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문화층의 최신 조사 성과

        이혁희(Lee, Hyeokhee)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3

        한성백제박물관은 개관 이듬해인 2013년 11월부터 서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에 대한 연차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 대상은 1980년대 조사에서 소수의 Pit조사 이외에는 미조사구역이나 다름없었던 북문지 일원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의 최신 조사 성과를 소개하고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몽촌토성 조사 성과에서 가장 주목도가 높은 삼국시대 문화층은 상층의 고구려 생활면과 하층의 백제 생활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 층에서는 복합적인 유구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해 구획식 포장도로, 대형 목곽집수지, 생활유구 집중구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구획식 포장도로는 백제 초축도로 단계, 백제 개축도로 단계, 고구려 도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백제 초축도로는 Pit조사를 통해 1개의 도로가 확인된 상태이다. 초축도로 폐기 이후 조성된 백제 개축도로 단계에는 ‘回’자형교차로를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분기해 나가는 남북대로, 회곽도, 북서향도로, 동서도로가 조성되었다. 도로는 격자상이며 도로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집수지로 추정되는 대형 유구와 생활유구 집중구역으로 구분된다. 각 유구는 도로와 중복되지 않은 정형성을 띠고 있으므로 사전에 설계된 도시계획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도로는 475년 백제 한성 함락 이후에 조성되었다. 기존 백제 개축도로의 선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보수되거나 증축된 모습이다. 목곽집수지는 ‘回’자형교차로 내측에 위치하며 규모는 14×14m에 달한다. 벽체는 백제 개축도로 단계의 ‘回’자형교차로 내측으로 판을 대고 성토다짐하였으며 벽체 내부에서는 고구려 토기가 출토되었다. 목곽집수지에 대한 내부조사 과정에서 백제토기, 고구려토기, 건축부재, 각종 유구물이 다수 출토되었다. 목곽집수지는 일정 기간 활용된 뒤 인위적으로 폐기되었으며, 그 상부에 성토대지 조성공사가 이루어짐으로써 광장으로 변화한다. 목곽집수지의 조성과 폐기, 그리고 광장으로 변화 모두 고구려 점유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유구 집중구역은 ‘回’자형교차로 북서부-회곽도-북서향도로가 감싸는 공간에 해당한다. 생활유구 집중구역은 백제 생활면과 고구려 생활면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 공간은 성토대지 공사가 선행된 뒤 이를 굴착하며 주거지, 벽주건물지, 굴립주건물지, 초석건물지, 주혈군, 수혈 등이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문화층의 최신 조사성과를 통해 백제 한성기의 왕성으로서 개발하기 위해 도로와 각종 시설을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475년 한성 함락 이후 고구려에 의해 남방경략거점으로서 몽촌토성이 개발된 고고학적 증거의 확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에서는 다종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백제 한성기의 문화 및 주변국과의 교류, 한성 함락 이후 고구려 점유기의 양상, 당시의 고환경 및 식생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소수이지만 백제 사비기 토기의 출토는 551∼553년 간 백제가 한성지역을 회복하였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로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Seoul Baekje Museum has been conducting annual research excavations of Seoul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Historical Site No. 297) since November, 2013, the year after the museum’s opening. At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the cultural lay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are attracting the greatest attention, may be divided into that of Goguryeo, and that of Baekje. A diverse range of archaeological remains were identified from the both layers,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ivision of the cellular pavement, the large-scale wooden collecting basin, and the dwelling site. The recent survey results from the cultural lay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t the northern gate area of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reveal that roads and facilities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develop the site into the royal fortification in the Hanseong Baekje period. Furthermore, the site’s significance was enhanced by research results on material evidence which revealed that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was developed as a base by Goguryeo for its southward conquest strategies after Baekje’s surrender of Hanseong in 475. A variety of artifacts were excavated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northern gate area of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They allow u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nature of exchange with neighboring nations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the paleo-environment and vegetation of the Goguryeo-occupied period following the surrender of Hanseong.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of Sabi Baekje Period pottery from this site, albeit limited in number, is valuable historical evidence showing that Baekje had recaptured the Hanseong area between 551∼553.

      • KCI등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이혁희(Hyeokhee Lee) 한국고고학회 2013 한국고고학보 Vol.89 No.-

        토성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는 版築技法 일변도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한성백제기 토성 역시 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판축기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자료가 다수 확보되었다. 특히 논의의 주요 대상이 한성백제기에 해당함에 따라, 축조기법을 확인한 10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축조기법의 검토는 입지와 규모, 기저부 조성, 축조방식, 내부시설, 증축 및 보수를 통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시기임에도 다양한 축조기법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축조공정이 정반대인 양자가 확인되어, 이를 기준으로 A군(성토기법), B군(판축기법)으로 분류하였다. A군의 성토기법은 바깥쪽에서 중심을 향하는 축조방식, 복잡한 토층선, 다양한 흙의 가공 등을 특징으로한다. 판축기법에 비해 기술적으로 고식이며 축조시기 또한 이른 편이다. 이러한 A군의 특징은 5세기 이후 등장하는 한반도 남부지역의 고총고분, 제방의 축조기법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고 있어 주목된다. B군의 판축기법은 중심토루 → 외피토루의 방식이다. 토층은 비교적 수평상이며, 목주와 판재 등 구조물의 흔적이 뚜렷하다. 또한 판축구조물의 설치 → 해체를 반복하면서 版塊가 입체적으로 조합되는 점이 일관된다. 이 점은 부여 부소산성 등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판축기법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이에 주목하여 두 가지(B1식, B2식)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양자가 동시기에 공존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최근에는 원삼국~한성백제기 물질문화의 지역성·다양성이 부각되는 경향이다. 흥미로운 점은 ‘재지적 물질문화 → 백제물질문화’로의 변화과정이성토기법(A군) → 판축기법(B군)과 연동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성백제 1기의 ‘지방’에서는 지역집단 주도의 축조 가능성을, 한성백제 2기에는 판축기법 위주로 변화함을 근거로 백제 중앙의 계획하에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It can be suggested that most studies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earthen fortresses have focused on the plate (stamped earth) method. The study of Hanseong Baekje earthen fortresses has also followed this trend. However, the fortresses have recently been discovered which cannot be seen to have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late method. This paper examines ten earthen fortresses from the Hanseong Baekje Period whose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confirmed.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re classified into Group A and Group B. The Remblai method of Group A consists of the piling of earth from the edges to the center, complex soil-layer lines and the processing of various kinds of earth. The plate method of Group B is defined as the construction of the central tolou (earthwork) towards the exterior tolou. The soil-layer is relatively horizontal and the traces of structures, wooden poles and plates, are clearly found. It is remarkable that the above-mentioned techniques are shown in the same period.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indigenous regional material culture to the Baekje material culture coincides with the transition from the Remblai method (Group A) to the plate method (Group B). This suggests that, in the first stage of the Hanseong Baekje Period, fortress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on the ground by local groups, while in the second stage, construction took place according to the plans laid out by the Baekje central government.

      • KCI등재

        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의 축조기술

        이혁희(Hyeokhee Lee),김진현(Jinhyeon Kim) 영남고고학회 2024 嶺南考古學 Vol.- No.99

        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 연구는 최근 조사성과의 축적에 힘입어 종합 분석이 가능할 만큼 양적·질적으로 성장하였다. 이에 신라 토성 6개소와 가야 토성 7개소를 대상으로 축조공정별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신라와 가야 토성을 비교하였다. 신라와 가야 토성의 공통점은 특히 하부에서 두드러진다. 신라와 가야 모두 기저부 조성 시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보강기술을 사용하였다. 저습지나 연약지반에서는 부엽공법, 지정말뚝 등 유기물을 활용하였고, 경사면에서는 계단상 또는 요철면으로 정지하여 마찰력을 극대화하였다. 물론 본격적인 체성의 축조에서도 성토기법과 판축기법마다 공통점이 인지된다. 특히 성토기법의 경우 경주 월성과 김해 봉황토성의 사례를 통해 협축식 성토기법 토성을 설정하여 협축식(A1식)과 편축식(A2식)으로 세분하는 성과가 있었다. 신라와 가야 토성의 차이점도 분명하다. 가야 토성의 체성 축조에서 초축성벽의 마감이나 증축성벽 축조 시 석축부를 부가하여 보강하는 방식은 가야 토성의 대표적 특징이다. 또한 고정된 목주를 활용하여 판축하는 신라 토성에 비해, 판축구조물의 해체와 재설치를 반복하여 조성한 판괴의 길이가 긴 것도 가야 토성의 특이점이다. 이는 ‘순수판축토성’ 이후 등장하는 ‘기단석렬 판축토성’ 단계에 판괴의 길이가 길어지는 현상의 시원적 형태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성곽 축조기술의 변천상에서 기술사적 연결고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Research on Silla and Gaya Earthen Fortification in Yeongnam Area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nough to enable comprehensive analysis thanks to the recent accumulation of survey results.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process were analyzed for 6 sites of Silla and 7 sites of Gaya, and were compared by synthesizing them. Both Silla and Gaya Organic matter such as the Leaf mat method and the designated pile were used in the low wetland or soft ground, and the frictional force was maximized by using a stepped or uneven surface stopping method on the slo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mbankment technique, by setting the soil of the narrow-type embankment technique through the cases of Wolseong and Bonghwangtoseong, there was a result of subdividing it into a narrow-type (A1) and a flat-type (A2). Gaya is reinforced by adding a stone shaft par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of the wall or the finishing of the reinforcement wall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The longer the plate mass, which was created by repeated dismantling and re-installing the plate shaft structure, is another peculiarity of Gaya. This may be a primitive form of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plate mass in the “Gidanseokryeol plate shaft fortress” stage that appears after the “pure plate shaft fortress”.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it is located as a technical and historical link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ology.

      • KCI등재

        화성 길성리·요리 유적군의 전개과정과 성격

        이혁희 ( Lee Hyeokhee ),김진현 ( Kim Jinhyeon )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1

        이 글은 원삼국∼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화성 길성리토성과 요리고분군 주변의 유적 집성과 분석, 단계별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길성리·요리와 양감면 사창리·송산리를 묶어 ‘화성 길성리·요리 유적군’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입지 및 지형을 개관하고, 유적검토에 이어 유적군 내 단계별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단계설정의 기준은 유적군 내 구조 및 공간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적절한 화성 길성리토성의 변화로 삼았으며, 변화와 맞물리는 단계별 유구의 분포 상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1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축성 이전 단계이다. 연구과정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와 낙랑계토기를 새롭게 인식하였다. 이는 성벽축조층에서 수습된 청동반부선금구와 함께, 1단계의 상한이 기원전 2세기까지 소급되었음을 말해준다. 2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축성 이후 단계이다. 2,311m에 달하는 토축성벽이 축조 및 운영된 시기로 4세기 전~중엽으로 추정된다. 성벽의 내부에는 주거지와 수혈의 수량이 증가하며, 굴립주건물지 및 주혈군, 마제형 가마 및 폐기장이 확인되어 1단계에 비해 복합도가 높아진다. 3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폐성 이후 단계로 4세기 중엽 또는 후엽부터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기존 성벽 외부로 취락이 확장하고, 요리-사창리-송산리의 능선에서 분묘군이 확인된다. 사창리에서 수습된 진식대금구를 통해 3단계 이른 시점의 분묘군이 추정되며, 이어서 요리·송산리고분군이 조영된다. 특히 4세기 후엽 또는 5세기 전엽의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식리가 출토되어 지역 세력의 위상을 알 수 있다. 한편, 3단계에는 유적군의 남쪽으로 화성 소근산성이 축조된다. 이를 통해 4세기 중엽부터 최상위 위신재를 사여 받던 지역집단은,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이후 소근산성의 축조를 전후하여 백제의 직접지배권으로 편재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llect, analyze, and study the progres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round Hwaseong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and Yori Ancient Tombs, which correspond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Baekje Hanseong Period. To this end, Gilseongri and Yori(Hyangnameup, Hwaseongsi, Gyeonggido), Sachangri and Songsanri(Yanggammyeon), were combined and set as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In order to analyze the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the location and topography were outlined, and following the review of the sites, the phase change in each stage within the sites group was examined. The criterion for setting the stage was the change in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grasping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space within the sites group. The distribution of the sites in each stage, which coincides with the change in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was presented, and its meaning was considered. The first stage is before the construction of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and Lelang-type pottery were newly recognized. This suggests that the upper limit of the first stage has been retroactive to at least 2c or B.C. 2c, along with the bronze core part / the head decoration recovered from the fortress construction layer. The second stage i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It is the period when the 2,311m-long earthwork wall was built and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to middle 4c. Inside the wall, the number of dwelling and storage pit increases, and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posthole group, kiln, and rubbish heap are identified, so the higher complexity can be detected compared to the first stage. The third stage is after the closure of Hwaseong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Even though the earthwork wall was closed after the middle of 4c, the scope of the village is expanded and the outside of the existing wall is developed. It can be seen that it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Baekje Hanseong Period through the cooking tripod,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and short-necked bottles. In the third stage, tomb groups are identified on the ridges of Yori, Sachangri and Songsanri. The tomb groups in the early stages of the third stage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Jin type metal belt recovered from San 10-1 in Sachangri, followed by the Yori tomb group and Songsanri tomb group. In particular, two gilt-bronze crown hairs and a gilt-bronze Shoes with the 4c posterior or 5c anterior leaves are excavated to reveal the status of local forces. Meanwhile, in the third stage, Hwaseong Sogeunsanseong Fortress was built to the south of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Through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gional group, which had reached its peak enough to receive the highest level of prestige from the middle of 4c, weakened its power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ogeunsanseong Fortress, and was ubiquitous as Baekje's direct control.

      • KCI등재

        미국의 냉전기 봉쇄와 탈냉전기 봉쇄 비교 : 대북제재에 주는 시사점

        이혁희 ( Lee Hyouk Hui ),김용현 ( Kim Yong Hyu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20 북한학연구 Vol.16 No.2

        지금까지 70년 동안 북한 앞에는 봉쇄에 무릎을 꿇을 것이냐 아니면 이를 돌파할 것이냐의 선택지만 주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봉쇄는 북한 체제 생존에 있어 매우 중차대한 문제이며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이다. 동시에 한반도의 주인인 우리에게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봉쇄의 본질과 성격, 목표와 목적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능동적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냉전기 봉쇄전략(Strategies of Containment)의 봉쇄와 탈냉전 이후 북한에 가해진 봉쇄(Blockade)양상의 비교를 통해 이 문제를 접근해보고자 한다. 냉전기 미국의 봉쇄는 팽창하는 소련의 영향력을 세력균형의 중심축인 유럽·일본에 대한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통해 복원하여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반면 탈냉전기 봉쇄는 미국 주도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 또는 국가에 대한 응징적 성격을 본질로 하는 강압적 봉쇄이다. 냉전기 봉쇄와 탈냉전기 봉쇄는 의도와 목적이 다름에도 포위와 봉쇄를 통해 상대방을 굴복시켜 목표를 달성한다는 본질적 특성을 공유하며 특히 그 수단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하다. 미국은 봉쇄전략을 통해 자유주의 질서 구축과 소련 붕괴라는 실제 목표를 달성했다. 이 전략의 성공요인은 자칫 봉쇄가 ‘외부의 적에 의해 내부의 독재를 강화’하는 데 이용되면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여 피봉쇄국가 국민 스스로 자기의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했다는 점이다. 반면에 미국의 대북 봉쇄는 유효성에 대한 논란과 함께 북한 주민들의 반감을 일으켜 정권 유지의 도구로 활용될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남북관계의 공간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한반도평화프로세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So f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North Korea has only been given the option of kneeling or breaking through the blockade of sanctions and pressure. The blockade issue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a prerequisite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challenge for South Korea, which is the master of the Korean Peninsula issue. Therefore, active consideration is needed about the essence and character of the blockade, its goals and objectives, and its future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approach this problem by comparing the containment in the Strategies of Containment of Cold War era with the blockade pattern imposed on North Korea after the Post-Cold War era. The U.S. containment strategy of the Cold war era aims to restore the central pillars such as West Europe and Japan through economic and military support for quarantine to Soviet and to build the balance of power with their own confidence in order to block the growing Sovie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the blockade in the Post-Cold War era is a coercive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nature of punishing forces or countries that destroy the U.S.-led order. The containment strategy is considered a successful strategy because it has achieved the building a liberal order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success factor is that the containment should not be used to strengthen internal dictatorship by external enemies. And because the containment allowed the Liberal to regain confidence and balance, encouraging the people of the sealed state to change their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U.S. policy of blockade on North Korea seems to be used as a tool to maintain North Korea regime, causing antagonism among North Koreans. In addition, the U.S. policy of blockade is negatively affecting inter-Korean relations by disallow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eng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