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군논문 : 철학상담 방법론 논의에 있어서상담윤리 모형 도입의 필연성

        이향연 ( Hyang Yeo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정신치료나 심리치료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정신적 고통과 관련된 제반 문제들에 관여 하는 철학상담이 그것들과 차별화되고 기존의 방식들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뚜렷이 구별되는 독자적인 방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효과가 제대로 인정받고 보다 심화되어 발전할 수 있으려면 무엇이 특징적으로 구별되는가를 스스로 드러낼 수 있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철학상담 방법론 논의를 방법부정론과 방법긍정론 진영으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철학상담의 정체성은 특별히 방법부정론자들의 논의에서 잘 드러나고 있었다. 방법론 논의에 있어서 필자는 철학상담이 인생관, 세계관, 가치관의 문제로 접근함으로써 여타의 상담들과 구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철학상담이 그 접근방법으로서 상담을 택하고 있는 이상, 또한 그 정의에서 타 상담형식들과 구별되어야 하는 몇몇의 필요조건을 지시하고 있는 이상 그것에 맞는 상담 형식의 구체적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방법론 논쟁을 통해 정리한 최종 입장은 방법 부정론자들이 잘 드러내주는 철학상담의 고유한 정체성을 잘 살리면서도 방법 긍정론자들이 주장하는 기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철학상담은 가치관의 문제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겪는 내담자와 관계한다. 철학상담이 가치관을 주제로 내담자와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철학상담사는 반드시 올바른 가치관에 대한 윤리적 기준을 확보하고서 내담자를 안내해야 할 것이다. 철학상담의 보편화를 위해서 철학상담의 구체적인 상담 형식 혹은 기법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철학상담의 정체성이 가치관 문제에서 찾아진다는 것에서 그러한 방법들이 반드시 윤리적 이해의 틀을 바탕으로 고안되고 발전되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needs an independent metho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mental treatment concerning human mental pain such as psychotherapy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other therapy methods have faced. It should show what distinctive point it has by itself to achieve recognition about its effectiveness and to progress more. I studi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in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ology discussion. The identity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was shown in the negative-side discussion more notably.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to the one`s view of life or world and values; I think that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mental treatment by it. I think more detailed discussion about the form of counsel is necessary because it meets its clients through counseling and it already directs certain condition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in its definition. It is my final conclusion that the more specific counseling methods are needed and it should include its characteristic identity that the negative sides contend. The philosophical counselor should help its clients on the basis of ethical standard including the value of the right. Because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intervenes its clients who suffer from mental distress caused by the values. The concrete counseling forms and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if it can be generalized.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those methods should be designed on the foundation of an ethical understanding because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found at the value matters.

      • KCI등재

        AI윤리 지침의 분석 및 대안적 접근

        이향연(Lee, Hyang-yeon)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60 No.-

        오늘날 국외에서는 AI 기술 개발과 AI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AI 기술 개발과 그에 따른 윤리 지침 개발은 국외의 연구에 비해 다소 미비한 실정이다. AI가 금융권을 비롯해 의료, 치안, 교통 또는 교육 등 생활 전반에 자리 잡은 현 시대는 활발한 AI 활용 및 계속적인 연구뿐 아니라 그에 대한 윤리 지침 또한 요구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그 기술개발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대략 6개의 AI 윤리 지침이 존재하며 이들은 개발자와 공급자에게 책임 의식을 강화하고 이용자에게는 오남용의 위험성을 인식하게 만듦으로써 AI가 가져올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AI윤리 지침이 규제적 관점에서 개발자와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실제로 영향을 끼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우선 규범적인 주장을 하는 윤리 일반을 강화할 수 있는 원리나 구조부터 부족한 실정이다. 뚜렷하지 못한 윤리의 원리나 구조는 개발자나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아무런 제약을 가할 수 없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지금까지 발표된 AI 윤리의 지침에는 윤리의 근본적인 목표와 실질적인 실행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이에 필자는 본고에서 현재까지 발표된 AI윤리지침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국내의 AI 정책과 지침 수립에 효율적인 방향성과 접근법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울러 AI윤리가 추상적인 담론에 국한되지 않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행동 지침으로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Various discourses regarding AI guidelines are under discussion worldwide. Meanwhile, domestic AI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guidelines are less complete than they are overseas. These days in which AI takes up life, in general, from finance, public security,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AI ethical guidelines with diverse utilization of AI and consistent research are required. There exist about 6 AI ethical guidelines in Korea. They aim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both researchers and providers and to make users perceive the risk of abuse. However, it seems that, from the regulative perspective, the present AI ethical guidelines fail to provide an actual effect on the decision-making of both providers and users. AI ethics lack its principle or structure to support the regulation that general ethics imposes. Unclear ethical principles or structures have no power over decision-making procedures. It is the primary point where a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has to arise. The fundamental goals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have hardly been discussed in the existing AI ethical guidelin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fficient direction and approach needed in the establishment of AI policies and guidelines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will explore how more detailed and specified action guidelines can be developed, without being confined to abstract discourses.

      • KCI등재

        이중결과론은 남은 배아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이향연(Lee Hyang Ye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입장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지지함으로써 배아의 파괴를 받아들이자는 입장이다. 또 다른 하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반대함으로써 연구가 가져올 혜택을 포기하자는 입장이다. 우리는 현재 이러한 두 가지 입장차를 전혀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자 몇몇 사람들은 이론적 절충안인 중간입장(middle-ground position)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중간입장의 대표적인 논증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 윤리 및 정책의 기준이 되는 남은 배아와 만든 배아의 구분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남은 배아와 만든 배아의 구분을 지지하는 주요 논증 중 하나인 이중결과론(The principle of double effect)에 대한 검토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중결과론의 두 가지 관점이 남은 배아 사용을 어떻게 정당화하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가 이러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까닭은 생명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접근에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논의가 배아연구에 대한 지침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re are two general positions regarding embryonic research: one accepts that the embryo will be destroyed through the approval of the research and the other accepts the risk of losing the potential benefits that could be brought about through the research by opposing it. As scientists keep failing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se two positions, some researchers stand for a middle-ground position - which is a theoretical compromise - to resolve this controvers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reated embryo and the discarded embryo is one of these arguments; this works as an ethical standard for embryonic research around the world.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principle of double effect, which is one of the primary arguments that supports such a distinction, especially considering how the two positions justify the use of discarded embryo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courage a greater sense of prudence in this field as it significantly deals with ethical life matters. This discussion may also benefit the creation of research guidelines within the field of embryonic research.

      • KCI등재

        의료인의 윤리적 태도에 관한 방법론 고찰

        이향연 ( Hyang-yeon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5 No.-

        의료인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태도의 중요성은 날로 복잡해지는 의료현장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다. 의료인에게 요구되는 일차적 목표는 환자의 질병 치료와 질병 예방을 통한 건강 증진이다. 이러한 목표는 의료인이 근본적으로 윤리적 태도를 지닐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 여기서 우리는 환자와 의료인의 관계가 어떻게 정립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즉 의료 행위 그 자체는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윤리적 성찰이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의료인에게 필요한 윤리적 태도로 ‘사랑’과 ‘초연한 관심’을 꼽을 수 있다. 의료인의 의료 행위는 기술적이고 객관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까지도 포함할 수밖에 없다. 감성적인 영역을 바탕으로 하면서 이러한 의학 영역에서 필요한 인간의 본성은 결국 ‘사랑’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랑’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몇몇의 학자들을 살펴보고 이를 의료 영역에서 의료인의 윤리적 태도로 삼기에 정당한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사랑’이라는 윤리적 태도가 의료인의 올바른 판단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적 요소를 지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자는 ‘초연한 관심’이라는 윤리적 태도를 철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The importance of the ethical attitude required of medical Practition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increasingly complex medical field. The primary goal required of medical Practitioner is to improve the health of patients through disease treatment and disease prevention. This goal implies that healthcare workers are essentially ethical. Here we are compelled to think abou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 and the healthcare provider should be established. In other words, medical practice itself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gnity of human life, so it can be said that ethical reflection is essential. I can select “love” and “Detached Concern” as the ethical attitudes that medical professionals need. The medical practice of a medical practitioner is bound to include not only the technical and objective parts, but also the emotional parts. Based on the emotional domain, the human nature needed in this medical field is, after all, “love”.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some scholars who have philosophical analysis of “love” and consider whether it is justifiable to make it the ethical attitude of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medical field. Finally, the ethical attitude of “love” has a problematic element that can hinder the correct judgment of medical Practitioner. To solve this, I philosophically analyze the ethical attitude of “Detached Concern” and try to secure its legitimacy.

      • KCI등재

        일부 임상 치과위생사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윤리적 성향의 관계

        천세희 ( Sae Hee Cheon ),이향연 ( Hyang Yeon Lee ),조미숙 ( Mi Suk Cho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4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4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vocation and ethical inclina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21 clinical dental hygienist in Busan and Kyeongnam from April 1 to 30,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tructured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9 questions), vocational calling(9 questions), deontology(12 questions), asceticism(13 questions), and utilitarianism(8 questions).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by Likert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dow 19.0 for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vocation and ethical inclination. The deontology was associated with education, dental service career, duty hours, and number of clients in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vocation. Asceticism was also correlated with education, and utilitarianism was closely associated with vocational calling, work place, number of clients, and monthly incom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urricula including vocational calling and ethical inclination in the dental hygiene education. The dental hygienists should learn the ethical and vocational calling as a professional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