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이후의 소아청소년 치면열구전색 환자에 대한 분석

        이한길,손동현,나채현,김지훈,Lee, Hangil,Son, Donghyun,Na, Chaehyun,Kim Jih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의 급여화 이후 치면열구전색 처치를 받은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성별, 나이, 보험종류, 지역, 의료기관 등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총 8,454,636명의 환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이중 치면열구전색 처치가 포함된 환자는 114,680명이었다. 여자에서 남자보다 치면열구전색 처치를 받은 비율이 더 높았고, 5 - 9세 집단이 다른 연령에 비하여 가장 많은 치면열구전색 환자 및 진료 비율을 보였다. 보험의 경우 건강보험을 가진 경우가 의료급여에 해당하는 환자에 비해 치면열구전색 진료를 받은 비율이 높았고 진료기관은 치과의원, 치과병원, 보건소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비교에서는 경기도가 가장 많은 치면열구전색 환자를 보였으나, 환자 비율의 경우 전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who received sealant after health insurance coverage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insurance type, care institution and region.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8,454,636 patients' data were obtained from 2010 to 2017. Of these, 114,680 patients got sealant treatment. Femal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sealant treatment than males. 5 - 9 year age group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and proportion of treatment. Patients with health insurance were more likely to receive pit and fissure sealant treatment compared to patients with medical aid program. The number of sealant patients and the proportion of sealant treatment were the highest in dental clinics, followed by dent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The number of sealant patients were the highest in Gyeonggi and proportion of sealant patients were the highest in Jeonbuk.

      • KCI등재

        Validity of Film-Thickness Estimates Based on 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Using Various Inelastic Mean-Free-Path Formulae

        이한길,Chanyong Hwang,Dohyun Lee,김세훈 한국물리학회 200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1 No.III

        We investigated the thickness of Ag on a W(001) substrate and the native oxide on top of a $\rm Si_{0.8}Ge_{0.2}$ alloy grown on Si(100) substrate. We us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o confirm the consistency of various inelastic mean-free-path formulae. Because the Ag/W(001) system is composed of four core levels (W 4$\it f$, W 4$\it d$, Ag 3$\it d$ and Ag 3$\it p_{\rm 3/2}$) and the $\rm O_2$/$\rm Si_{0.8}Ge_{0.2}$ on Si(100) system is composed of three core levels (Si 2$\it p$, Ge 2$\it p_{\rm 3/2}$ and Ge 3$\it d$), these systems are quite useful for checking the accuracy of various inelastic mean-free-path(IMFP) formulae with a variety of combinations between films and substrates. We found that the reported inelastic mean-free-path formulae were uncorrelated in our systems.

      • 양양군 현북면 서낭제 연구

        이한길(Lee Han-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양양군 각 읍ㆍ면 서낭제를 살펴보는 과정으로 현북면을 살펴보았다. 현북면은 중앙으로 38선이 가로지른다. 그 영향으로 일부 전승단위에서는 서낭제가 전승되지 못했다. 물론 다른 이유도 많았다. 서낭제가 전승되는 마을은 20개 전승단위 중 10개로서 전승율은 50%였다. 10개 마을 대상으로 서낭제의 특징을 7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 제사일시를 살펴보면 정월 외에도 산촌의 특징인 3월이나 9월도 많았다. 제사 시간은 대부분 오전에 지냈다. 2) 제당의 형태는 당집과 서낭나무가 결합된 형태가 많았다. 한 곳에 당집과 서낭나무가 같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당집 따로, 서낭나무 별개로 두 곳의 서낭이 있다는 말이다. 3) 그러면서 각기 암수서낭으로 구별하였는데, 아마도 암수의 성적관념을 빌려와 풍요를 담보하려는 소망이 담겨 있지 않을까 여겨진다. 4) 축문은 대치리, 명지리, 어성전리, 원일전리 등에서 전승되고 있었는데, 대치리, 명지리의 축문은 100여 년 이상 되어 보였다. 5) 제사 진행과정은 유교식을 기본으로 하여 소지가 추가된 형태였다. 어촌인 기사문리는 용왕제도 아울러 지내고, 산촌은 산신제가 추가된다. 6) 주요희생으로는 황소였지만, 오늘날은 소머리, 돼지머리로 대부분 대체되었고, 소의 頭四足을 사용하는 마을도 몇몇 되었다. 대치리는 지금도 수퇘지를 사용하고 명지리는 닭을 사용한다. 7) 음식을 만드는 이를 도가라 하지만, 이장이 되면 자동으로 도가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지란 말이 생겨났다. 그만큼 도가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한다. 현북면의 대부분의 마을은 이장이 제사를 책임지는 마을이 많았다. Yangyang-Gun(Gun=county) was governed by the North Korea from 1945 to 1950. The North Korea was believed in the materialism, so the religion and village ritual etc. of this region was taken a suppress by the ideology of the North Korea. The North Korea regarded its as superstition and oppressed its. During that times, The Seonang ritual of Hyunbuk-Myun(Myun=town) was vanished. For this influence Seonang ritual was discontinued in some villages of the Seo-Myun after 1954.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correlation of the materialism and the disappearance of Seonang ritual in this town. In the end the materialism of the North Korea have been some influenced into the disappearance of Seonang ritual in this town.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features of the Seonang ritual which continued in 20 villages of Hyunbuk-Myun. Ultimately I could take some results in this study processing. 1) In the most part of the villages Seonang ritual have performed in January and Mar etc. 2) The form of the ritual place(shrine) is the shape of house. 3) The written invocation prayer have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4 villages. 4) The major deity is the Seonang God. Th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eonang God is existing in Sex distinction of the Seonang, male and female. 6) It was serviced a bacon(or the head of pig) as the main sacrifice giving to the Seonang, and the Alaska pollack is also serviced. 7) In looking for The ritual processing the factor of the confucian and the shamanism are mixed.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it was some difference between the villages under 38 line and that above 38 line.(38line=the truce line)

      • KCI등재
      • KCI등재

        경항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경추 만곡에 따른 통증 및 피로도 비교 연구

        이한길 ( Han Gil Lee ),전태동 ( Tae Dong Joen ),홍서영 ( Seo Young H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0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bout quantity of pain and fatigue according to cervical spine curvature of patient with neck pain Methods :Cervical spine curvature was measured using the sagittal radiography of the cervical spine, neck pain was evaluated using the VAS and neck fatigue was evaluated using fatigue symptom checklist. Based on four line Cobb`s method, 51 subjects were divided into hypolordosis group, normal group, hyperlordosis group. Window version SPSS 12K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bout relation between pain and cervical spine curvature of each group, also about between fatigue and cervical spine curvature of each group. Result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pain and cervical curvature of each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fatigue and cervical curvature of each group. Conclusions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pain and cervical curvature of each group, also fatigue and cervical curvature.

      • 양양군 양양읍 서낭제 연구

        이한길(Lee Han-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江原人文論叢 Vol.14 No.-

        양양군은 오랜 역사적 연원과 더불어 풍부한 전통문화를 간직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38선으로 인하여 한때 전통문화가 말살되는 아픔을 겪기도 하였다. 바로 북한 정권의 미신타파라는 유물론적 이데올로기 때문인데, 이로 인하여 마을제의인 서낭제도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과연 미신타파 이데올로기가 정말로 양양군 양양읍 서낭제 전승과 단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그 영향은 있었지만 크지는 않았다. 오히려 양양읍성 장군성황제의의 영향이 더 커 보였고, 인구의 감소, 여타 종교 유입으로 인한 서낭제에 대한 관심 저조 등이 더 커 보였다. 다음으로 살펴본 것은 서낭제가 전승되고 있는 10개 마을이었다. 제사일시는 정월 초5일 이내에 대부분 거행했으며, 오전 3-5시 사이에 주로 지냈다. 제당은 서낭나무와 당집 등으로 나타났고, 告祝하는 마을은 5곳이었다. 주로 모신 신위는 성황지신이었으며, 里社之神을 모시는 마을도 있었다. 신위가 3위인 마을은 4곳이었으며, 암ㆍ수서낭의 개념 구분도 비교적 뚜렷하였다. 주요 희생으로는 돼지머리나 돼지고기를 사용하였고, 어물로는 명태를 사용하였다. 제관은 헌관, 축관, 도가로 구성되었고, 도가란 말 대신에 차지, 집사 등의 용어도 사용되었다. 제의절차는 일반 가정집 제사와 비슷했지만, 소지를 올리고 퇴송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났다. 그러나 임천리, 조산리는 소지를 올리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양양읍 서낭제의 특징은 주민들의 현실적 가치인식이 적절히 반영되면서 서낭제가 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워낙에 日氣가 불순한 점도 있었지만 마을회관에서 제의를 지내는 것이나 제사 일자를 고정시키고 시간을 3-5시경으로 조정한 것 등은 神본위적이 아니라 人본위적 가치 개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Yangyang-Gun(Gun=county) was governed by the North Korea from 1945 to 1950. The North Korea was believed in the materialism, so the religion and village ritual etc. of this region was taken a suppress by the ideology of the North Korea. The North Korea regarded its as superstition and oppressed its. During that times, The Seonang ritual of YangYang-Eup(Eup=town) was vanished. For this influence Seonang ritual was discontinued in 11 villages of the YangYang-Eup after 1954.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correlation of the materialism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Seonang ritual in this county. In the end the materialism of the North Korea was not influenced into the disappearance of Seonang ritual in this count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features of the Seonang ritual which continued in 10 villages of YangYang-Eup. Ultimately I could take some results in this study processing. 1) the month of the Seonang ritual is January in this county. 2) The Seonang ritual has been carried in the forenoon time for the most part. 3) The form of the ritual place(shrine) is the trees and the house. 4) The written invocation prayer is transmit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5 villages. 5) The major deity is the Seonang God, and Sex distinction of the Seonang was identified for the male and the female. 6) It was serviced a bacon(or the head of pig) as the main sacrifice giving to the Seonang, and the Alaska pollack is also serviced. Through above-mentioned I am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nang ritual in YangYang-Eup is very economic, present and considerable the correlation of the Seonang and the residents.

      • 영동단오와 영서단오의 비교 고찰

        이한길(Lee, Han-ki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8 아시아강원민속 Vol.30 No.-

        ‘영동단오와 영서단오의 비교’를 위해 우선 각 지역의 단오제 하나씩을 선정하여 간단하게 대비해보았다. 영동단오는 영동의 주요 도시인 강릉시의 단오제 하나를 선정하였고, 영서단오는 영서의 중심도시인 원주에서 단오제 하나를 선정하였다. 원주권과 강릉권에 속한 두 개 마을을 선정하여 단오제의 양식을 살펴보면서 인접하지 않은 두 마을 간에 단오제란 양식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이 글에서 주로 살펴본 단오제의 양식은 신격, 제의의 진행과정, 주관단체, 제물의 종류, 제의 시간 등등이었다. 이를 통하여 역사적 전개에 따라 두 마을 제의의 형편이 바뀌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고, 그 변함은 마을이 처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 선정한 두 마을은 강릉권의 금진이란 어촌, 원주권의 회촌이란 산촌이었다. 어촌과 산촌은 특히 대별할 수 있는 특징이 되었기에 한편으로는 어촌과 산촌이란 마을 간의 특징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강릉 금진마을의 단오제의 역사는 상량문을 살펴보면 300여 년 상당한 역사를 지녔는데, 원주 회촌마을의 단오제 역시 대동계의 역사를 통하여 살펴보면 적어도 100여 년 이상 되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at the traditional rituals can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comparing the very same ritual, Danoje from different areas, Hoeichun, the mountain village of Wonju, and Geumjin, the fishing village of Gangneung. Specifically, the different circumstance of the two villages casts out vivid contrast between two villages. This research mainly compares the deity, the host, the process, and the time of ritual, and the type of sacrifice in Danoj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e fact that two different villages have been changing their rituals in accordance to their situation and historical trend. There is nothing that remained unchanged, and the change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village. Give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anoje and regional contrast situation, despite long history and effort of sustaining tradition, the ritual can change in accordance to situation, and it implies that the present tradition can also change.

      • KCI등재

        원주시 매지리 회촌마을 단오제에 있어서 신격의 정체

        이한길(Lee Hankil)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7

        마을마다 모시는 신격이 있어 제의를 봉행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다. 그러나 단오절에 마을제의를 거행하는 것은 오늘날 드문 일에 속한다. 원주시 회촌리 매지마을은 단오절에 마을제의를 거행한다. 단오절에 마을제의를 거행하는 회촌마을의 동제에 좌정된 신격에 있어 문제가 발생했다. 산신인지 성황인지 구분이 모호해진 것이다. 과거에는 산신이 분명했었건만 세월이 흐르면서 마을제의를 봉행하는 주재집단의 인식이 변화한 탓으로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이 과정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 마을의 신격이 산신이라면, 또 성황이라면 어떤 근거가 있을까 하는 의문 속에 그 해답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오늘날 이 마을에 좌정된 신격은 여성 산신에 남성 성황으로 보는 것이 온당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 마을의 제의의 성격은 산신제일까? 성황제일까? 이런 의문에 대하여 필자는 서낭제라는 용어로써 사용하려고 한다. 본시 서낭제란 입석표지 등과 같은 돌무지를 지칭하는 단어이겠지만, 이 개념에 덧붙여 오늘날 강원도에서 개념의 영역이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는 서낭제란 용어로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산신제, 성황제, 그리고 좁은 의미의 서낭제란 용어의 의미를 통합한 개념으로 서낭제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럼으로써 회촌마을의 신격을 서낭으로 규정짓고자 한다. It is not unusual that there is God serving every village, But it is unusual to perform a village ritual in the Dano Festival today. Hoechon(회촌) hamlet’s ritual is held in the Dano Festival. In this hamlet’s ritual occurred a problem on the model of God’s character which performed in the Dano Festival. Assortment on the model of God’s character became vague whether he was Sonang(서낭) or mountain God(산신). It dues to the changed recognition of the management group which was serving hamlet’s ritual while time passes though. A mountain God in the past became Sonang(서낭) today. I intended to take this process on the change of the model of God’s character by this report. It was doubt to think what kind of grounds decided the model of God’s character that was a mountain God or Sonang(서낭) on this hamlet. Conclusively about the model of God’s character who came to be served in this hamlet today, what I watched with male Sonang(서낭) and female mountain god. who is the ritual’s main god on this hamlet? Sonang(서낭)? or mountain god? I intends to use it as a term called Sonang ritual.

      • KCI등재

        중국과 국내에서의 약침 관련 임상논문 비교 연구 -근골격계 및 신경계 질환을 위주로-

        이한길 ( Han Gil Lee ),홍서영 ( Seo Young H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9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9 No.3

        Objectives: To research the trend of the study related to pharmacopuncture about musculoskeletal and nervous diseases in China and to make a comparison with clinical application on pharmacopuncture about musculoskeletal and nervous diseases in China and Korea. Methods: I reviewed and analyzed four Chinese Journals relating pharmacopucture from 2004 to 2008 and two Korean Journals relating pharmacopuncture from 1999 to 2008.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The pharmacopuncture was often used for diseases of spines and joints. 2. In the medicine of pharmacopuncture,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were mainly used in China, and Bee-venom in Korea. 3. As a method of needling, local acupoint and Ashi-point were mainly ueed in both China and Korea. 4. In combined treatments, acupuncture, electronic acupuncture, Chuna, heating acupuncture were mainly used in China, and acupuncture, herb medicine, physiotherapy in Korea. 5. In the case of control group study,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harmacopuncture was not verified the superiority of effectiveness in China, but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a pharmacopuncture c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others and the effectivenss of different pharmacopuncture could be compared. Conclusions: As seen above, in Korea, clinician should carry out clinical application about musculoskeletal and nervous diseases with various herbal injections besides Bee-venom. And I think that it will be starting point to use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that were often used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