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이트의 神에 대한 강박과 종교론: 종교적인 내담자 상담에의 함의

        이해리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Sigmund Freud was an atheist to the bone but obsessed with God and religion through and up to the very end of his life. As a result, his legacies of rich yet full of contradictions and controversies influenced psychotherapists in their attitude on clients' religious experiences mainly in a negative way. This study explores Freud's underlying psychodynamics and his works on religion as well, on the basis of his writings including monographs, books, letters and related researches. His thoughts on God and religion could be understood and appraised properly when considering not only his own Oedipal complex and family background but also his psychological conflicts related to jewish identity, anti-Semitism and war.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of religious clients are given. Freud는 신과 종교를 부정하고 배격한 철저한 무신론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언제나 자신이 부정한 신과 종교라는 주제에 몰두했으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이에 매달릴 정도로 강박적이었다. 그 결과 그는 방대하고 논란이 많은 종교론을 유산으로 남겼고, 이는 상담 및 심리치료자들의 태도와 내담자들의 종교경험을 이해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신의 문제와 종교에 관련된 프로이트의 원저들과 편지들 및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기저의 심리적 역동들과 종교론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프로이트 자신의 Oedipus 갈등을 비롯한 가족배경과 성장사, 그리고 당시의 반유대주의적 문화를 둘러싼 심리적 역동들과 전쟁의 영향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의 신에 대한 강박과 종교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이 종교적인 내담자를 만나는 상담자에게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유연성 역할에 대한 사례연구

        이해리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역경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으로 적응해 나가는 능력’으로서 ‘유연성(resilience)’이 청소년들의 역경 상황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역경과 유연성 수준이 모두 상위 25%에 속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사례의 진술들은 역경의 분석, 역경에 대한 정서적 반응, 역경 극복의 힘으로서 유연성에 대한 인지, 역경에서의 이점 발견 및 다른 사람들의 역경에 대한 태도라는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에 따라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의의 및 연구의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resilience in the adolescents' positive adaptation. Six adolescents(3 males and 3 females) who were among the upper 25% of both the risk and resilience categories were given 8 standardized open questions. The narrations of these resilient youths were coded by the method of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 was analyzed according to 5 themes: content analysis of adversities, emotional response to the adversities, recognition of the resilience, benefit finding and attitude on the others' adversities.

      • KCI등재후보

        역경과 유연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해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역경과 유연성이 청소년 적응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역경은 개인적, 가 족적, 환경적 위험들을 포괄하여 수준별로 분석하였고, 유연성도 다차원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 내적 특성들과 외적 보호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적응결과는 정신건강과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수준 을 보호성과 취약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고 역경 조건에서도 높은 적응수준을 보이는 유능 집단은 고 역경에서 낮은 적응수준을 보이는 부적응 집단에 비하여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 영적 유연성이 더 뛰어났으며, 가정과 학교, 또래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의미있는 참여에 더 적극적이었다. 또한 유연 한 청소년들은 역경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신건강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보호적-안정화), 학교생활적 응은 다소 영향을 받긴 하지만 월등한 적응수준을 유지하고(보호적-반응), 친사회적 행동은 오히려 증가함으로 써 고 역경 상황에서도 외부사회와의 적극적이고 이타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보호적-강화). 반 면에 유연성이 낮은 청소년들은 역경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신건강이 저하되고(취약화-반응), 학교생활적응이 급격히 감소되는 취약성을 보였으며(취약화-반응), 친사회적 적응도 유의하게 감소됨으로써 반사회적 행동화의 가능성을 암시해주고 있어서 취약성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취약화-반응). The first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rotectiv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high functioning adolescents at high risk from low functioning ones. Results of t-tests proved that competent adolescents at high risk have more cognitive, emotional, volitional, and spiritual resilience; to be more active in the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n family, school, peer relation, and community situation. The second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ity and resil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as the level of adversity increases, resilient adolescents can keep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protective-stabilizing), show much higher adjustment in school life even though affected more or less by the high adversity(protective but reactive), increase their pro-social behaviors at high risk (protective-enhancing). By contrast, the non-resilient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ved to be threatened, their school adjustment to be severly frustrated, their pro-social behaviors to be scarce as the level of adversity increases(all vulnerable-reactiv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심리치료에서의 종교와 하나님표상에의 접근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이해리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4

        종교에 대한 프로이트의 관점은 종교가 Oedipus 갈등의 산물, 곧 유아적인 신경증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환상이며, 인류의 보편적인 강박신경증이라고 규정하고 개인과 인류의 성숙을 위해서는 이 환상을 극복해야한다는 것이었다. 프로이트의 이러한 견해가 정신분석학계에 자리를 잡으면서 종교적 신념들을 미숙하고 퇴행적인, 극복해야할 전이로 인식하게 되고, 임상훈련에서는 내담자들의 종교적 관심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철저히 중립적 태도를 지키도록 교육되었다. 그러나 본능이 아닌 관계적 관점의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이 부각되면서, 종교에 대한 환원론적 관점의 한계를 넘어서서 창조와 통합의 과정으로 해석하려는 새로운 노력들이 나타났고 이에 경험적 연구들이 더해지면서 진전을 보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인간의 종교적 체험이 심리적 현실의 토대와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는 전제 위에서, 인간이 어떻게 해서 궁극적 존재를 추구하게 되고 각자 자신에게 특유한 종교적 신념과 하나님표상을 형성하게 되는가, 또 신앙이 인간의 생애 경험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하는 실제적인 물음에 관련된 대상관계이론적 관점을 개관하였다. 이에 관련된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과 평가적 도구들도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대상관계이론적 조망이 임상 및 상담현장에 주는 상담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Hoping for sharing some theoretical issues and clinical insights on clients’ inner world, this study explores faith and God repres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The chief concerns were 1) to understand the inner process involved in creating one’s own private God representation and the faith in God, 2) to pursue the developmental pathways of the God representation, that is, how the God representation develops/ distorted/ fixed with the individual’s object relations, 3) to examine how the God representation interacts with him at each phase of development and crisis, and how the individual uses this God re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some important Object Relations Theorists’ studies, overcoming reductionist view point of traditional psychoanalytic stance, were reviewed. They view the faith and God representation as transitional phenomena and a special transitional object respectively.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illusion as a creative ability, involved in the transitional phenomena is emphasized in that it enables one to accept and transform the reality, to smooth his self-becoming process, to have better object relations. Current empirical studies were also reviewed with several categories for the researchers to get some ideas on the topic and research methodology. Finally mentioning the recent changes in APA regarding to religion and psychology, som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ere given.

      • KCI등재후보

        여성노인 노동력의 배제와 통합에 대한 고찰

        이해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5 여성학논집 Vol.22 No.2

        본 연구는 여성노인이 충분히 노동할 수 있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 및 노인 고용정책에서 배제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노인 고용 촉진 담론들은 성별화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화된 노동시장 내에 포진되어 있는 많은 여성 노인들은 상용고 중심의 논의에서 자연스럽게 배제되고 있다. 그리고 비공식 부문에 분포되어 있는 여성노인들의 노동 조건 및 직종 확대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재하다. 이러한 정책 및 담론에서의 배제는 노동시장에서의 배제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성노인들은 노동경험을 통해 쌓여진 작업지식을 통해 적은 시간 내에 많은 노동량을 수행하는 등 충분히 노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노인은 연령차별과 성차별의 중층적인 작용으로 인해 주변화된 노동시장으로 '내몰림'당하고 심각한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 that aged women(over sixty) are excluded from the labor market and senior employment policy despite the fact that they can serve as a major source of potential labor pow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discrimination already exists within the policies and discussions for the employment of seniors. It basically tells us that policies and public discussions regard 'men' as the only source of labor power, excluding aged women from it. Second, these exclusionary policies and discussions against aged women are leading to their actual exclusion in the labor market. Senior employment-promoting centers do not take aged women's inferior status and their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seriously. Aged women are simply recognized as a group of people who lack work experience, labor capacity, and responsibility. Third, it is a wrong assumption to think that aged women do not have enough working capacity. Aged women can perform a lot of work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routine work knowledge. Their speedy of work knowledge increases not only productivity but also working speed. Nevertheless, they are constantly being marked as "inferior" due to their age and gender.

      • 대상관계와 종교경험

        이해리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07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 No.-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은 Oedipus 갈등의 산물, 곧 유아적인 신경증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환상으로서 종교를 규정한 환원론적 관점을 넘어서서, 본능이 아닌 관계적 관점에서 종교를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이 개인에게 지닌 가치와 힘을 발굴해내었다. 근래에는 이와 관련한 경험적 연구들이 진행됨으로써 이론적으로뿐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더 많은 시사점들을 주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인간의 종교적 체험이 심리적 현실의 토대와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는 전제 위에서, 인간이 어떻게 해서 궁극적 존재를 추구하게 되고 각자 자신에게 특유한 종교적 신념과 하나님표상을 형성하게 되는가, 또 신앙이 인간의 생애 경험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하는 실제적인 물음에 관련된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을 개관하였다. 또한 관련된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과 평가적 도구들도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대상관계이론의 조망이 임상 및 상담현장에 주는 상담학적 함 의를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