 도리어 경제성장과 생산성의 증가를 저해할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급속히 추진되었던 금융서비스시장 개방으로 외환위기를 경험한 우리나라는 선진국 진입의 초입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생산성증가를 통한 신성장 동력의 확보를 위해 서비스시장의 추가적인 개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opening of service markets relates with economic growth and productivity growth. Specifically, this paper uses the so-called partial adjustment model using cross-country data for two year points of 1993 and 2003. The results show that to some extent the opening of service market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and productivity growth. However, it is also shown that rapid opening financial market in developing countries could impede their economic growth and productivity growth. This implies that opening of service market has to follow a gradual process depending upon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