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교양철학서의 범람, 철학의 대중화에 기여하는가?

        이하준(Lee, Ha-J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대중철학서의 범람이 철학의 대중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진단 및 평가하는 데 있다. 철학의 대중화 개념은 논의주체에 따라 다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논자는 철학의 대중화를 ‘반성적 삶의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철학적 활동’으로 규정하며 철학의 대중화가 한계개념임을 논증한다. 철학대중서의 범람의 원인은 철학 내외적으로 6가지 차원에서 분석될 수 있다. 철학대중서는 주로 마니아 계층, 일부 인문학 소외그룹을 제외하면 중산층이 주요 독자이다. 철학대중서는 7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6가지의 특징을 공유한다. 대중철학서는 독자층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철학의 대중화에 일정부분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인문정신으로 포장된 고급문화상품의 틀을 벗어나야 한다. 대중철학서는 성숙을 위한 자기비판, 사회비판, 세계비판이라는 철학함의 정신을 담아내야 하며 그럴 때만이 진정한 철학의 대중화를 이룰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and evaluate how much oversupply of books of philosophy as culture can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The concept of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is us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discussion. I define this concept as philosophic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reflective life culture, and then argue it as a concept of limitation in this article. The cause of oversupply of books of philosophy as culture can be analyzed in six dimensions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philosophy. Their main readership is a middle-class excluding mania and alienation group of the humanities. The books of philosophy as culture are able to be classified as seven stereotypes and be shared the six characteristics. They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in the perspective of expansion of readership, but they are still not free from their frame of high-end culture in the spirit of liberal arts disguise. The books of philosophy as culture have to maintain philosophical mind namely, self-criticism, social criticism, and criticism of world for the spiritual maturity. only then can they become the true meaning of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 KCI등재

        아도르노의 개인의 위기 논제의 현재성

        이하준 ( Ha Ju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개인’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집단주의에서 초개인주의까지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질문은 사회, 문화, 정치, 법률적 사실뿐만 아니라 서회학적 상상력과 사회철학적 규명이 필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의제화되거나 학제간 연구성과들이 많지 않다.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한 예비적 차원의 논의로서 아도르노의 ‘개인의 위기’ 논제의 현재성과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그의 ‘개인의 종말테제’는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근대적 개인의 위기선언이자 개인의 진정한 자기실현과 개인해방과 사회해방의 연관성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존재방식과 위기의 양상을 분석하고 해방의 가능성을 탐지한다. 체념과 개인의 해방가능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모호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하에서 개인의 위기원인과 존재방식에 대한 분석은 여전히 현재성을 갖음을 해명하였다. 동시에 아도르노의 개인의 위기 논제가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문제를 분석하는데 갖는 한계들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Die Antwort auf die Frage, ob das Individuum huetzutage in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ist, ist von Koleltivismus biszu Surindividualismus sehr verschiden. Die Antwort dieser Frage ist sowohl Gesellschat, Kultur, Politik und Rechtlichen Faktum als auch soziologische Vorstellungskraft und sozialphilosophsche Erhellung notig. Dennoch ist sie bisher intensive und auf interdisziplinarer Weise noch nicht the- matisiet. In diesem Aufsatz geht es darum, die Akualitat der Adorno-Thesen zum Ende des Individuums zu verdeutlichen. Einerseits sind seine Thesen ein Manifest der Krise des Individiuums, andererseits ist ein Versuch, die Selbstverwirklichung des individuums und den Zusammenhang zwischen der Emanzipation des Indivi- duums und sozialer Emanzipation zu klaren. Trotz der ambivalenten Position Adornos, sind seine Thesen insbesonderen bezuglich der Analyse der kriseursache und seinsformenimmer im modernen Kapitalismus immer noch actuell. Zugleich zeigen sich die eigenartigen Grenzen seiner Thesen bei der die Problemsanalse des individiuums in koreanischer Gesellschaft.

      • KCI등재

        성숙과 계몽을 위한 고전교육 -칸트와 아도르노의 성숙개념의 고전교육적 의미-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이 글의 목적은 ‘대학의 고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하나의 답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양교육 과정에서 고전읽기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이 강좌들은 본래의 목적과 달리 의사소통 교육, 글쓰기 교육, 인성 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교수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칸트와 아도르노의 성숙과 계몽개념은 위와 같은 도구화된 고전교육의 현실을 비판하는 전거를 제공한다. 양자는 수단화된 고전교육이 아니라 자립적 목적을 가진 고전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 자기형성, 성숙, 비판정신이 고전교육의 목적이 되어야한다는 점, 고전교육이 개인의 성숙과 사회의 성숙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문헌학, 훈고학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사이비 교양’, ‘사이비 성숙’을 지양하기 위해서 성숙과 자기계몽이 고전교육의 궁극목적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nswer to the question ‘Has classics education at university been done properly?’ These days, most universities open lectures on reading classics as liberal education. These lectures are a method of communication education, writing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urpose, and related studies have only suggested to maximize teaching. The concepts of maturity and enlightenment of Kant and Adornos provide the reason of criticizing the reality of classics education which is instrumentalized as above. Both suggest that the classics education should have an independent purpose rather than being means, the purpose of it should be self-form, maturity, and critical mind, and it should focus on personal maturity and social maturity. Maturity and self-enlightenment should be the ultimate purpose of classics education to avoid the dangers of bibliography and exegetical studies as well as ‘pseudo liberal’ or ‘pseudo maturity’.

      • KCI등재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수용과 비판

        이하준(Lee, Ha-Ju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수용은 ‘객관적 비합리성의 주관적 조건들에 대한 탐구’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아도르노는 사회인식에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적용에 대한 한계설정을 분명히 하면서 그의 전 저작에서 ‘함께’와 ‘대결’을 넘나들었다. ‘함께’의 영역은 반유대주의 비판, 『미니마 모랄리아』의 내면성 묘사들, 말러나 스트라빈스키 등을 다룬 음악저작들, 문학관련 저작들, 재즈 관련 단편, 수정주의자에 관한 비판 및 수많은 짧은 단편들과 주제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의 ‘대결’은 단순히 「사회학과 정신분석학의 관계」나 「포스트스크립툼」뿐만이 아니라 사회이론과 부정의 논리를 강조하는 그의 논의 전반에 전제된 사회 · 경제 우위론에서 확인된다. 이 밖에 아도르노는 포르이트의 현실원칙의 강조가 사회적 적응과 주체의 약화라는 결과를 야기했으며 그의 초자아 비판이 초자아를 만드는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아울러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 전제된 정상성과 건강성 개념을 비판하면서도 상업화된 심리치료와 프로이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프로이트를 구제하고자 한다.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수용과 비판은 ‘수용목적의 제한성’이라는 측면에서 일관되게 양가적이라 평가 할 수 있다. Adorno’s reception of Freud has been carried out to research on subjective conditions of objective irrationality. Adorno makes clear the limit of application for psychoanalysis, and corsses in all works between ‘with’ and ‘confrontation’, The area of ‘with’ is found in the criticism of anti-Semitism, in inner description of “Minima Moralia”, in musical works about Maler and Stravinsky, in works of literature, in jazz-fragments, in the criticism of revisionism, and in numerous fragments and themes. ‘Confrontation’ of Freud’s psychoanalysis is found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logy and psychoanalysis” and “postsktiptum.” but also in the promised priority of socio-economic which focuses on the social theory and the logic of negation. Adorno also points out that Freud’s emphasis of the reality principle results in social adjustment and weakening of subjectivity. He also argues that Freud’s criticism of super ego is not connected with social criticism. Additionally, While Adorno criticizes Freud’s psychoanalysis hypothesized concept of normality and mental health, he tries to relieve him by separating him from commercialized psychotherapy. Adorno’s reception and criticism of Freud can consistently be ambivalent in the viewpoint of limited reception.

      • KCI등재

        예술의 사물화 비판과 예술의 공공성 -아도르노와 듀이의 가상적 대화-

        이하준 ( Ha Ju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예술의 물신성에 대한 비판과 듀이의 일상적 경험으로서의 예술론의 관점에서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가상적 입장을 분석하고 ‘다리 잇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음악과 미술에서 나타나는 탈예술화의 논리와 양상을 분석한 아도르노의 관점에서 예술의 공공성은 미적, 사회적 차원의 제 조건을 충족 하지 않는 이상 확립될 수 없다. 듀이의 일상으로서의 예술개념은 물신화의 위험을 제어하지 않는 이상 공허한 주장이 된다. 팝아트와 공공미술에 관한 양자의 가상적 평가에서도 입장의 차이는 분명하다. 상이한 맥락에서 제기하는 두 이론가의 규범적 요청은 예술의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의 구체성과 집행이라는 실천적 지혜와 결합될 때 유의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우울한 전망과 듀이의 낙관주의의 ‘다리 잇기’는 예술가-예술생산-예술시장-예술 민주주의를 위한 법률 및 관련기관-예술행정-예술계-예술향유 주체 사이의 긴장과 협력 속에서 가능성을 찾아 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ypothetical account of publicness of art in the light of Adorno’s critique of fetishism and Dewey’s publicness of art, then consider whether there could be any possibility of bridge linking between Adorno’s and Dewey’s. According to Adorno’s perspective on Logic and modalities of ‘entkunstung, outside of art’ in music and arts, the publicness of art would not been established unless it could fulfill a number of conditions at an aesthetic and social dimension. Whereas, A concept of art as experience suggested by Dewey might be empty if it could be controlled by the risk of fetishism. They take clearly different hypothetical positions in evaluating pop Art and public art The normative requests that both Adorno and Dewey ask in a different context should be meaningful only when it is closely combined with detailed strategy and execution as phronesis. The possibility of ‘bridge linking’ that could link Adorno’s pessimistic view with Dewey’s optimistic position on publicness of art would be found in the strained-cooperation artist, production of art, art market law for art-democracy, art related organization, art world, art administration and art the subject of art enjoyment.

      • KCI등재

        문화의 야만성 비판의 비판 -아도르노의 베블런 다시 읽기-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아도르노와 베블런의 문화비판은 문화의 야만성과 그것의 현재성에 대한 비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양자의 방법론과 분석내용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결론은 유사한 측면이 있다. 베블런의 문화야만론에 대한 아도르노의 분석은 기존의 소비이론적, 경제학적 관점과 달리 자신의 사회문화이론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다. 양자의 야만개념은 심리적 야만개념에서 유사성을 보여주나 분석의 초점과 대상은 상이하다. 아도르노는 베블런 논의의 이론적 토대분석에서 진화론적, 심리주의적 방법론을 쟁점화하지 못한다. 그는 베블런 문화야만론의 청교도적 노동윤리 관점과 우울증적 문화비판의 성격을 규명하며 그 한계를 지적하는데 부분적으로 성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략은 베블런 사유의 전망부재에서 오는 가능성의 포기에 대한 비판으로 모아진다. 베블런 논의의 한계를 지적한 아도르노는 문화의 야만성의 극복에 대한 자신의 전략을 보여주지 않는다. 베블런과 아도르노의 문화의 야만성 논제와 아도르노의 베블런 비판의 전거들은 한국사회의 문화적 야만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지만 각론적 차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Adorno and Veblen`s criticism of culture have in common a critique of cultural barbarism and its nowness. Their conclusions are similar despite the differences in methodology and the analyses of their views. Adorno`s analysis of Veblen`s cultural barbarism, unlike the previous theoretical and economical viewpoints on consumption, is basically an extension of his social-culture theory. Both of the concepts on barbarism show similarity in the psychological barbarism concept, but the focus and the object of analysis are very different. Adorno doesn`t make the evolutionary and psychological methodology into an issue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alysis of Veblen`s argument. I think he partially obtains the success by both clarifying the puritanical viewpoint of labor ethics and the character of depressive culture criticism while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Veblen`s cultural barbarism. This strategy fuses into a critique of the abandonment of the possibility coming from the lack of Veblen`s perspective. Adorno,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e Veblen argument, does not show his strategy for overcoming the barbarism of culture. The thesis of Veblen and Adorno`s barbaric culture and the sources of Adorno`s criticism on Veblen are useful for analyzing the cultural barbarism of the Korean society, but the limits are also clear in particular cases.

      • KCI등재

        철학과 융복합

        이하준(Lee, Ha J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오늘날 산업 현장이나 대학교육에서 융복합이 메가트렌드가 되었으며 신화적 힘을 발휘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에 대한 철학적 담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 담론에서 논자들은 많은 경우 융합학, 융복합, 학제간 연구를 혼용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심지어 특정주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융복합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융복합 시대에 철학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 논자들은 철학의 본래적 성격에 근거해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이 주역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주장의 근거가 약함을 보여줄 것이다. 전국의 많은 대학에서 철학에 기반을 둔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 · 운영 한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논문은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교과목들이 융복합 교과목으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는 점을 세 개의 사례분석을 통해 보여줄 것이다. 철학은 융복합 교육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 융복합 교육의 주역이 되기 이전에 융복합의 신화에 대한 분석과 계몽을 시도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y has become the megatrend in both the business world and the college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convergence has become "mythic power" in every working place where we belong to.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on going for many years. In many cases, the convergence has been misunderstood as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In addition, philosophical reflection about a particular topics has been considered as it is very identical to "convergence". Philosophers who participate the debate on the role of philosophy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believe that philosop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 such place. This paper shows the weaknesses of those believers. Many universities in Korea really do lots of efforts to offer and to develop their own convergent curriculums. Nevertheless, I argue that these efforts has not yet been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the convergent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case. At the end, I argue that philosophy should (1) play a role to give justification for the convergent education and (2) attempt to analyse and to enlighten the mythology of convergence before that it take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vergent education.

      • KCI등재

        아렌트의 시민개념과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이 글의 목적은 아렌트의 정치사유에서 시민개념을 구성하고 그 관점에서 대학 시민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아렌트의 정치사유에서 인간이 된다는 것은 공적 영역에서 말과 행위를 통해 공적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적 주체 곧 시민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렌트는 ‘좋은 인간이 곧 좋은 시민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소로의 테제를 비판하며 좋은 시민의 조건으로 사유하는 능력과 타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능력을 제시한다. 시민은 비판적이고 자율적인 사유-판단-행위-책임의 주체인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육목적, 인재상, 역량설계에서 지역시민성, 세계시민성을 강조하지만, 시민교육은 불충분하며 개선이 필요하다. 아렌트의 관점에서 인격의 실현과 좋은 사회를 만드는 초석인 ‘시민교육’ 교과목이 개설되어야한다. 시민교육의 교육방법론으로 토론형 수업이 중요하며 학교시민성 교육의 강화와 학교의 학사 및 주요정책 결정과정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정치적 책임과 공동체적 가치를 중시하는 다양한 교과목의 개설 및 실천 프로그램들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the concept of citizenship from Arendt's political thoughts, to analyze the reality of university citizenship educ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rendt's political thoughts, to be human means to be citizen as a political agent who solves public problems through words and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Arendt criticizes the thesis of Aristotle and Thoreau that 'a good man is a good citizen' and presents the ability to think and the ability to think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as a condition of a good citizen. Citizens are subjects of critical and autonomous thinking, judgment, action and responsibility. At universities local and global citizenship is emphasized when designing educational purposes, concepts of talent, and competency. Nevertheless, citizenship education is insufficient and needs to be improved. From Arendt's point of view, the subject of ‘Citizen Education’ should be opened so that it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realization of personality and a good society. Discussion-oriented classes are important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olicy-making processes must be guaranteed. Subjects and practice programs that are oriented toward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values should be operated systematically.

      • KCI등재

        인간중심 상담과 철학상담의 친족성과 차이

        이하준(Lee, Ha-Ju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본 논문은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과 철학상담과의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이 갖는 철학적 함의를 살펴 볼 것이다. 로저스는 인간을 과정적 존재로 이해하며 인간의 자기방향성과 자기이해 능력 및 인간의 독립과 자유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로저스의 인간관은 인간중심 상담(personcentered counseling)으로 발전하였으며 이것은 철학상담에서 내담자를 보는 관점들과 근본적인 차이가 없다. 그러나 철학상담은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보다 내담자의 성찰적 능력을 더 강조하며 성찰적 자기치료의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한다. 또한 철학상담은 로저스의 인간중심 치료에서 중요한 덕목인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과 ‘진정한 자기(real self)’의 실현에 대한 절대긍정의 태도보다 비판적 자기성찰의 동반자로서의 역할과 진정한 자기의 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대화와 통찰 능력을 강조한다. 양자의 친족성과 차이를 떠나 양자의 고유한 내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른 상담방법론과의 발전적 관계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계몽과 멋진 신세계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헉슬리와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의 부정성을 소설과 철학이라는 언어적 문법을 통해 보여준다. 이들의 문명비판에 대한 문제제기와 내용의 상당한 근친성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논점들을 면밀하게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논문은 아도르노의 시각에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다시 읽기를 검토한다. 아도르노와 헉슬리는 지배이념과 지배방식을 구현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의 분석, 지배의 심리학, 자유의 상실에 대한 비판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계몽의 계몽, 문명의 독을 해결하는 방식은 사회의 구조변화와 개인적 탈주 및 부분적 개선이라는 상이한 전략을 취한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자신의 철학적 관점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명료성과 난점들을 동시에 갖는다. 헉슬리에 대한 아도르노 비판의 주요내용은 보수주의적 색채, 정신문화에 대한 관념론적 동경, 실증주의적 성격, 무정부적 개인주의, 지배의 공고화를 위한 암묵적 기여, 사회적 해방을 위한 실천적 계기성의 결핍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난점과 다시 읽기의 텍스트적 근거의 제한성에서 오는 한계가 있다. 헉슬리의 포드 사회에 대한 선취적 비판과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의 논점들은 알파고 시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Huxley and Adorno show the negativity of instrumental reason by taking linguistic grammar of novel and philosophy. Although there is a considerable similarity in the way of raising questions and its contents on their criticisms of civilization, it is hard to find out any carefully examined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Huxley’s and Adorno’s arguments of the above issu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Huxley’s Brave New World from Adorno``s perspective on Huxley, namely Rereading Huxley. There seems considerable familiarity in both Adorno’s and Huxley’s analysis of social mechanism, the realization of ruling ideology, and the criticisms of the loss of freedom. But their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namely the poison of civilization, seems to be a different strategy that would show ‘changing the social structure’, ‘individual escape’, and ‘partial improvement’ under the existing social conditions. Adorno``s ‘Rereading Huxley’ seems to have both clarity and difficulties simultaneously because it starts from only Adorno’s ow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main contents of Adorno``s criticism on Huxley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ords: conservative color, idealistic yearn for spiritual culture, a positivistic character, anarchic individualism, implicit contributing to consolidation of domination, and the lack of practical force for the social emancipation. It seems quite certain that Adorno``s ‘Rereading Huxley’ reaches the limit caused by the matter of ideological aspects and the application of the limited text. This paper finally opens up the way of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era alpago throughout the examination of Huxley``s preceding criticisms of Ford Society and the issues of Adorno``s ‘Rereading Huxl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