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슈아 코언의 '네타냐후(The Netanyahus)' (2021)에 나타난 유대인과 정체성, 자민족 중심주의

        이행선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4 디아스포라 연구 Vol.18 No.1

        '네타냐후'는 1959-1960년 뉴욕주 외곽에 위치한 코빈대학의 유대계 미국인 루벤블룸 교수가 교수 채용 심사를 위해 방문한 네타냐후를 맞이하고 벌어지는 일을 다룬다. 이 소설에서 네타냐후 박사는 시오니즘의 정당성과 당위성, 강경 우익 민족주의 노선을 강조한다. 하지만 1959년 무렵은 이미 이스라엘이 공식적으로 국가가건설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토를 넓혀가면서 팔레스타인인을 탄압하고 추방하던 시점이었다. 팔레스타인인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네타냐후를 통해 시오니스트들의 배타성이 부각되는 서사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 네타냐후 박사는시오니스트 중에서도 비주류의 위치에 있다. 역사적으로 1990년대 들어서 이스라엘의 인구 구성 및 정치적 지형 변화가 건국의 주역인 사회주의 성향의 노동당을 몰락시키고 강경 우파 리쿠드당을 부상시켰다. 건국 이후 중동 지역에서 온 후발 이민자들이 늘어나자, 우파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집권을 한다. 이를 기반으로 강경우익 네타냐후 총리가 최장기 집권을 할 수 있었다. 이에 비추어 네타냐후 에서네타냐후 박사의 사회정치적 지위는 현재의 네타냐후 총리와 비교되면서 비주류의주류화를 보여준다. 이는 수정주의 시오니즘의 강화와 극우 민족주의의 경향이 이스라엘의 주류가 되면서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이 더욱 격심해지고 팔레스타인의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환기하며 자민족 중심주의와 인종주의를 비판하는 의미가있다. The novel The Netanyahus deals with what happens when Ruben Blum, a Jewish American professor at Corbin College, located outside New York State, greets Netanyahu for a faculty recruitment screening between 1959 and 1960. In this work, Dr. Netanyahu emphasizes the legitimacy of Zionism and the hard right nationalist line. However, by 1959, Israel had not only officially established a state but also repressed and expelled Palestinians as it expanded its territory. Through Netanyahu,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Palestinian position at all, a narrative effect that highlights the exclusivity of the Zionists occurs. In addition, in this work, Dr. Netanyahu is in a non-mainstream position among Zionists. Historically, in the 1990s, changes in Israel’s demographic composition and political landscape brought down the socialist-leaning Labor Party, the main force behind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the hard right Likud Party emerged. As the number of late immigrants from the Middle East increased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right party have been in power since the mid-1990s based on them. Based on these supporters, hard right Prime Minister Netanyahu was able to stay in power for the longest time. In light of these historical changes, Dr. Netanyahu’s socio-political status in the The Netanyahus shows the mainstreaming of the non-mainstream as compared to the current Prime Minister Netanyahu. This is meaningful in criticizing Ethnocentrism and racism, recalling that the Palestinian-Israeli conflict is intensifying and Palestinian damage is expanding as the reinforcement of revisionist Zionism and the tendency of far-right nationalism become mainstream in Israel.

      • KCI등재

        안락사의 서사, 죽음의 자기결정권과 공동체의 돌봄의 경계 - 은모든, 『안락』(2018)과 조수경 『아침을 볼 때마다 당신을 떠올릴 거야』(2019) -

        이행선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was implemented in Korea from February 2018, and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euthanasia was necessary in early 2019 for the first time. And with the first representative proposal of the Death with Dignity Act in Korea on June 15, 2022,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ath and the social wish for decent death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ncrete. In this situation, a work that has made a full-fledged novel about euthanasia came out from the end of 2018. Eun Mo-deun’s Comfort chose euthanasia as a way for a person who has adapted to society and has become old to end his life well as suffering from a “physical disease.”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who chose euthanasia and the family who had to send the individual away was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Jo Su-kyung’s I’ll Think of You Every Morning chose euthanasia as a way for a person who suffers from a mental illness to end a painful life due to social maladaptation. In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system that conducts euthanasia and the people preparing for euthanasia. there becomes the center of the narrative. Thinking of death through euthanasia makes us reflect on the problems of society and relationships that eventually make us choose death. Therefore, these works socialize the problem of self-determination of death due to aging and disease, family acceptance, and reflection on society and life that causes depression, evoke the need for education and social public discussion of death and the introduction of euthanasia system. 한국에서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었고 2019년 초 여론조사에서 안락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0퍼센트를 처음으로 넘었다. 그리고 2022년 6월 15일 ‘조력존엄사법’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표 발의되면서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적 바람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국면에서 안락사에 대한 고민을 본격적으로 소설화한 작품이 2018년 말부터 나왔다. 은모든의 『안락』은 사회에 적응해서 노년이 된 사람이 ‘육체의 질병’을 겪으면서 삶을 잘 마무리 하는 방식으로 안락사를 택했다. 그러면서 안락사를 선택한 개인과 그 개인을 떠나보내야 하는 가족의 관계가 서사의 중심에 있었다. 이와 달리, 조수경의 『아침을 볼 때마다 당신을 떠올릴 거야』는 사회에 부적응해서 ‘마음의 질병’을 겪는 사람이 고통스런 삶을 청산하는 방식으로 안락사를 택했다. 이 작품은 안락사를 행하는 ‘센터’의 제도와 그곳에서 안락사를 준비하는 사람간의 관계가 서사의 중심이 된다. 안락사를 통한 죽음을 사유한다는 것은 결국 죽음을 택하게 하는 사회와 관계의 문제를 성찰하게 한다. 그래서 이들 작품은 노화와 질병에 따른 죽음의 자기결정권 및 가족 수용의 문제, 그리고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사회와 삶에 대한 성찰의 문제를 사회화 하면서 사회개선과 죽음에 대한 교육 및 사회적 공론화와 안락사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환기한다.

      • KCI등재

        (비)국민의 체념과 자살 : 일제말⋅해방공간 성명⋅선거와 도회의원을 중심으로

        이행선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일제시대는 지방자치가 실시되고 있었지만 일정 금액 이상의 세금을 내야만 유권자가 될 수 있었다. 대다수 조선인은 선거에서 제외됐고 민의를 대변해야 할 면장, 군수, 읍⋅부회의원, 도회의원 등은 당국에 협력하거나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바빴다. 해방 이후 조선인은 ‘국민’이 되어 5⋅10선거에 참여하게 되지만, 그 이전 과도입법의원과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 여전히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비국민 이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일제말기⋅해방공간 인민의 주권적 지위는 연속성의 차원에서 고찰할 수 있다. ‘공적 주권’이 허용된, 다시 말해 제한적으로만 행사할 수 있었던 인민들은 기 대할 것 없는 국가와 궁핍한 현실 앞에서 체념하거나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죽음은 서사화 되기 어려웠다. 천황을 위한 죽음을 강제 하는 성명, 남조선국민의 경계를 설정하고 그것에서 벗어난 이의 배제⋅죽음을 의미한 단독선거 등이 연속되는 역사적 현실이었다. 극빈층인 하층민이 ‘권세’ 있 는 장례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일제말이나 해방 이후나 국가와 관련된 죽음이어야 만 가능했다. ‘애국 국민’으로 규정된 이의 장례(신사, 애국장⋅국민장⋅단체장 등)는 사적 죽음이 공적 정치행위와 분리되지 않은 시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총 력전 시기의 소설과 해방 이후 일제말기 하층민의 죽음을 둘러싼 소설적 재현의 차이는 하위주체의 죽음을 공적으로 발화할 수 있느냐의 문제뿐만 아니라 그 죽 음을 강제한 주체가 누구인가를 드러낸다. 따라서 본고는 그 죽음의 한 원인으로 당국과 민중 사이에서 정치⋅경제적 매개역할을 했던 도회의원에 주목한 것이다. 첨언하면 이들 중에는 정⋅동 총대직을 역임했던 이들도 있었다. 요컨대 본고는 선거라는 ‘공적 주권’ 행사의 시원을 둘러싼 문학적 재현뿐 아 니라 그것을 확보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권력과 (비)국민의 괴리, ‘실망’의 내 면화 등을 살폈다. 그리고 그 과정에 개입한, 체제의 구조적 억압과 모순의 한 자 화상으로서 ‘도회의원’에 착목했다. 이를 통해 일제말, 해방 이후 청산되지 않은 역사가 형성되는 하나의 양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테프 차의 서사전략(가족생애사, 가해와 피해의 전복)과 ‘애도와 화해의 불/가능성’ : 두순자 사건(1991)과 사이구(LA 폭동), �너의 집이 대가를 치를 것이다�(2019)

        이행선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1

        Korean-American writer Steph Cha's Your House Will Pay(2019) was translated in 2021. The author conceived the work by recalling the Soonja Du case(Killing of Latasha Harlins, 1991) and the LA riots(1992) as he witnessed the death of Michael Brown(18), a black man, in a police shooting in 2014 and the Ferguson riots. With 2019 as the background, the writer has built a narrative that deals with issues of race, family, violence, mourning, and forgiveness, revealing the tragic truth about the Jungja Han case (=Soonja Du case) 28 years ago. The author, who has already begun restoring and memorying socially about racial murders that have been recorded as historicalevents but forgotten in society, was forced to contemplate narrative strategies and perspectives that recombined and conveyed various positions and wishes of those involved in the case.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research on the narrative strategy and narrative effect of this work and to investigate the issue of racial mourning and reconciliation im/possibility, focusing on theissue of acknowledging responsibility for murder.

      • KCI등재

        사이구(LA 폭동) 30주년(2022), 아메리칸 드림과 인종 갈등의 무/의식 그리고 ‘피해자 인종주의’ : 『흉터 위에 핀 꽃』

        이행선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3

        A collection of works commemo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Saigu, Flowers Blooming on Scar was published in Korea on March 25, 2022. Saigu, which continued until May 4, caused enormous damage to the Korean town when a white police officer accused of indiscriminate beating of African American driver Rodney King was acquitted on April 29, 1992. It was the Saigu that the Black-White Conflict was expressed as the Black-Korean Conflict.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of America said, “The LA riots are a scar that shook the roots of Korean immigrants and an event that awakened the eyes of new immigrants.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April 29 LA riots, we have once again published this collection of works to share and honor its meaning with the Korean community.” More than 30 years after the Saigu, what did Korean immigration writers want to convey to their readers? This article attempted to study the current meaning of the 30th anniversary work written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aigu. 사이구(LA 폭동) 30주년 작품집 『흉터 위에 핀 꽃』이 2022년 3월 25일 한국에 발간되었다. 흑인 운전자 로드니 킹을 무차별 구타한 혐의로 기소된 백인 경관에게 1992년 4월 29일 무죄 판결이 내려지면서 폭발한 흑인의 분노가 5월 4일까지 이어진 사이구는 한인 타운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흑・백 갈등이 한・흑 갈등으로 표출된 것이 사이구였다. 미주한국문인협회는 “LA 폭동은 한인 이민자들의 뿌리를 송두리째 뒤흔든 상처이자 새로운 이민자의 시선을 일깨운 사건이라 할 수 있다. 4・29 LA 폭동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시 한 번 그 의미를 동포사회와 나누고 기리고자 이 작품집을 발간하게 되었다.”는 발간 취지를 밝혔다. 사이구가 일어난 지 3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계 이민작가들은 독자에게 무엇을 전달하고자 했을까. 본고는 사이구 30주년을 맞이하여 집필된 30주년 작품이 사이구 사건을 추모하고 사회화하고자 하는 무/의식의 의미를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해방공간 ‘미국 대리자’의 출현,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

        이행선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5

        The Soviet Union to investigate the anti-communism was the best country. Colony, and in fact China, Koreans inside the socialist countries was available to investigate. In contrast, the sovereignty of the United States on behalf of the South Korean political subject was substantial. U.S. Democracy advocated anti-communism as the above was not politically neutral. One that the U.S. military presence in Korea was not a political ideological wasteland. Lost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I had various ideas competition to emerge. In addition, efforts to shipbuilding to create ideology was being done. “U.S. military and the Korean People's” political confrontation was inevitable. People's expectations about the new politics as a big disappointment is bound to be proportional. There has been overwritten ethnic feelings. So, the Liberation Army and the U.S. military occupation will have a contradictory image. ‘Idealized American’ was modified and re-check recognition is required. Koreans really matter when this happens the “Americanization and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Was it a sense. This is free, while the U.S. military stationed in Korea Koreans movies, radio, newspapers, etc.-mediated indirect experience beyond the military government began to direct contact with the culture. One novel and reproduce the figure (directly illuminating the document as a political ideology spread) as in day-to-day in that area, or mimic Americanized deal with people who are negative. Thus, the effect of Americanization specific visualization reveal how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the Do not limited to, return the American students and Korean national and American delegates to the ne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udy. In this article, previous studies did not address in depth realize the American delegate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tube and the Koreans will look at the reality of Americanization. I know this novel that tells the meaning. Not only that, but it's a contemporary issue raised indirectly what can be captured. Written work context and considering the political effects approach can be called. 해방공간의 소련은 반공주의를, 반식민지였던 중국은 조선인의 사회민주주의적 내면성을 구명하는데 유효한 인접국이었다. 이와 달리 미국은 남조선의 주권을 대신한 실질적인 정치적 주체였다.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한 미국은 반공주의가 보여주듯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조선 역시 정치사상적으로 황무지가 아니었다. 일본이 떠나가고 난 조선에는 각종 주의가 창궐해 경쟁하고 있었으며 조선식의 주의를 창출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미군정과 조선인의 정치적 대립은 필연적이었던 셈이다. 미군정의 새로운 정치에 대한 인민의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비례할 수밖에 없다. 거기에는 민족감정도 덧씌워졌다. 그래서 미군정은 해방군과 점령군의 모순적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이상화된 미국’이었다는 인식의 수정 및 재점검을 요하는 지점이다. 사정이 이럴 때 과연 조선인에게 미국화와 미국관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조선인은 영화나 라디오, 신문 등을 매개로 한 간접경험을 넘어 미군정의 문화를 직접 접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모습을 재현한 소설은 (이념을 직접적으로 유포하는 정치계몽서가 아니라) 일상 영역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미국화를 모방하거나 부정하는 인물을 다루게 된다. 따라서 미국화의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의 범주를 미군정에 국한하지 말고 귀환한 미유학생․재미조선인 등 ‘미국 대리자’로 확장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미처 심도 깊게 다루지 못한 ‘미국 대리자’를 통해 조선인의 미국관과 미국화의 실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소설이 지시하는 직접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역으로 그것이 간접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당대 문제는 무엇인가 파악할 수 있다. 작품이 쓰인 맥락과 정치적 효과를 고려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 사이비 종교와 종말에 맞서는 분노의 감정 윤리- 토스카 리, 『라인 비트윈』(2019)을 중심으로

        이행선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lex emotion of "anger" that examines pseudo-religion and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main character Roth facing the end of mankind. · Research background: The novel is a timely work for current readers who are concerned abou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andemic caused by another new virus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re is no existing research. · Research method: The main charact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change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t and the emotional ethics of anger was analyzed. · Research results: The emotional dynamics of anger function as one of the positive emotional ethics with present timeliness in the global transition of the climate crisis in which reality response and transformation are required and evoke its social valu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novel makes a impression on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environmental justice, and humanity issues to readers here who are suffering from the global disaster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limate crisis. It also calls for more in-depth reflection on the feelings of anger in the "era of anger being praised." · 연구 주제: 사이비종교와 인류 종말에 맞서는 주인공 로스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분노’라는 복합감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 연구 배경: 코로나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에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팬데믹을 우려하는 지금의 독자에게 이 소설은 시의성 있는 작품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연구는 없다. · 연구방법: 주인공의 의식과 행동 변화를 파악하며 그것이 분노의 감정 윤리와 맺는 상관성을 분석했다. · 연구결과: 분노의 감정 동학은, 현실 대응과 변혁이 요청되는 기후위기의 지구적 전환기에 현재적 시의성을 지닌 긍정의 감정 윤리의 하나로서 기능하며 그 사회적 가치를 환기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이 소설은 코로나 팬데믹과 기후위기라는 지구적 재난을 겪고 있는 지금 여기의 독자에게 지구적 시민성과 환경정의, 인간성 문제의 경각심을 심어준다. 또한 ‘분노가 찬양받는 시대’에 분노의 감정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성찰을 요청한다.

      • KCI등재

        외국인보호소와 인권 그리고 연대 - 이유, 당신들의 나라 (2023)

        이행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3

        In March 2023,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it was unconstitutional in relation to the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The indefinite detention system of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has become a problem.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the restrictions on freedom of the body of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are excessive and similar to arrest detention, but there is no neutral control such as court, and it is administrative convenience detention, and ordered a rev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law by May 2025. In the climate of Korean society, which is reluctant to accept immigrants or refugees, there is a very lack of social interest in the human rights of unregistered immigrants who are considered illegal immigra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March,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a novel about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Your Country, was published. The background of this work is 2021, the setting is Hwaseong Immigration Processing Center, and the main character is Korean "I." "I" was one of the visitors to the Migrant Center's program to visit prisoners at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Therefore, this work has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I" visits a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and alternately meets several inmates in the visiting room. In this regard, "I" is a helper who listens to grievances and helps with what is necessary through conversation with each inmate. In this process, the reality of Foreigners' Protection Center and the history of prisoners are visibl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by the Korean authorities are exposed, so "I" is a visitor to the prisoner's testimony and serves as an epic function to induce self-reflection in Korean society. Through this, reader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Korea, the title of the book, Your Country.

      • KCI등재

        책을 ‘학살’하는 사회 - 최명익의 「비 오는 길」

        이행선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한국문학연구 Vol.0 No.41

        Cho Myung-ik is a modernist, who deepened schismaticness within him. It has been considering an urban space of the colonial capitalism, the velocity of a train, the disease, and dea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ismaticness. This manuscript is focused on the relation aspect with other people during the schismaticness process of the characters. What reasons make the schismaticness between others?Eventually, it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s and people. In this context, this manuscript is discussing a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the literature, including how to realize the (class) ‘distance’ between them through The Rainy Road by Choi Myung-ik. This will be asked to the party's presence, who chose the 'book' in the mid to late 1930s and the modern critics(showed by a photographer) are to avoid flowing into the scheme about the desire in daily life. Meanwhile, that the photographer's death was granted, out of existing discussions in the composition, (in the novel, but he doesn't die) there is some room that Byung-il can be associated with ‘death’. To do this, it will take a look at his existential condition, Pyeong-yang and analyze how his inner side is divided there with jouissance. For this analysis, the relationship, which Byung-il and the photographer talking with him, set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each other's gaze and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roceedings. It will be revealed the status and existence of the book in this composition. 최명익은 지식인의 분열적 내면을 깊이 형상화한 문학자이다. 그 분열을 이해하기 위해 식민지자본주의 도시공간, 기차의 속도성, 병과 죽음 등이 고려돼 왔다. 본고의 관심은 등장인물의 분열과정에서 드러나는 타자와의 관계 양상이다. 타자와의 분열성은 어떤 연유에서 기인하는 것인가. 그것은 ‘지식인-민중’간의 관계에서 지식인의 위상 문제와 관련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비 오는 길」을 통해 최명익의 지식인과 민중 간의 (계급적) ‘거리’ 인식 문제를 포함한 문학적 성격과 의미를 재론하려 한다. 이것은 1930년대 중후반 ‘책’을 선택한 자의 존재 의미를 묻는 것이며, 근대 비판이 (사진사가 보여주는) 일상의 욕망을 지나치게 재단하는 도식으로 흐르는 것을 지양하려는 것이다. 그동안 사진사의 죽음을 당연시했던 기존 논의 구도에서 벗어나, (소설에서 죽지 않지만) 병일 역시 ‘죽음’과 관련지어 재독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해 병일의 실존적 조건인 평양을 살펴보고, 그곳에서 분열하는 병일의 주이상스적 내면을 분석했다. 또한 텍스트에서 병일 그리고 그와 대화를 나누는 사진사의 관계는 정신과 환자와 의사의 구도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 두 인물의 만남에서 서로의 응시와 심리 양상의 전개과정에 주목했다. 이 구도 속에 책의 위상과 존재 의의가 드러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