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형 데이터와 딥러닝을 활용한 내수침수 탐지기술 개발

        이하늘,김형수,김수전,김동현,김종성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2

        In this study, a model was developed to determine whether flooding occurred using image data, which is unstructured data. CNN-based VGG16 and VGG19 were used to develop the flood classification model. In order to develop a model, images of flooded and non-flooded images were collected using web crawling method. Since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web crawling method contains noise data, data irrelevant to this study was primarily deleted, and secondly, the image size was changed to 224×224 for model application. In addition, image augmentation was perform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mage for diversity of image. Finally, learning was performed using 2,500 images of flooding and 2,500 images of non-flooding. As a result of model evaluation, the aver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found to be 97%. In the future, if the model develop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ounted on the CCTV control center system, it is judged that the respons against flood damage can be done quickly.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데이터인 사진자료를 이용하여 침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침수분류를 모델 개발을 위하여 CNN기반의 VGG16, VGG19을 이용하였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침수사진과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사진을 웹크롤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진을 수집하였다. 웹크롤링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는 노이즈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 본 연구와 상관없는 데이터는 소거하였으며, 2차적으로 모델 적용을 위하여 224 × 224로 사진 사이즈를 일괄 변경하였다. 또한 사진의 다양성을 위해서 사진의 각도를 변환하여 이미지 증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침수사진 2,500장과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사진 2,500장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였다. 모델 평가결과 모델의 평균 분류성능은 97%로 나타났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개발된 모델을 CCTV관제센터 시스템에 탑재한다면 신속하게 침수피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수생태계에서 ZnO, TiO<sub>2</sub>나노입자 응집체가 물벼룩(Daphnia magna)에 미치는 영향

        이하늘,이병우,박찬일,김무찬,Lee, Ha-Neul,Lee, Byeong-Woo,Park, Chan-Il,Kim, Mu-Cha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정제되지 않은 ZnO 및 $TiO_2$나노입자를 M4배지에 노출시켜 두 나노입자가 어느 정도 크기의 응집체로 변화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두 나노입자가 수생태계 생물종인 Daphnia magna에 어떠한 영향을 초래하는지 유영저해 및 폐사율을 통해 살펴보았다. ZnO 및 $TiO_2$나노입자의 분말상태 크기는 각각 20 nm와 40 nm였지만, M4배지에서는 1333 nm와 1628 nm로 약 40~70배의 크기로 응집되었다. 유영저해의 경우 ZnO와 $TiO_2$나노입자 모두 시간 및 농도가 높아질수록 D.magna가 유영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ZnO나노입자가 $TiO_2$나노입자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의 경우 ZnO나노입자에서는 시간 및 농도가 높아질수록 폐사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TiO_2$나노입자에서는 72시간이 경과된 시점의 10 ppm 이상의 농도에서 폐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나노입자가 해양에 유입됨으로 인해 원래의 크기에 비해 응집되어 증가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그 응집체로 인해 수생태계 생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unrefined ZnO, $TiO_2$ nanoparticles is expose M4 medium to search nanoparticle aggregation and Daphnia magna was any effect by immobilization and mortality. ZnO and $TiO_2$ nanoparticle powder-size is respectively 20 nm and 40 nm. but, M4 medium has about respectively as 1333 nm and 1628 nm, 40 to 70 times were agglomerated. Immobilization of ZnO and $TiO_2$ nanoparticles was influenced both time and concentration the higher to swimming of D.magna. Especially, The immobilization of D.magna in nano-ZnO is greater than that influence in nano-$TiO_2$. Mortality of ZnO nanoparticle is higher rate at long time and high concentration. $TiO_2$ nanoparticle observed mortality at 10ppm concentration after 72h. Consequently, when Nanoparticles is introduced into ocean. Particle size become grow. Additionally, aggregation be caused affect aquatic ecosystems.

      • KCI등재

        일부 성인의 계속구강관리프로그램 인식과 요구도

        장호열 ( Ho-yeol Jang ),이수련 ( Su-ryeon Lee ),이윤지 ( Yun-ji Lee ),이수빈 ( Soo-bin Lee ),이하늘 ( Ha-neul Lee ),이혜빈 ( Hye-bin Lee ),황수정 ( Soo-jeong Hwang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필요성과 참여 의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6월1일부터 8월 3일까지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하며 치과에서 1회이상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중 303명을 편의추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3회 이상 이를 닦는 대상자는 72.6%였으며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55.8%였고 칫솔질 시간이 2분 이상인 대상자는 55.8%였다. 치면착색제 경험은 1일 칫솔질 횟수에 영향을 미쳤으며 치면착색제 경험, 칫솔질 교육, 구강보조용품 사용 교육, 치주질환 예방 교육은 구강보조용품 사용과 1회 칫솔질 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93.1%였으며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참여의향은 68.0%였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1회 참여비용은 1만원 이상 2만원 미만이 70.3%로 가장 많았으며 관리주기는 6개월이 42.6%로 가장 많았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요구도는 구강세균검사 74.3%, 칫솔질 교육 71.6%, 구취검사 69.3%, 구강보조용품 교육 46.9%, 치면세균막검사 42.9%, 타액검사 37.6% 순이었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필요성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졸 이하에 비해 대졸 이상 4.514배,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이 2.878배, 칫솔질 시간이 2분 미만군에 비해 2분 이상군이 3.138배 필요성 인지가 높았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주질환 예방 교육 경험이 없는 군에 비해 예방교육 경험이 있는 군이 1.915배 높았으며 구강보조용품 사용을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이 2.065배 높았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하는 것이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구강세균검사나 구취검사 등이 성인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것이 추천되며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본인이 부담할 수 있는 적정 비용 수준으로 보험 급여화될 수 있도록 제안해야 한다.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are considered to be chronic, but can be prevented through an incremental oral health program covering all ages. The National Oral Health Program for adults provides oral health exam and scaling, and is cove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those over 20 years of ag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oral health program for adults by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awareness and need. The data were obtained by convenience sampling of 303 subjects. The use of dental plaque disclosing agents affected tooth brushing frequency, toothbrushing time and use of oral auxiliary devices. Education on toothbrushing methods affected toothbrushing time and use of oral auxiliary devices. Of those surveyed, 93.1% replied that an incremental oral health program for adults was needed, and 68.0% intended to participate. In a regression model, the factors that had an effect on the perceived need for an oral health program were education level, use of oral hygiene auxiliary devices, and toothbrushing t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intent to participate were education for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the use of oral hygiene auxiliary devices. The subjects stated that the following oral health programs were needed: an oral bacteria exam (74.3%), toothbrushing education (71.6%), a bad breath exam (69.3%), education on use of oral hygiene auxiliary devices (46.9%), a dental plaque exam (42.9%) and a saliva exam (37.6%). Oral health education appears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participation in an incremental oral health program.

      • KCI등재

        Bass 모형을 통한 WIPI정책의 영향 분석: 스마트 폰 시장을 중심으로

        이하늘 ( Ha Neul Lee ),김대희 ( Dae Hee Kim ),강지석 ( Ji Seok Kang ),이동환 ( Dong Hwan Lee ),김윤배 ( Yun Bae Kim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5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2 No.4

        국내 스마트 폰 시장은 국내 모바일 표준 플랫폼이었던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폐지를 기점으로 큰 성장을 이루었고 현재는 성숙단계의 시장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WIPI는 콘텐츠 개발효율화와 플랫폼 표준화를 통한 로열티 절감을 목표로 실행된 정부정책으로써 많은 산업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로는 기술적 관점, 정책적 관점에서 평가한것이 대부분이며, 시장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분석이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에 있어 WIPI가 미친 영향에 대해 대표적인 시장 확산모형인 Bass 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늠하였다. 이를 통해 WIPI 폐지 전후에 따른 시장의 반응의 변화에 대해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diffusion of smartphones in Korean mobile market accelerated rapidly after the abolishment of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hich is a standard mobile platform in Korea. Studies of WIPI have performed within the perspectives of technology and policy, yet none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 WIPI originally intended to facilitate the efficiency of content development and reduce royalties. WIPI also had substantial impacts in smartphone-related indus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 of WIPI on the growth of the domestic smartphone market. The Bass diffusion model is used to analyze and predict economic effects. Furthermore, quantitative changes in market response before and after the abolishment of WIPI are presented. All influences and implications generated by WIPI are analyzed and discussed

      • KCI등재

        발효 5종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이하늘(Ha Neul Lee),하배진(Bae Jin Ha)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6

        이 연구는 5가지 물질로 구성된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발효 5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 검은콩, 솔잎, 검은깨, 발효 2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으로 구성되어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모발 성장 효과는 생체 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P),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γ-GT) 및 육안적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샘플에 따라 물(NOR), 판시딜(P-CON), 발효 5종 혼합물(5NC), 발효 2종 혼합물(2NC) 총 4군으로 나눴다. 샘플은 일정한 시간에 하루 1번 4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5NC군에서 ALP, γ-GT 활성 모두 2NC에 비해 증가하였다. 육안적 관찰에서 P-CON군은 털이 가장 길고 면도 전의 상태와 유사하였다. 5NC군은 P-CON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털이 자랐다. 모든 결과에서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5종 혼합물은 유용한 모발 성장 촉진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ntioxidative and hair-growth-promotion effects of a fermented compound composed of five materials, namely Allium cepa, Cucurbita spp., Glycine max Merr., Pinus sylvestris leaf, and Sesamum indicum. An additional compound composed of two materials was composed of Allium cepa and Cucurbita spp. Antioxidative effects were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flavonoid content. Fermented 5-type natural compounds (5NC) showed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than those of fermented 2-type natural compounds (2NC). Hair-growth promotion was demonstrated in vivo. Alkaline phosphatase (ALP), oid contentontenteptidase phospactivity, and macroscopic observation were measured.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samples they were administered: water, pansildil (P-CON), 5NC, and 2NC. Samples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at a fixed time for four weeks. Both ALP and γeeksactivity increased in the 5NC group compared with the 2NC group. In macroscopic observation, the P-CON group grew the most and were most similar to the state before shaving. The 5NC group grew hair similar to the P-CON group. In all the results, the 5NC group showed greater antioxidative and hair-growth-promotion effects than the 2NC group. Consequently, 5NC could be used as an ingredient for hair-growth promotion.

      • KCI등재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경로분석

        이하늘 ( Ha Neul Lee ),이숙 ( Sook Lee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hildren perceive emotional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iency. They came mainly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se student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Participants were 503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ly emotional support and self-efficiency 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Moreover, emotional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cond, although emotional support 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it also in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Third,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in the school adjustment, but on the other hand, it in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self-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