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해임(LEE Hae-im)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 화이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두 사람은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로 설정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는 『공양전』의 화이관과 일맥상통하는 지점이다. 여기서 문화는 유교의 전장과 예법이다.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중화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유교 문화를 따르지 않는다면 중화에서 이적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반대로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이적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그 국가가 유교 문화를 따른다면 이적에서 중화로 변화할 수 있다. 허형과 정몽주는 모두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 즉 정주성리학으로 삼았다. 다만 허형은 군주의 통치 목적인 실용주의 노선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형이하와 실천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몽주는 사대부 중심의 왕권 견제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힘의 원리를 넘어선 초월적 영역에 도덕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성리학 이론 자체를 순수하게 이해하는 정통주의 노선으로 나아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eo Hyeong and Chung Mong-ju’s Sino-Barbarian Theory.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setting the standard of Sino-Barbarian Theory as Culture. This is in line with Sino-Barbarian Theory of Gongyangzhuan. Here, Culture represents the political system and ritual of Confucianism. Even a civilized natio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does not follow a Confucian culture, it can be transformed from a civilized country into a barbarian one. Conversely, a nation is a barbaria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follows a Confucian culture, it can change from a barbarian state to a civilized state. Heo Hyeong and Chung Mong-ju adopted the differences of Sino and Barbarian as cultural that is Cheng-Zhu Neo-Confucianism. However, Heo Hyeong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accordance with the pragmatism, which was the purpose of the Emperor s reign. This was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physical realm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Chung Mong-ju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line with the checking on the royal authority centered on the scholars. This is an orthodox line that purely understands Neo-Confucian theory itself by laying the basis for morality in the transcendental realm beyond the principle of power.
포커스 : 보험이해력 제고 사례 검토: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제공
변혜원,이해랑 보험연구원 2015 KIRI 리포트(포커스) Vol.338 No.-
보험이해력은 소비자가 자신이 직면한 위험수준을 인식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정보에 기초한 보험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나 소비자실험 결과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의 보험이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위험인식 및 위험평가 측면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보험이해력이 부족할 경우 소비자가 위험에 대해 적절한 대비를 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소외, 사회안전망 비용 증가 등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보험 이해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보험이해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웹페이지를 통한 정보 제공을 활용할 수 있는데, 동 수단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는 전체 화면의 간소화, 효과적인 범주화, 핵심확인사항 등 간결한 내용의 정보 제공, 추가적 정보나 도움을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
이해리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Donald Winnicott's concept, 'impingement by the environment,'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deeper pathology than neurosis. According to him, maternal failure to insulate the infant's budding self from impingement results in trauma and deficit of self. He suggested a metaphor of 'holding', which means providing an analytic environment that does not interrupt but facilitates clients' vulnerable 'being' and 'being alone' to resume their maturation. This special therapeutic adaptation assists clients to find their spontaneity so that they can be really alive and love as well as compensate and recover their disrupted self.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veral dimensions of 'holding'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along with one's senses of being, being alone, and becoming one's true self. Holding is explored as a 'primary maternal preoccupation' with its significance for both mother and infant; and as a 'background being' and the possible changes its internalization brings. For clinical implications, holding confusion and meaninglessness are discussed; holding distorted and fragmented self; holding struggles for being; holding 'not-being.' Some critical issues in the clinical practice of holding are discussed as well as challenges for therapists. Some clinical vignettes from the author's cas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disrupted being and being alone, and how to hold in a therapy session. 본 연구는 생애 초기의 외상과 박탈로 인한 어려움들을 가진 내담자들을 단지 진단분류와 증상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내면의 존재 경험으로부터 이해하고, 그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접근을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위니캇의 ‘환경에 의한 침범’이라는 개념은 욕구 갈등으로 개념화되는 신경증 보다 한층 깊은 병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싹트는 자아의 발달을 침범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모성기능의 반복적인 실패는 유아에게 외상과 함께 치명적인 자기의 결손을 초래한다. 이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을 방해 받지 않는 치료적 공간, 곧 안아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특별한 형태의 치료적 적응은 손상된 자기의 보상과 회복을 가능케 해줄 뿐 아니라, 자기 안의 사랑과 공격성을 발견하도록, 즉 진정으로 살아있고 사랑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아주기의 임상적 중요성을 개인의 살아있음의 감각과 참 자기의 확립 그리고 변형의 가능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존재의 최초의 경험으로서 살아있음을 붙들어주는 일차적 모성 몰입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이 어머니와 유아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배경적 현존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의 내면화가 가져오는 변화를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박탈당한 결과로서 혼돈과 의미 없음을 안아주는 분석적 환경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또한 왜곡되고 파편화된 삶의 내면을 어떻게 접촉하고, 살아있음을 위한 이들의 분투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거짓자기로 살아가는 이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이들의 존재하지 않음을 어떻게 안아줄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안아주기의 임상실제에서 직면하게 되는 이슈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목회상담자로서 우리에게 주는 도전들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필자의 간략한 사례 예시들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방해받은 삶의 양태들을 이해하고, 안아주기가 임상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고자 제시되었다.
이해랑 ( Lee Haerang ),나종연 ( Rha Jongyeon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9 금융소비자연구 Vol.9 No.2
최근 금융업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과 IT기술을 소비자들의 금융 상품 소비 촉진, 고객관리, 위험률관리 등에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비자학 분야의 연구에서 금융업에 적용된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분야의 게이미피케이션과 관련한 해외 연구와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금융 분야의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연구와 적용 사례를 살펴 본 결과 게이미피케이션은 소비자들의 금융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지나 사용 의도, 금융상품 및 서비스 이해도, 브랜드 충성도, 실질적인 영업성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이미피케이션을 금융소비자 교육에 적용한다면, 금융 지식과 금융 정보에 대한 금융 소비자들의 흥미도와 관심 증대, 금융 이해력 증가, 긍정적인 재무적 행동 변화 등을 예측해볼 수 있다. 이에 향후 금융소비자들의 금융 역량 증가와 실질적인 재무생활의 변화를 위하여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금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In the financial industry, we are actively applying the gamification and IT to stimulate consumer consumption of financial products, customer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study on the gamification that is applied to the financial industry in the field of domestic consumer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overseas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the gamification in the financial field. As a result of studying and studying the application gamification in the financial field, it is found that the gamif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understanding of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brand loyalty, Respectively. Applying gamification to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can predict financial consumers' interest and interest in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information, financial comprehension, and positive financial behavior chang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financial capacity of financial consumers and to change the financial life of financial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gram evalua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gay communication.
이해일,김정훈,김창진,이정교,권병덕,Rhee, Hae Il,Kim, Jeong Hoon,Kim, Chang Jin,Lee, Jung Kyo,Kwun, Byung Duk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2
Objectives : Chemotherapy remains part of the treatment triad that includes surgery and radio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glioblastomas, but disappointing results of chemotherapy have raised the suggestion that chemotherapy should perhaps be abando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hemotherapy effect given in addition to radiotherapy, we performed a randomized clinical study of irradiation alone and combination of irradiation with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s. Methods : From 1991 to 1999, 204 consecutive patients suffering from supratentorial glioblastomas were treated in our hospital. We compared the survival rates/times of these pati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group I-67 patients treated by surgery with radiotherapy and adjuvant chemotherapy(ACNU, paclitaxel, tamoxifen, and others) ; group II-106 by surgery with radiotherapy ; and group III-31 by surgery only]. Results : The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12 months, with overall survival rates at 1 and 2 year of 46.7% and 16.6%,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median survival and 1-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statistically improved by the use of chemotherapy ; group I-15 months, 75.7%, and 25.9%, group II-11 months, 39.3%, and 15.4%, and group III-3 months, 9.7%, and 6.5%, respectively(p=0.0001). But, on multivariate analysis considering compounding variables, surviva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only with radiotherapy(p=0.0112).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chemotherapy to radiotherapy does not affect the overall survival in glioblastomas. Mainly long-survivor glioblastoma patients might benefit by adjuvant chemotherapy, which probably means patients with initial favorable prognostic factors(young age, minimal residual tumors, good performance statu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earch for an effective chemotherapy regimen to prolong survival of patients with glioblastomas.
이해원,김도승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5
생명 공학, 지능정보 기술 등 다양한 신기술이 우리 사회를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은 이른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신기술에 대한 개발 진흥과 적정 규제를 처리하는 것은 기술이 더 개발될 때까지 제시된 위험을 충분히 이해하고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기술 개발 초기를 비롯해 기술 개발이 어느 정도 성숙된 지점에서 어떠한 규제가 적절한 것인지를 유연하게 평가할 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역량이 되고 있다. 오늘날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규제 혁신 프로세스는 과학적 불확실성과 기존 기술의 파괴와 같은 신흥 기술 관리의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과거의 경직된 규제 시스템을 넘어 보다 능동적이고 유연한 규제 거버넌스를 구현하기 위해 위험의 적정 평가와 중간 단계의 탄력적 대응, 광범위한 이해 관계자에 대한 조정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정부는 신산업의 패러다임과 신기술에 대한 규제제도를 바꾸기 위해 최근 4대 규제혁신법을 제정․개정하는 등 다양한 규제혁신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규제 혁신모델로서 ‘규제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를 빼놓을 수 없다. 규제샌드박스는 정보통신 융합 및 산업 융합 분야를 기반으로 2019년 4월 4일 금융권에서 시행되었다. 규제 샌드박스는 신제품 및 서비스 출시 시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 또는 유예하고 사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규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정책을 통해 회사는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새로운 제품․서비스가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는 한 정부는 새로운 혁신이 시장에 신속하게 출시되도록 지원하게 된다. ‘규제 샌드박스’ 제도는 기존 규제를 유지하더라도 시장 진입이나 시험 규제를 유연하게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됐다.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장․단점을 예견하기가 쉽지 않으며 영향을 받는 사람들 사이에 그 유해성에 대해 논쟁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본 논문은 한국형 규제샌드박스의 다양한 쟁점과 현실 문제를 인식하여 ‘ICT 규제샌드박스’의 현황 분석을 토대로 규제 혁신모델로서 규제샌드박스를 정립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현행 규제샌드박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으로 ① 규제샌드박스 내 단일창구 구축 ② 임시허가와 특례의 구분 명확화 ③ 입법 개혁의 촉진 등 우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1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quality improvements on school guidance, investigating the state and its improvements on guidance directed at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178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out the nation were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30 questions) consisting of the factors- 'understanding students', 'instructing sociality', 'directing career' and 'counseling activit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all level of school guidance showed 'average' and 'counseling activity', among the factors, suggested the highest level. Secondly, in all factors, male students revealed higher level than female ones and students with the congenital ophthalmic ailment, higher than those with the acquired one. In 'understanding students' and 'instructing sociality', students in highschool suggested higher level than those in middle school. Thirdly, for 'current worries and what needs to be helped', 'school performance' indicat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career choice'. As a preferable counselor, male students chose 'homeroom teacher' most, followed by 'mother' and female students, 'another teacher', followed by 'homeroom teacher'. In counseling experience with homeroom teach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o have ever experienced' was higher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o have never experienced' was higher. In motivation for counseling, 'teacher's request' indicated the highest. In satisfaction of counseling resul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flected higher level and for reasons not to counsel, 'not to have contents to counsel',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isplayed the highest. Restrictions needed in the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시각장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지도의 실태와 개선방향을 조사하여 학교생활지도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전체 30문항의 설문지에 학생이해, 사회성지도, 진로지도, 상담활동 등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지도의 전반적인 수준은 ‘보통수준’이며, 하위요인 중, ‘상담활동’이 가장 높았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후천성이 선천성보다 모든 요인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학생이해’와 ‘사회성지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재 고민거리와 도움 받고 싶은 내용은 ‘성적’, 다음으로 ‘진로선택’이 가장 높았고, 상담의 주된 대상은 남학생은 ‘담임선생님, 다음으로 ‘어머니’ 그리고 여학생은 ‘다른 선생님’, 다음으로 ‘담임선생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담임선생님과의 상담경험은 남학생은 ‘있다’가 여학생은 ‘없다’가 높았고, 상담하게 된 계기는 ‘선생님의 요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담결과에 대한 만족은 남녀학생 모두 높았으며, 상담하지 않는 이유로는 남녀학생 모두 ‘상담할 내용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에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